-
부산광역시에서 상공인들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단체. 경제 단체는 기업이나 상공인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관련 기업들이나 상공인들 간의 협력 및 정부에 대한 압력 행사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경제 단체로는 경제 4단체, 경제 5단체, 경제 6단체가 있다. 경제 4단체는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이며, 경제 5단체...
지원 기관
-
부산광역시에 있는 기업 및 산업 지원 기관. 부산 지역에 있는 기업 및 산업 지원 기관으로는 중앙 정부 투자 기관, 경제 관련 정부 기관, 부산광역시 직속 기관, 부산광역시 투자 기관, 부산광역시 유사 기관 및 민간 기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업 및 산업을 지원하는 부산 지역 소재 중앙 정부 투자 기관으로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부산울산지사[남구 자성로]...
-
부산광역시에 있는 통신 업체 KT의 지사. 전기 통신 서비스의 전문화 및 사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설립되었다. 1887년 7월 17일 설치된 조선전보총국 부산분국이 설치되었다. 1888년 6월 1일 부산~한성 간 전신선 개통, 1903년 3월 1일 부산 지역의 자석식 전화 신설, 1906년 6월 1일 부산~한성 간 전화 개설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1949년 11월...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농산물 인증 전문 기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남지원 부산사무소(國立農産物品質管理院慶南支院釜山事務所)는 부산 지역의 농식품 안전과 품질 관리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1월 부산부 동광동[현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에 농산물검사소 부산지소가 발족되었다. 1955년 부산시 충무동 3가 13번지[현 부산광역시 서구 충...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방위산업청 산하 연구 기관. 국방기술품질원 부산센터[함정]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 업체에서 생산되는 중앙 조달 군수품에 대한 품질 보증 활동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81년 국방기술품질원 부산센터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개소하였다. 1991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서 수영구 광안동 525-2번지로 이전하여 오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금융결제원 산하의 지역 사무소. 금융결제원 부산사무소는 효율적인 어음 교환 제도 및 지로 제도를 확립하고, 금융 공동망을 구축하여 자금 결제 및 정보 유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건전한 금융 거래의 유지 발전과 금융 기관 이용자의 편의 제고 등 금융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6월 전국어음교환관리소와 은행지...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기술신용보증기금법」에 의해 설립된 정부 출연 기관. 기술보증기금 부산본점(技術保證基金 釜山本店)은 신기술 사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하여 기술 혁신형 기업에 기술 보증 및 기술 평가를 중점적으로 지원하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 나아가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기술 금융을 지원하기 위하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에 있는 도시관리공단. 기장군도시관리공단은 「지방 공기업법」 제76조 및 「부산광역시 기장군도시관리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의거, 기장군이 위탁하는 공공·복지 시설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여 군민 편익과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7월 1일 공단 설립을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고, 20...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6가에 있는 농축수산 식품 검역 검사 기관 지역 본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영남지역본부(農林水産檢疫檢査本部嶺南地域本部)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지역의 수출입 농축수산물 검역·검사, 가축 질병 방역 및 외래 병충해 방제를 통해 국내 산업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축산 식품 및 수산 식품의 철저한 위생 감시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산하의 지역 지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부산지사는 부산 지역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하여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경제의 발전과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하여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대한무역진흥공사를 설립하고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 87-7번지에 부...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공공 직업 교육 기관. 대한상공회의소 부산인력개발원(大韓商工會議所釜山人力開發院)은 시대적 요구와 산업 사회의 발전 추세에 맞추어 신기술 직종 관련 훈련을 실시하여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부산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9월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부산공동직업훈련원 설립 인가 이후 부산광역시 남구 용...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었던 대한석탄공사 산하의 부산 지사. 대한석탄공사는 석탄 광산을 개발하여 수급 안정을 통해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1950년 5월 4일에 공포된 「대한석탄공사법」[법률 제137호]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광복 직후부터 대한석탄공사의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미군정의 반대 및 국내 정세의 혼란으로 인해 정부 수립 직후에 설립할 수...
-
해방 이후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5가에 설립된 한국의 조선 산업을 대표한 기업. 조선중공업(朝鮮重工業)은 일제가 남한에 남긴 몇 개 되지 않는 중공업 회사 중 하나로 유일하게 원양 어선, 화물선 등 대형 강선(鋼船)을 건조·수리할 수 있는 조선 시설을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가 중요 기간산업으로 간주되어 1950년 1월 1일자로 국영화하여 대한조선공사를 설립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국토해양부가 설립한 공기업[준시장형]. 대한주택보증 부산지점(大韓住宅保證釜山支店)은 「주택법」[법률 제11243호, 2012. 1. 26] 제76조에 의거, 주택 건설에 대한 각종 보증을 함으로써 주택 분양 계약자를 보호하고 주택 건설을 촉진하며 국민의 주거 복지 향상 등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8월 1일 대한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지역 본부. LX한국국토정보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측량·수로 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법률 제11592호, 2012. 12. 18] 제58조에 의거, 지적 측량과 지적 제도에 관한 연구, 지적 정보 체계의 구축 등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5월 1일 대한지적협회 부산지부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산업과 관련된 기술 혁신 센터. 부산경남자동차테크노센터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의 핵심 산업 기술로 자동차 부품 산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하여 TIC(Technology Innovation Center)[지역 기술 혁신 센터]로 설립되었다. 1995년 4월 산업자원부 ‘제2회 지방 산업 기술 진흥 회의’에서 부산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지원 기관. 부산경제진흥원(釜山經濟振興院)은 부산 지역의 소상공인, 중소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와 중소기업청에 의해 설립되었다. 제조업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자금, 마케팅, 소상공인 창업, 정보화, 지식 서비스 산업 육성 등의 다양한 지원 사업을 수행...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신발산업진흥센터. 1990년대 초반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주도산업이었던 신발 산업은 경제 성장과 수출 증대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1980년대 후반 이후로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해외로의 생산 설비 이전 가속화로 신발 생산의 기반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신발 산업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생산 기술, 소재 및 부품 부분에 있어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설립 공기업. 부산관광개발(釜山觀光開發)은 「부산광역시 부산관광개발 주식회사 설치 조례」[조례 제3984호, 2005. 2. 16]에 의거, 부산 지역의 관광 개발 사업을 통한 관광 산업의 진흥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6년 6월 14일 부산광역시 부산관광개발의 설치 조례가 공포되어, 199...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공 기관. 관광 시장의 규모 확대로 한국을 방문하는 해외 관광객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부산광역시 방문 점유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었다. 이에 관광 전담 조직의 필요성이 부각되어 국내의 관광 분야 경쟁 도시인 서울특별시·경기도·제주특별자치도·인천광역시 등에 우위를 점하고자 부산관광공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부산관광공사는 20...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던 부산광역시의 국제회의 유치 마케팅을 전담했던 기구. 부산관광컨벤션뷰로는 부산 지역의 관광과 컨벤션을 결합하고, 효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하여 국제회의를 유치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5월 부산광역시 산하 행정 조직[국제협력과]에서 임시 컨벤션뷰로를 설립 운영하였다. 2004년 9월 13일 부산컨벤션뷰로 설립과 관련한 관련...
-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부산 김해 경전철 운영을 위해 설립한 공기업.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식회사는 2009년 10월 27일 서울메트로, 부산교통공사, 김해시 간 부산 김해 경전철 컨소시엄 구성 양해 각서 체결로 설립된 지방 공기업 등의 출자 회사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부산 김해 경전철을 운영하여 지역 사회에 공헌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출자 비율은 서울...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 지역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기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는 부산 지역의 환경 기술 개발 연구 역량의 극대화를 추구하며 지역 현안 문제와 관련한 민원을 해결하고 환경 교육 실시 및 환경 정보를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역 특화 환경 산업을 육성하고, 산업체 지원 및 지역 환경 정책 추진을 위한 핵심 기능을 수행하고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도시가스 공급 사업체. 부산도시가스는 「도시가스 사업법」에 근거하여 도시가스의 제조 및 배관을 공급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8년 11월 부산 지역에 도시가스를 제조 및 공급할 수 있는 도시가스 회사의 조속한 설립을 위한 사업추진위원회가 부산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발족하였다. 3차에 걸친 발기인 회의를 개최하고 사업 지정서 및...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부산 지역의 산업 단지와 택지, 관광 단지, 혁신 도시 등을 조성하는 공공 기관. 부산도시공사는 부산 지역의 공업 단지 조성과 택지 개발, 도시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부산도시공사는 1991년에 부산직할시 도시 개발 공사 설치 조례 공포[부산시 조례 제2776호]에 따라 동구 범일동에서 설립되었다. 1...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종합 경제 단체. 부산상공회의소는 부산 지역의 상공업계를 대표하여 그 권익을 대변하고, 회원들에게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여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높이며, 상공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879년(고종 16)에 부산 거주 일본인 상공업자가 부산상법회의소를 설립하였고, 1889년(고종 26...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e-비즈니스 종합 지원 기관. 부산상공회의소 전자상거래지원센터는 부산 지역 중소기업의 정보화 선도와 전자 거래 촉진을 위한 정보 인프라 구축, 교육 훈련, 경영 자문, 정보 제공, 그리고 전통 시장 활성화를 위한 쇼핑몰 등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전자 상거래의 활성화 도모를 위해 설립되었다. 전자 상거래 지원 센터(Electron...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 지역 IT 지원 센터로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의 전신. 부산소프트웨어지원센터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6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75-8번지에 부산소프트웨어지원센터를 개소하였다. 2000년 2월 부산광역시가 21억 원의 예산으로 건물을 임차하고 정통부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공공 시설물 관리 공기업. 부산시설공단은 「부산시설공단 설치 조례」[조례 제4633호]에 의거, 공공의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시민의 복리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2월 1일 부산직할시 주차관리공단으로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에서 설립되었다. 1995년 3월 1일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공익 기관. 부산신용보증재단(釜山信用保證財團)은 담보력은 미약하나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의 신용 보증을 지원하여 부산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영세 소기업이나 소상공인 등 생계형 기업을 지원하여 고용 창출과 시민의 생활 안정에 기여하며, 애로 사항에 대해 해결하고 경영...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공기업. 부산지방공단 스포원은 「부산지방공단 스포원 설치 조례」[조례 제4635호]에 의거, 부산광역시민의 여가 선용과 체육 진흥을 도모하고, 지방 재정 확충을 위한 재원을 마련함으로써 부산광역시민의 복리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7월 12일 부산광역시 경륜공단으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공기업. 「항만공사법」[법률 제11477호, 2012. 6. 1]에 의거, 부산항의 항만 시설 개발 및 관리·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부산항을 경쟁력 있는 동북아 해운물류 중심 기지로 육성하여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1월 16일 부산항만공사로 중앙동 4가에 설립되어 오늘에 이...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공공 기관. 부산 항만 시설의 방호와 질서 유지를 확립하고 부산항 수출입 화물의 원활한 유통, 부두 이용 업계의 이익 증진과 항만 발전 등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12월 3일 부산항부두관리공사로부터 분리하여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 부산 국제 여객 터미널에 부산항보안공사로 설립되었다. 2...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6가에 있는 부산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부두 관리 회사. 부산항부두관리(釜山港埠頭管理)는 부산항 공용 부두의 수출입 화물, 부산항 여객 터미널 등 항만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와 항만 운영 관련 사업을 수행하여 부산 지역의 항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9년 5월 부산항부두관리협회가 창설되었다. 2002년 2월 부산항부두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6가에 있던 산업연구원 산하의 지역 지원. 산업연구원 부산지원은 「한국 산업 경제 기술 연구원법」[법령 제3538호]에 근거하여 부산 지역에서 국내외 산업 및 기술과 관련된 실물 경제의 동향과 정보를 신속히 수집 및 조사하고 연구하여 정부의 정책 수립과 국가 경제 발전을 도모하며, 기업의 생산성 및 국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설립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선박안전기술공단 부산지부(船舶安全技術公團釜山支部)는 「선박안전법」[법률 제9871호, 2009. 12. 29] 제45조에 의거, 부산 지역에 입항·출항하는 선박 검사 등의 정부[국토해양부] 업무를 대행하여 선박의 항해와 관련한 안전을 확보하고 선박 또는 선박 시설에 관한 기술을 연구·...
-
부산광역시에 있는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센터. 소상공인의 창업 및 구조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정보·교육 및 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2월 2일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이 부산소상공인지원센터[현 부산남부소상공인지원센터]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부산상공회의소 지하에 사무실을 개설하였다. 1999년 7월 21일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던 수출 지원 비영리 기관. 수출조합부산합동사무소는 부산 지역 무역 업체의 수출 추천 등 각종 수출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경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1월 의류, 메리야스, 신발 제품, 활선어, 냉동 수산물 등 5개 조합과 스웨터, 직물 원사, 면제품, 합성수지, 피혁 제품, 전자 제품, 한천, 해조염 식품...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금융위원회 소관 비영리 민간단체의 지부. 신용회복위원회는 2002년 10월 1일 과중 채무자 급증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과중 채무자의 조속한 경제적 재기를 지원하기 위하여 ‘금융 기관 간 신용 회복 지원 협약’에 따라 출범한 후, 채무자를 위한 신용 관리에 관한 상담 및 교육 등 공익적 업무 수행과 채무 조정 업무의 공정성과...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관광 관련 국제기구. 아시아태평양도시관광진흥기구[TPO]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도시나 관광 단체가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관광 진흥을 위한 상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서로 협조하여 관광 산업의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8월 31일 일본 후쿠오카시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도시 서미...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설립한 준정부 기관. 한국에너지공단 부산·울산지역본부는 부산, 울산 지역의 에너지 이용 합리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이산화 탄소의 배출을 저감시키고 지역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0년 7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에너지관리공단 부산지사로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3가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설립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우체국금융개발원 부산지사(郵遞局金融開發院釜山支社)는 금융 시장에 대한 연구, 조사, 우체국 예금 상품 개발 및 우체국 보험의 상품 개발, 교육, 심사 등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우체국 예금 보험 사업의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6월 우체국예...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설립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우체국물류지원단 부산지사(郵遞局物流支援團 釜山支社)는 안전, 신속, 정확한 우편 물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편익 증진과 저탄소 녹색 성장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1월 1일 우정사업진흥회[1987년 7월 1일 체신복지회를 전신으로 설립] 부산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부산 지역 물류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 종합물류경영기술지원센터는 지식경제부 지역 혁신 산업 기반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종합 물류 산업의 고부가 가치화를 통한 국가 및 부산 지역 사회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12월 27일 부산테크노파크 부설 기관으로 종합물류경영기술지원...
-
부산 지역 중소기업의 일본 수출 지원 및 부산광역시 대표부 수행을 위해 일본 오사카에 설치한 사무소. 부산광역시는 1976년 10월 11일 일본 시모노세키[下關]와의 자매 도시 체결을 시작으로, 2007년 2월 2일 후쿠오카[福岡]와 자매 도시 체결, 2008년 5월 21일 일본 오사카[大阪]와 우호 협력 도시를 체결하여 활발한 교류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주택관리공단의 자회사. 주택관리공단 부산울산지사(住宅管理公團釜山蔚山支社)는 「한국토지주택공사 법」[법률 제11599호, 2012. 12. 18] 제8조 2항에 따라, 국내 최대·최고의 주택 관리 전문 회사로 주택 관리 부문의 선진화에 기여하고, 국내 리모델링[유지·보수] 기술축적 및 보급을 통해 국내 공동 주택의 관리 효율성을 선...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중소기업중앙회의 지역 본부.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는 중소기업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6년 5월 13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부산지부를 개소하였다. 부산 지부에는 부산 지역 13개, 경남 지역 7개로 총 20개 협동조합이 소속되...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산하의 지역 본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부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 중소벤처기업 진흥을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8년 12월 5일 「중소기업 진흥법」이 제정 및 공포되고, 1979년 1월 30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설립되었다. 1985년 2월...
-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에 있는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산경남지원(畜産物品質評價院釜山慶南支院)은 「축산법」[법률 제11005호, 2011. 8. 4] 제36조에 의거, 축산물 등급 판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4월 축산물 등급 판정 사업에 착수하여, 2001년 7월 축산물등급판정소 부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산지역본부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법률 제11140호, 2011. 12. 31] 제28조에 의거, 고압가스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가스 안전 기술의 개발 및 가스 안전 관리 사업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4년 4월 1일 공업진흥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감정원 산하의 부산 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지사. 한국감정원 부산동부지사는 부동산의 가격 공시 및 통계·정보 관리 업무와 부동산 시장 정책 지원 등을 위한 조사·관리 업무를 수행하여 부동산 시장의 안정과 질서 유지에 이바지 하는 국토 교통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 감정원 산하의 지사이다. 한국 감정원은 1969년 설립 이래 감정 평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한국감정원 산하의 부산 서부 지역과 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지사. 한국감정원 부산서부지사는 부동산의 가격 공시 및 통계·정보 관리 업무와 부동산 시장 정책 지원 등을 위한 조사·관리 업무를 수행하여 부동산 시장의 안정과 질서 유지에 이바지 하는 국토 교통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 감정원 산하의 지사이다. 한국 감정원은 1969년...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증권 및 파생 상품 시장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 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73조에 의거하여 증권 및 장내 파생 상품의 공정한 가격 형성과 매매, 그 밖의 거래 안정성 및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3년 대한증권업협회가 출범하였고, 그해 3월 3일에 증권 시장이 개장하였다.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공기업. 「한국공항공사법」[법률 제10161호, 2010. 3. 22]에 의거, 공항을 효율적으로 건설·관리·운영하도록 함으로써 항공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나아가 국가 경제의 발전과 국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3년 5월 16일 부산지방항공관리국으로부터 공항 관리 업무를 인수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공기업의 지역 협력단. 한국관광공사 경남권협력단(韓國觀光公社慶南圈協力團)은 「한국관광공사법」[법률 제9474호, 2009. 3. 5]에 의거, 관광 진흥, 관광 자원 개발, 관광 산업의 연구·개발 및 관광 관련 전문 인력의 양성·훈련에 관한 사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과 국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고, 현장 중심의 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었던 한국기술금융 산하의 지역 사무소. 한국기술금융 부산사무소는 반도체, 컴퓨터, 정밀 화학, 신소재 사업 등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한 기술 개발 사업의 연구 개발, 연구 개발 성과의 최초 사업화, 도입된 기술의 소화 및 개량을 중점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8월 1일 한국산업은행은 납입 자본금 1백억 원을 출자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한국기업데이터의 지사. 한국기업데이터는 국책 기관인 신용보증기금, 기업은행, 산업은행,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진흥공단,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민간 기관인 전국은행연합회,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외환은행, 전북은행, 하나은행 등이 주주인 국내 최고의 기업 신용 조사·평가 전문 기관이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설립 공기업[시장형]. 한국남부발전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는 부산 복합 화력 발전소를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4월 2일 한국전력공사[현 KEPCO]에서 한국남부발전이 주식회사로 분리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759번지의...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농수산 식품 산업 육성 전문 공기업.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부산울산지사(韓國農水産食品流通公社釜山蔚山支社)는 농산물·임산물·축산물 및 수산물의 가격 안정 및 유통 개선 사업을 통하여 농산물·임산물·축산물 및 수산물의 수급을 안정시키고, 식품 산업을 육성하여 농어업인의 소득 증진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농림수산식품부 설립 준정부 기관[위탁 관리형]. 한국농어촌공사 부산지소(韓國農漁村公私釜山支所)는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지관리 기금법」[법률 제10522호, 2011. 3. 31]에 의거, 농어촌 정비 사업과 농지 은행 사업을 시행하고 농업 기반 시설을 종합 관리하며 농업인의 영농 규모 적정화를 촉진함으로써 농업 생산성의 증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한국무역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단체.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의 무역 진흥 및 민간 통상과 관련된 협력 활동을 실시하고, 무역 인프라를 구축하여 무역업의 발전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6년 12월 부산시 중구 광복동 2가 41-3812번지에 한국무역협회 부산지부가 설립되었다. 1950...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물가협회 산하의 부산 지역 지회. 한국물가협회 부산지회는 부산 지역에서 「민법」 제32조 및 「기획재정부 훈령」 제67호에 의거하여 공공 기관의 재정 운영이나 기업 경영에 필요한 물가 조사 및 원가 조사를 비롯한 각종 물자와 용역의 유통 가격 등 제반 경제 동향을 종합 분석하고 연구하여, 그 결과를 경제 주체에 제공하여 국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지식경제부 설립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는 「산업 집적 활성화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법률 제10892호, 2011. 7. 21] 제31조에 의거, 산업 단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임 또는 위탁받아, 산업 단지의 개발 및 관리와 기업체의 산업 활동 지원...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지역 본부. 「한국산업인력공단법」[법률 제10461호, 2011. 3. 9]에 의거, 근로자의 평생 학습 지원,직업 능력 개발 훈련의 실시, 자격 검정, 숙련 기술 장려 사업 및 고용 촉진 등에 관한 사업을 하게 함으로써 산업 인력의 양성 및 수급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생산성본부의 부산, 울산, 경상남도 지역 본부. 한국생산성본부 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는 부산, 울산, 경상남도 지역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12월 5일 「민법」 제32조에 의거 한국생산성본부 부산경남지부로 개설되었다. 1966년 7월 27일 한국생산성본부 영남지부로 승격되었다. 1986년 7월 1일...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국제 선박 검사 기관. 한국선급(韓國船級)은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해상에서의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도모하고 조선 해운 및 해양에 관한 기술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1960년~1989년 1960년 6월 20일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 1가 157번지에 한국선급협회[KR]로 설립되었다. 1971년 10월 16일 수출 선...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한국소비자원의 지역 지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고 소비 생활 향상과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1987년 7월 설립된 소비자 정책 종합 추진 기관이다. 「소비자 보호법」[법률 제10678호, 2011. 5. 19] 제33조에 의거, 정부의 소비자권익 증진 시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는 지식경제부 설립 공기업[시장형].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韓國水力原子力古里原子力本部)는 고리 원자력 발전소를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4월 2일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분리된 한국수력원자력 산하 고리원자력본부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에 있는 농림수산식품부 설립 준정부 기관[위탁 집행형]. 한국수산자원공단(韓國水産資源公團)은「수산자원관리법」[법률 제11567호, 2012. 12. 18] 제55조의 2에 의거, 수산 자원을 보호·육성하고 어장 관리 및 기술을 연구·개발·보급하는 등 수산 자원 관리 사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최초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韓國水産資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경남부산지역본부 산하의 물 관리 센터.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법」[법률 제11593호, 2012. 12. 18]에 의거,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관리하여 생활용수 등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설립 공기업[준시장형].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관리단(韓國水資源公社釜山圈管理團)은 「한국수자원공사법」[법률 제10580호, 2011. 4. 12]에 의거,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관리하여 생활 용수 등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경남부산지역본부 산하의 사업단. 한국수자원공사 부산에코델타시티사업단은 「한국수자원공사법」[법률 제11593호, 2012. 12. 18]에 의거,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관리하여 생활용수 등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2년...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3가에 있는 한국예탁결제원의 지원. 한국예탁결제원 부산지원(韓國預託決濟院釜山支院)은 「자본 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법률 제9408호, 2009. 2. 3] 제294조에 의거, 부산·경상남도 권역에 있는 투자자 및 주주들에 대한 증권 등의 집중 예탁과 계좌 간 대체, 매매 거래에 따른 결제 업무 및 유통의 원활을 위하여 설립되었...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금융회사 부실채권 인수, 정리 및 기업구조조정업무, 금융소외자의 신용회복지원업무, 국유재산관리 및 체납조세정리 업무를 수행하는 준정부기관.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는 「금융회사 부실자산 등의 효율적 처리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1962년에 설립된 금융회사 부실채권 인수, 정리 및 기업구조조정업무, 금융...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지역 본부. 한국전기안전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韓國電氣安全公私釜山蔚山地域本部)는 「전기 사업 법」[법률 제10253호, 2010. 4. 12] 제74조에 의거,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기 안전에 관한 조사·연구·기술 개발 및 홍보 업무와 전기 설비에 대한 검사·점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산하의 지역 본부. 한국전력공사 부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의 전원 개발을 촉진하고 전기 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기함으로써 전력 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2년 4월 1일 부산전등을 설립하고, 1910년 3월 7일 부산궤도로 개칭하였다. 1937년 3월 10일 남선합동...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산하의 부산·울산·경상남도 지역 지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부산·울산·경남도회는 부산 지역의 정보 통신 공사업체의 품위를 보전하고, 회원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기술의 향상 및 공사 시공 방법의 개량을 강구함으로써 정보 통신 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2년 2월 22일 한국전신전...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 산하의 지역 지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부산지사는 부산 지역 주택 금융 등의 장기적·안정적 공급을 촉진하여 국민의 복지 증진과 국민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9년 이전에는 주택은행이 ‘주택 금융 신용 보증 기금’의 관리 기관이었다. 그러나 주택은행이 국민은행으로 민영화되자 민간 금융 기관에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설립 공기업. 「한국철도공사법」[법률 제10580호, 2011. 4. 12]에 의거, 철도 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철도 산업과 국민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7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한국철도공사 부산지사로 출범하였다. 2009년 9월 14일 경남지사와 통합하여 한국철도공사 부산...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준정부 기관. 「한국철도시설공단법」[법률 제9391호, 2009. 1. 30]에 의거, 철도 시설의 건설 및 관리와 그 밖에 이와 관련되는 사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게 함으로써 국민의 교통 편의의 증진과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한국철도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산하의 지역 본부.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부산, 울산 지역 내 토지의 취득·개발·비축·공급, 도시의 개발·정비, 주택의 건설·공급·관리 업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안정과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한주택공사법」에 근거하여 1962년 7월 1일 대한주택공사 부산사무소로 개소하여...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해양 수산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 기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법」 제1조 해양 수산 인력의 교육·기술 훈련 등에 관한 업무 수행으로 해양·수산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5년 7월 한국 정부와 유엔 개발 계획[UNDP]의 공동 사업[어업 기술 훈련 사업 기본 협정]으로 한국원양어업기술훈...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었던 한국해외개발공사 산하의 지역 지사. 한국해외개발공사 부산지사는 부산 지역에서 해외 이주 및 취업 등 국민의 해외 진출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5년 10월 6일 한국해외개발공사를 창립하였고, 이후 1967년 1월 1일 한국해외개발공사 부산지사를 설립하였다. 1976년 4월 「한국해외개발공사법」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한전KDN의 지사. 한전KDN 부산지사는 발전, 급전, 송전·변전, 배전, 판매 등의 전력 계통 전 과정에 걸쳐 토털 정보 통신 기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전력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5월 16일 한국전력공사가 100% 출자한 세일정보통신 부산지점으로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288-11번지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한전KPS의 자회사. 한전KPS 부산사업소[화력]는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인 전력 설비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해 설립된 한전KPS의 사업처로 부산 화력 발전소의 발전 설비의 유지와 보수를 위해 설치되었다. 1984년 4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출자 비율 75%]인 한전KPS가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481-1번지의 부산 화력...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한전KPS의 자회사. 한전KPS 부산송변전지사는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인 전력 설비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해 설립된 한전KPS의 지사로 부산 지역의 송전·변전 설비의 유지와 보수를 위해 설치되었다. 1984년 4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출자 비율 75%]인 한전KPS가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36-30번지에 한전KPS 부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는 한전KPS의 자회사. 한전KPS 원자력정비기술센터는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인 전력 설비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해 설립된 한전KPS의 사업소로 고리 원자력 발전소의 발전 설비 중 주요 핵심 기기의 정비와 검사를 위해 설치되었다. 1997년 4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출자 비율 75%]인 한전KPS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업
-
부산광역시에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또는 제도적 최소 경영체. 기업체란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 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법적 또는 제도적 경영 단위[회사 법인, 회사 이외 법인, 비법인 단체, 개인 기업의 형태로 구분]이다. 1개의 기업체는 본사, 지사, 지점, 공장, 영업소 등 1개 또는...
-
사회적 목적 추구를 위해 수익 창출 활동을 수행하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기업.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고, 이를 위해 수익 창출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이윤 추구가 일차적인 목적인 일반적인 기업과는 달리 사회적 기업은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기업을 말한다. 부산광역...
-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두고 30년이 경과하고 상시 종업원이 100명 이상, 최근 3년간 평균 매출액이 500억 원 이상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기업. 부산광역시에서 기업인들이 기업 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처음으로 2005년 5월 4일 「기업인 예우 및 기업 활동 촉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각종 시책을 추진하였다...
-
사업상의 투자, 자산, 부채 등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개인이 지고 운영하는 부산광역시의 사업체. 부산광역시의 개인 사업체 수는 2006년 26만 2926개에서 경제 위기였던 2008년에 25만 8091개로 급격히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여 2011년 현재 26만 3356개를 기록하고 있다. 종사자 수는 2006년 114만 7243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현재...
-
부산 지역에서 시작한 식품 제조업체. CJ는 설탕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1953년~1969년 1953년 8월 부산시 부산진출장소 부전동[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제일제당공업을 설립하였다. 삼성그룹 최초의 제조업이었다. 1953년 11월 대한민국 최초의 설탕 생산 시설인 부산 1공장을 준공하고 제당 사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전체 부...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일반 고압가스 제조, 충전, 판매 기업. 1974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부산진출장소 학장동[현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서 일반 고압가스 제조업체로 명신와사공업사가 설립되었다. 1977년 10월 1일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학장동[현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276-22번지]로 사업장을 이전하였다. 1981년 4월 1일 명신가스로 상호...
-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평동 1가에 있는 조선소. 1967년 4월 10일 부산직할시 영도구 대평동에서 동양조선공업이 설립되었다. 1973년 1월 대동조선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6월 경상남도 진해시에 진해조선소가 완공된 후 대동조선 본사를 옮겼다. 이후 부산직할시 영도구 대평동 사업장은 대동조선 부산조선소가 되었다. 1997년 수산중공업이 대동조선을 인수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주물[슈즈, 자동차·정밀 기계 등] 주조업체. 강성정밀은 자동차 부품 및 밸브 부품 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3월 25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서 강성산업을 설립하였다. 2001년 6월 25일 법인으로 전환하고, 강성산업에서 강성정밀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성정밀은 신발 주조를 시작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페인트 및 도료 제조업체. 강남제비스코는 도료와 안료의 제조 및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 설립~1980년대 1945년 12월 부산시 동구 초량동에 남선도료상회로 설립되었다. 1952년 5월 16일 부산시 동구 범일동의 적산(敵産) 부지를 인수하여 공장을 건설하였다. 1952년 7월 건설화학공업으로 법인 전환하고 본사를 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여객 자동차 운송 회사. 경남고속은 부산 지역에서부터 특정한 다른 도시까지 여객 수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6년 2월 1일 경남뻐스를 설립하였다. 1974년 1월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으로 사옥을 옮겼으며, 1978년 부산진구 전포동으로 다시 이전하였다. 1986년 8월 경남뻐스에서 경남버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한때 부...
-
1956년 부산광역시에서 창립되었던 직물 제조업체. 경남모직은 방직 직조 및 염색 가공 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4년의 대경산업을 모태로 1956년 1월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경남모직공업으로 창립되었다. 1967년 국제양모사무국[International Wool Secretariat: IWS]의 울 마크(Wool mark)를 획득하였고, 1973년 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건설업체. 경동건설(慶東建設)은 부산 지역 건축 공사를 위해 설립되었다. 1973년 11월 12일 경동건설이 설립되었다. 1973년 12월 건축 공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79년 12월 토목건축 공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7년 3월 주택 건설 사업자로 등록하였다. 1990년 3월 대한주택공사 우수 시공 업체로 선정되었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체. 경동테크는 부산 지역에서 자동차 범퍼, 자동차 차체용 부품, 서브 프레임 생산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1월 12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서 경동테크를 설립하였고, 1998년 8월 3일에 작업장을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로 이전하였다. 2000년 5월부터 르노삼성자동...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가축용 배합 사료 제조업체. 고려산업은 축산 발전을 통하여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7년 7월 고려건설을 설립하였다. 1976년 11월 고려건설에서 고려산업으로 개칭하였다. 1971년 10월 부산정미소를 인수한 이후, 1975년 9월에 삼공산업을 흡수·합병하였다. 배합 사료 제조업 및 판매 사업 등의...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특수 선재 제조업체. 고려제강은 특수 선재류의 제조, 판매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5년 9월 22일 무역 회사 고려상사로 설립되었으며 1958년 1월 7일 법인 전환하였다. 1961년 1월 고려제강소를 설립했으며 1969년 8월 20일 고려제강으로 개칭하였다. 1972년 11월 1일 경상남도 양산군 상북면[경상남도 양산...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에너지 유통 기업. 광신석유(光信石油)는 석유 및 윤활유 도소매를 통하여 영리를 추구하고, 나아가 부산 지역의 에너지 유통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광신석유상사로 설립되었다. 1972년 11월 6일 법인화하여 광신석유로 개칭하고 주식회사가 되었다. 광신석유는 석유 및 윤활유 도소매를 주요 사업으...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던 신발 제조업체로서 LS네트웍스의 전신. 1949년 국제고무공업사로 창립되었다. 1949년 당시 27세였던 양정모(梁正模)가 부친 양태진이 운영한 만유일흥업정미소에 약 496㎡[150평] 규모의 고무신 공장인 국제고무공업사를 차리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국제화학은 ‘왕자표’ 고무신을 생산하는 제조 기업이었다. 1962년에 주문자 생산 방식으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건설업체. 국제종합토건은 토목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4월 삼환상사를 설립하였다. 1970년 2월 26일 연합개발로 법인 전환하고, 4월 7일 건설업 면허[토목, 건축 공사업 제757호]를 취득하였다. 1978년 1월 1일 국제토건, 1983년 10월 28일 중앙토건, 1987년 1월 12일 국제종합토건으로 명칭...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었던 국제그룹의 화물 운수 회사. 1967년 권철현(權哲鉉)이 부산직할시 중구 대교동 2-72번지 소재에 연합실업[연합통운]으로 설립하였다. 1975년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2-5번지로 이전하였다. 1977년 2월 26일 국제그룹이 인수하면서 국제통운으로 개칭하고, 부산직할시 남구 감만동 588-1번지로 이전하였다. 1986년 국제그룹이 해체...
-
부산 지역에서 성장한 대표적인 신발 제조업체. 1938년 양태진이 일본인과 합작으로 부산부 범일정에 ‘만류일흥업(滿留一興業)’이라는 정미소를 설립하였다. 1947년 12월 자본금 1000만 환으로 국제화학을 설립하였다. 1962년 2월 15일 등록 번호 6409호로 왕자표를 상표 등록하고 신발 수출을 시작하였다. 1963년 7월 자본금 2500만 원으로 진양화학(進洋化學...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공기업의 자회사. 그랜드코리아레저 부산본부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로서 외래 관광객 유치 및 외화 획득 증대, 이익금의 관광 인프라 확충을 위한 재투자, 관광객을 위한 야간 관광 상품 제공 등 관광 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고용 창출을 통한 청년 실업 완화에 기여하고, 사회 정서상 부정적인 이미지를 안고 있는 카지노 운영에 대한 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골프 웨어 제조업체. 1976년 부산직할시 남구 문현동에서 항도섬유로 설립되었다. 1982년 그린조이 브랜드명을 사용하였다. 1997년 1월 1일 그린조이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3년 9월 3일 섬유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4년 12월 9일 제22회 부산 산업 대상 경영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5년 부산광역시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철 강관 제조업체. 1979년 8월 8일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에서 금강철관으로 설립되었다. 1980년 11월 본사를 부산직할시 북구 학장동으로 이전하고 12월 금강공업으로 개칭하였다. 1988년 8월 기업 공개를 하고 9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1992년 일본 가설공업회로부터 가설 제품 인정 합격증을 획득하였다. 1991...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도금 업체. 금문산업은 플라스틱 사출 및 도금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4월 부산직할시 사상구 학장동에 개인 기업 ‘진성락크로’를 설립하여, 1990년 9월 금문산업으로 개칭하였다. 1996년 4월 금문산업[주식회사]으로 법인 전환하였으며, 1997년 1월 개인 기업 금문산업의 자산, 부채를 포괄 양수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었던 전자 제품 제조 기업으로서 LG전자의 전신. 금성사는 라디오 제작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958년 10월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 공업 회사로 금성사가 부산시 부산진구 연지동에 설립되었다. 1959년 2월 17일 금성사로 설립 등기를 하였다. 1959년 6월부터 최초의 라디오 모델 설계가 이뤄졌다. 최초의 국산 라디오 설계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었던 환경 에너지 산업 전문 업체. 기경IE&C는 신기술로 세계 최고 최강의 환경 에너지 회사로 성장하여, 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 사회와 인류 공영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2002년 4월 기경IE&C가 설립되었다. 2002년 9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 산학 협동관에 입주하였다. 이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7...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었던 제과 제빵 업체. 기린(麒麟)은 빵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창업~1980년대 1969년 5월 14일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여동 1476-34번지[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삼립식품으로 설립되었다. 1975년 1월 1일 노동청에서 녹색 사업장으로 지정하였다. 1975년 7월 22일 국세청이 준성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차량 항법 장치[내비게이션] 제조업체. 나비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는 차량 항법 장치[Car Navigation System] 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대우정밀기술연구소 소속 연구원들이 주축이 되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나비스를 설립하였다. 2002년 11월 벤처 기업으로 등록하였고, 20...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있던 어망 제조 회사. 1960년 자본금 200만 원으로 남양어망공업으로 창설되었다. 1963년 무역업 등록을 하였고 1975년 목포 공장을 준공하였다. 1977년 기업 공개를 하였다. 1990년 8월 남양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4년 6월 13일 제일은행 부산지점과 목포지점에 돌아온 11억 5000여만 원을 결제하지 못하였고, 14...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건설업체. 남흥건설은 토목 건축 공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9년 2월 22일에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에서 남흥건설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4월 8일에 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였다[제589호]. 1976년 3월 25일에 본사를 동구 범일동 26-4번지로 이전하였다. 1978년 7월 3일에 국가 동원 지정 업체가 되었고,...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출발한 플라스틱 제조업체. 1965년 5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연산동에서 내쇼날플라스틱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8월 영진화학을 흡수 합병하였다. 1969년 2월 기업 공개를 하고 9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1971년 6월 로얄플라스틱을 흡수 합병하였다. 1977년 4월 본사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으로 이전하였다. 1987...
-
부산 지역에서 출발한 자동차 튜브, 자동차 타이어 제조업체. 넥센은 주조 철공업 및 제조 가공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9월 10일 유신주철로 설립되었다. 1977년 5월 9일 상호를 흥아타이어공업으로 변경하고 사업 목적을 타이어 및 튜브 제조업 등으로 변경하였다. 1978년 9월 수출입 허가를 취득하고 1979년 3월 8일 서울 사무소를 설치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2002년 1월 다우기업에서 분리되어,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디더블유테크를 설립하였다. 2003년 7월 다우테크로 개칭하고,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369-3번지로 이전하였다. 2007년 1월 회사를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17-6번지로 이전하고,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부산광역시에서 출발한, 발효 조미료와 전분당 식품을 생산하는 식품업체. 대상은 국내 대표적인 종합 조미료 식품업체이며, 상호 ‘미원’은 단어 그 자체가 인공 조미료를 뜻하기도 한다. 1956년 1월 31일에 부산시 동래구 대신동에서 동아화성공업에서 출발하여, 순수한 국내 발효 기술을 기반으로 최초의 국산 조미료 ‘미원’을 개발하였다. 미원의 제조 공장은 495...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4가에 있는 선박 건조 및 수리 업체. 1945년 12월 25일 대선철공소로 설립되었다. 1948년 3월 12일 대선조선철공소로 개칭하였다. 1954년 5월 조선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55년 8월 18일 법인 전환하였다. 1963년 4월 10일 대선조선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4년 9월 부산직할시 영도구 청학동에 제2 조선 공장을 준공하...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신발 도매업체. 대양고무는 신발류 및 신발 부품 제조,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3년 6월 1일 대양고무공업사를 설립하였고, 1962년 11월 15일 대원고무공업사를 인수하여 공장을 가동하였으며, 1963년 1월 1일 대양산업공업사로 개칭하였다. 1974년 2월 11일 동양편물을 인수하여 부산직할시 동래구 연산동 71...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선박용 전기 장비 제조업체. 1977년 7월 25일 부산직할시 영도구 남항동에서 대양전기제작소로 창립되었다. 1977년 2월 12일 선박용 전기 장비 제조업체로 지정되었다[산업자원부]. 1982년 9월 일본 MEIYO ELECTRIC사와 기술 협력을 체결하였다. 1983년 8월 과학기술처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4월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서 설립된 여객용 자동차 제조업체. 1955년 2월에 UNKRA[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유엔 한국부흥기관] 계획에 따라 김창원과 김재원이 대우버스의 전신인 신진공업사를 설립하였다. 1960년에 부산시 부산진구에 신진공업사 부산 공장을 준공하였다. 1965년에는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해 신진자동차공업...
-
부산 지역에서 출발한 대우그룹의 모태 기업. 원단 및 봉제 제품의 수출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3월 22일에 김우중과 대도섬유의 도재환이 각각 50%를 출자한 500만 원의 자본금으로 대우실업(大宇實業)이 설립되었다. 최초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명동에 있었던 동남 도서 빌딩 401호이다. 1967년에 트리코트[tricot, 경편직 메리야스 편물] 한 품목만으로 5...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제약 회사. 1976년 7월 1일 부산직할시 중구 보수동에 대우약품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86년 3월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 579번지로 본사 및 사업장을 신축 이전하였다. 1988년 7월 1일 대우약품공업으로 현물 출자 법인 전환하였다[자본금 1억 5000만 원]. 1989년 3월 본사 및 공장을 3층으로 증축하였다. 1993년 1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건설업체. 대원플러스건설은 주택 관리업, 부동산 중개업, 분양 대행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4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대원컨설팅을 설립하였다. 2002년 4월 대원플러스건설로 개명하고 주택건설협회에 등록하였다. 2006년 12월 경상북도 봉화군 봉하읍 석평리 713번지에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2010년...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는 토목 섬유, 섬유 로프 및 망류 제조업체. 대정은 고객의 만족을 위하여 최상의 품질을 지향하고, 이를 통해 회사와 전 임직원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7년 연승 및 각종 망류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대정이 설립되었다. 1983년 12월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조립부를 준공하였다. 1987년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기계 부품 소재 제조업체. 대창솔루션은 주강품(鑄鋼品) 생산을 위해 설립되었다. 1953년 5월 부산시 영도구 남항동에서 대창주철공업사가 설립되었다. 1977년 10월 대창주강공업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78년 10월 부산직할시 사상구 학장동으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1987년 6월 현대중공업 계열화 수급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금속 및 비철 금속 제품 유통 전문 회사. 대한금속은 철강 제품의 도매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3년 6월 7일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 4동에 개인 기업 대한금속을 설립하였고, 8월 5일 대우중공업 협력 업체로 등록하였다. 1986년 11월 21일 갑류 무역업체로 등록하였다[번호 890708]. 1989년 10월 1일 대한금...
-
일제 강점기 부산 영도에서 설립된 도자기 제조업체. 대한도자기는 일본 이시카와 현[石川縣] 가나자와[金澤]의 지역 향토 기업이었던 일본경질도기가 도자기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한 자회사이다. 1908년(순종 2) 가나자와의 전통 자기인 쿠다니야키[九谷焼] 판매상인 하야시야 지사부로[林屋次三朗]와 가나자와의 다이묘[大名] 마에다[前田] 가문을 중심으로 한 지역 유지의 결...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제강 기업. 대한제강은 기초 산업의 근간을 이루어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선재류(線材類)를 주요 품목으로 하는 제조업체로 설립되었다. 1. 1954년~1999년 1954년 6월 10일 부산시 중구 창신동 2가 24번지에서 대한상사를 설립하였다[설립자: 오우영]. 1959년 6월 1일 대한선재를 인수 합병하였고, 196...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체. 대한칼라는 유기 및 무기 안료 제품 생산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959년 9월 17일 덕영색소공업사를 창립하였다. 1964년 7월 26일 덕영색소공업[주식회사]으로 법인·전환하였고, 1965년 9월 9일 대한색소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2년 일본 동양잉크에서 안료 제조 기술 등 4건의 기술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의복 제조업체. 더베이직하우스는 큰 회사가 되기보다는 좋은 회사가 되길 바란다는 경영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적절한 기업 이윤을 추구하면서도 정직한 세금 납부와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충실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나날이 새로워지는 패션 산업계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세계적 흐름에 참여하여 사회에 공헌하고자 설립되었다. 196...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공장을 두고 있는 부산 지역에서 출발한 제강업체. 1935년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지역에서 남선물산이라는 회사가 설립되었다. 한 재일 교포가 남선물산 창고의 일부를 빌려 신선기(伸線機), 와이어 드로잉 머신(wire drawing machine)[꼬인 선재를 가늘게 늘리는 기계]를 설치하고 철사나 못 등을 생산하였는데 이것이 동국제강의 전신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일동에 있었던 목재업체. 동명목재상사는 가구 판매 및 제재업[합판 판매]을 위한 제재소로 설립되었다. 1925년 부산부 부산면 좌천동[현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동명제재소로 설립되었다. 1945년 부산부 범일동[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일동 862번지]의 합판 제조 및 제재 공장으로 확장 이전하였다. 1949년 동명목재상사(東明木材商社...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액체 연료 및 관련 제품 유통업체. 동방석유는 부산 지역에서 연료 판매업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15일 동방연료를 설립하였으며, 1979년 11월 29일 동방연료에서 동방석유로 개칭하였다. 1998년 2월 9일 계열사로 유한회사인 청정실업을 설립하였고, 2009년 6월 30일 유한회사인 매일가스를 흡수·합병하여...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던 비누 제조업체. 동산유지공업은 비누 제작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9년 12월 31일 자본금 5000만 원으로 부산시 부산진구 범일동에 동산유지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69년 ‘코티 스페시 샴푸’를 개발하여 국내 최초로 샴푸를 제조 판매하였다. 1970년 고형 세탁비누에 한국 공업 규격 표시를 허가받았다. 1971년 ‘...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 동성화학은 접착제 및 고무용 도료 등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9년 9월에 부산시 동구 범일동에서 개인 기업 동성화학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66년 3월에 수출 공산품 생산업체로 지정되었다. 1967년 9월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가야동 648번지로 이전하였으며, 주식회사로...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고무, 화학 섬유 및 플라스틱 성형기 제조업체. 1967년 4월 20일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부전동 151번지에서 동신유압기계제작소로 설립되었다. 1969년 5월 1일에 In Line Screw형 사출 성형기를 국내 최초로 제작하였다. 1972년 6월 20일에는 사출 성형기 양압 장치 실용 신안 특허를 등록하였다. 1982년 3월 11일에...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건설 회사. 동아지질(東亞地質)은 흙과 관련된 설계에서 시공까지 다른 회사와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시공 능력을 기반으로 탄탄한 건설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1971년 3월 26일 부산직할시 중구 대창동[현 부산광역시 중구 대창동]에 동아응용지질콘설탄트로 창립하였다. 1973년 11월 30일 기술 용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설립된 신발 제조업체. 1951년에 현수덕과 현수창, 현수명이 부산시 동구 초량동의 유리 공장을 인수하여 동양고무공업사라는 이름으로 신발 공장을 차렸다. 충청북도 괴산군이 고향인 이들이 6·25 전쟁 피란 시절에 만든 신발은 동자(東字)표였고, 당시 70여 개의 경쟁 업체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휴전 후 현수명[『부산 상공 명람』[1962, 19...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끈 및 로프 제조업체. 동양제강은 차석근이 부산광역시 영도구에서 마닐라 로프(Manila rope)[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 제조 판매를 위하여 설립하였다. 1. 1949년~1999년 1949년 6월 21일 동양제강을 설립하였다. 1973년 3월 12일 합성 섬유 로프 시설을 확장하였다. 1975년 8월 16일 수출입 허가를 취...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건설업체. 동원개발은 부산 지역에 중·소규모 아파트 건설과 보급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 1975년~1999년 1975년 9월 부산직할시 남구 광안동에 동원주택을 설립하였다. 1978년 3월 동원주택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고, 4월 주택 건설업 등록[부산 제78-55호]을 하였으며, 11월 동원주택에서 동원개발로 개칭하였다....
-
부산광역시에 있었던 페인트 전문 제조업체. 동일화학공업은 도료 제조 및 판매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7년 10월 1일 부산부 사중면[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동일화학공업사를 설립하였다. 1954년 9월 부산시 영도 출장소[현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로 공장을 이전하였고, 1959년 11월 부산시 서구 괴정동에 공장을 건설하고 식물성 유류 생산을 겸업...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에 있는 원단 제조업체. 동진섬유는 트리코트(tricot)[신축성이 있는 편직물의 일종] 편직물 제조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968년 8월 동진섬유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82년 12월 동진섬유로 법인 전환하였다. 본사는 부산직할시 동래구 연산동[현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두고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에 공장을 설립하였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증류기, 열교환기 및 가스 발생기 제조업체. 동화엔텍은 선박용 열교환기 및 석유 화학 발전 설비용 열교환기 제조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980년 12월 30일 동화정기로 설립되었다. 1982년 10월 20일 조선용 기자재 전문 공장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6월 30일 중소기업은행에서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하였다. 1986...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조선 해양 종합 엔지니어링 제조업체. 디섹은 설계 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한 조선 기자재의 수출, 각종 품질 검사 및 물류 사업을 수행하는 세계 최고의 조선 해양 종합 엔지니어링 및 리소싱 전문 기업이 되고자 하며, 고객들에게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의 극대화,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고무 제품 제조업체. 디알비동일은 산업용 각종 고무벨트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설립~1990년대 1945년 9월 30일 부산부 동래출장소[동래구 수안동]에서 동일화학공업소로 설립되었다. 1947년 전동 벨트[V-벨트; 단면이 V형인 동력 전달용 벨트] 생산을, 1951년 컨베이어 벨트 생산을 시작하였다. 1964...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에 있는 자동차 엔진용 부품 제조업체. 디알액시온은 자동차 부품, 농기계 부품 제조 및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1월 부산직할시 북구 학장동에서 대림기업사로 설립되었다. 1979년 6월 1일 자동차 부품 양산과 현대자동차 납품을 개시하였다. 1982년 1월 28일 상공부에서 자동차 부품 계열사 업체로 지정하였다. 198...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금속선 가공 제품 제조업체. 디에스알은 부산 지역에서 합성 섬유 로프를 생산하기 위해 남양어망그룹에서 독립하여 설립되었다. 1965년 4월 대성제강공업이 설립되었다. 1971년 9월 삼화제강을 설립하였다. 1981년 10월 삼화제강을 천기제강으로 개칭하였다. 1982년 2월 어망류 최다 수출액으로 수산청장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
부산 지역에서 출발한 LG그룹의 모태 기업. 락희화학공업사를 모태로 둔 LG화학[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0번지 LG 트윈 타워]은 현재 석유 화학계 기초 화학 물질 제조업으로 석유 화학 제품, HDPE, LDPE, PVC, DOP, 아크릴, ABS, PS, EP, 특수 수지, 정보 전자 소재, 2차 전지, 편광판, PDP 필터, 감광재 등을 생산하고 있...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통신 장비 및 부품 도매업체. 루트앤루트는 방송 장비, 동시통역 및 영상 장비 판매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6월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서 위컴시스템(WICOM SYSTEM)을 설립하였다. 1996년 10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으로 이전하였고, 1999년 6월 법인으로 전환하여 상호를 루트앤루트로 개칭하였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본사 및 생산 공장을 둔 완성차 제조업체. 르노삼성자동차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분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3년 6월에 삼성그룹 승용차 사업 진출이 공식화되었으며, 1994년 4월에 삼성중공업이 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Nissan Motor Co., Ltd.]와 승용차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해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에 있는 전자 부품 제조업체. 리노공업은 비닐봉지 등 화학제품 제조를 위해 설립되었으나 1995년부터 전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업종을 전환하였다. 1978년 11월 리노공업사로 창립되었다. 1996년 10월 1일 리노공업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7년 11월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본사 및 1공장을 준공하고 이전하였다. 1999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1999년 11월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 236-4번지에 오케이마린을 설립하였다. 2001년 8월 16일 법인으로 전환하며 마린소프트[주식회사]로 회사명을 개칭하였다. 2000년 5월 GMT 고객 관리 프로그램 저작권을 등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마린소프트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기타 금융 지원 서비스업체. 마이비는 스마트카드(smart card)를 통한 전자 화폐 기술 및 관리를 위하여 설립된 기업이다. 스마트카드를 통하여 교통, 유통, 인터넷 및 각종 민원서류[공공 기관 및 학교] 등 생활 전반에 전자 결재 시스템을 개발 운영함으로써 유비쿼터스(ubiquitous) 사회의 꿈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체. 1953년 9월 4일에 부산시 영도구 남항동 3가에서 동아제강으로 설립되었다. 1959년 12월 27일에 만호제강공업으로 개칭하였고, 1972년 2월에 영도구 동삼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74년 11월 30일에 수출 목표 달성으로 국무총리 표창장을 받았으며, 1975년 3월에 상공부로부터...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던 소프트웨어 관련 벤처 기업. 맥소프트뱅크는 1993년 2월에 정규식에 의해 자본금 12억 3000만 원으로 설립된 소프트웨어 전문 장외 거래 벤처 기업이다. 1999년 10월에 인터넷 공모를 통해 주당 3만 원[액면가 1만 원]에 9억 9000만을 유치하였다. 2000년 2월에 투자 전문 컨설팅업체인 오륙도벤처를 설립해 부산광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전기·통신·소방 공사업 전문 시공 회사. 명전사(明電社)는 전기 공사업, 통신 공사업, 소방 공사업을 전문 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1961년 12월 합자회사 명전사가 설립되었다. 설립자는 고 이지명이다. 1978년 11월 상공부 전기 공사업 면허 허가를, 1979년 9월 체신부 통신 공사업 면허 허가를 취득하였다. 1986년 6월...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산업용 비경화 고무 제품 제조업체. 1973년 4월 28일에 부산시 부산진구 범천동에서 개인 기업 명진고무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83년 12월 23일에 유망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1986년 11월 1일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여 명진고무로 개칭하였다. 1989년 11월 30일에 무역의 날 100만 달러 수출의 탑과 대통령상을 받...
-
부산광역시 북구 괘법동에 있었던 주철 관련 제품 제조업체. 미진금속공업은 주철 생산 기업으로 국내 주요 산업체에 주물 소재를 공급하고 관 이음쇠를 수출하여 국가 핵심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62년 부산광역시 북구 괘법동에 미진금속공업을 설립하였다. 1967년 4월 정부의 지정 업체 기술 지도 사업에 선정되어 해외 시장에 나가 경쟁할 수 있도록...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석유 정제물 재처리업체. 1963년 9월 30일에 상공부 허가 제10호에 의거, 석유 정제업 허가를 취득하여 그해 12월 27일에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 5가 45번지에서 계희경에 의해 미창석유공업사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12월 28일에 미창석유공업으로 개칭하고 법인체로 등기하였다. 1964년 6월에 한국전력 절연유 납품업체로 등록하였고,...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완제 의약품 제조업체. 1957년 12월 17일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5-4번지에서 순천당제약사로 설립되었다. 1985년 6월 4일에 순천당제약으로 개칭하였고, 그해 11월에 본점을 부산직할시 사하구 장림동 480-2번지로 이전하였다. 1986년 6월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에 서울 지점을 설치하였다. 1994년 8월에 우수...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던 합판 제조업체. 반도목재는 합판 수요의 증가에 따라 합판 제조 및 수출입을 통하여 목재업 산업 발전과 국민 경제의 성장을 이룩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510만 달러의 외자와 7억 5300만 원의 내자를 들여 1969년 8월 20일에 착공하여, 1972년 11월 25일에 반도목재 부산 다대포 합판 공장 준공식을 거행하였다. 반도목...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던 벽산그룹 계열의 종합 건설업체. 벽산건설 영남본부는 불굴의 도전 정신과 창조적 실천을 통해 건설 및 관련 서비스 분야에서 최고의 가치를 창출하여 인류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3년에 한국스레트공업 부산지사로 설립되었다. 1972년 1월에 한국건업 부산지사로 개칭하였고, 1991년 3월에 벽산건설 부산본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국내 최초의 카페리 선박 회사. 1967년 8월 9일 제1차 한일 경제 각료 회의와 1968년 8월 27일 제2차 한일 경제 각료 회의에서 부산 지역과 일본 시모노세키[下關] 간의 항로 개설이 논의되었고, 이에 따라 1969년 8월 30일에 부관훼리가 설립되었다. 한일 양국이 공동 운항하기로 하고 양대 법인으로 부관페리[자본금 8500...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여객 자동차 터미널 운영업체. 부산동부버스터미널은 여객 자동차 터미널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4년 10월 17일에 부산동부시외버스정류장으로 설립되었다. 1987년 6월 5일에 여객 자동차 정류장 사업과 여객 운송업에 대한 매표 대행업 및 임대업 등을 개시하였다. 1991년 11월 1일에 지상 4층, 연면적 약 1만 2...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부산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방직 공업 회사. 부산방직공업은 일제 강점기에 제포(製鞄) 공장으로 설립되었다. 부산방직공업은 일본 도쿄[東京]에 본점을 둔 제국제마(帝國製麻) 부산 제포 공장(釜山制布工場)으로 1934년 5월에 설립되었다. 당시의 위치는 부산시 부산진구 가야동이었으며, 공장장은 장야직차랑(長野直次郞)이었...
-
부산광역시 남구에 있었던 유류 유통 업체. 1965년 설립되었다. 부산 기업으로서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의 하나였다. 부산석유는 주요 사업으로 유류 유통업을 영위하였다.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선정 전국 1,000대 기업 중 535위였고, 부산에서는 34위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당시 매출액은 298억 6,000만 원이었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항만 운영사. 부산신항만은 부족한 항만 시설의 확충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동북아 허브 항만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3월 재정경제부가 민자 유치 대상 사업으로 지정한 이후, 1997년 6월 30일 사업 시행자를 선정하여 실시 협약을 체결하였고, 같은 해 9월 5일 부산신항만을 설립하였다. 2000...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던 봉제 공업 관련 업체. 부산제복의 설립 연도와 해체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1971년 12월 8일에 한국봉제공업협회에 신규 가입하였으며, 1974년 5월에 시대복장과 시대무역이 부산제복에 인수되었다. 1976년 6월에는 부산제복과 내외샤쓰[내외복장]가 합병하였다. 부산제복은 1969년 12월 제6회 수출의 날 기념...
-
부산광역시에 있던, 국내 최초로 전기로를 설치하여 빌릿을 생산한 제강 회사. 부산제철은 철강 산업의 성장세 및 수출 호조에 따른 제강업체의 필요성에 의해 제철 공장으로 설립되었다. 1961년 12월 당시, 한일특수강 사장 박정우와 극동철강공업 사장 이원재, 동국제강 사장 장상태, 동서해운 사장 양재원, 재일 교포 장중균 등 5명의 주주가 5,000만 원의 자본...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서 설립된 자동차 엔진용 부품 제조업체. 부산주공은 철강 기계 부품의 소재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7년 4월 27일에 부산시 남구 용호동 181번지에서 부산주공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9월에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 시설 자금 14만 3,000달러로 저주파 전기로와 조형 탈사 및 물...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었던 신발 제조업체. 1982년 4월에 신발 제조업체로 설립되었으며 1986년 경상남도 양산시에 제2 공장을 세웠다. 1990년대 들어 신발업 경기 악화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었으며 1991년에는 자기 자본금이 잠식돼 마이너스 2억 원을 기록했다. 1993년에는 대표 길옥균이 평양에 남북 합자사인 유원신발수출회사 설립 계약을...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업체. 부일정보링크는 콜센터 구축 및 운영, 통신 판매, 근로자 파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1월 15일에 부일이동통신에서 분사되어 부일정보링크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9월에 서울 사무소를 설립하였다. 2000년 12월에 한국통신 n016 무선 인터넷 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2002년...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정보 통신업체. 불스브로드밴드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광통신 사업, 통신 인프라 구축 등 정보 통신 관련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3년 12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342-36번지에 불스정보통신을 설립하였다. 2004년 10월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8번지로 회사를 이전하였고, 2005년 2월 정보 통신 면허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LED 램프의 생산 및 판매업체. 블루싸이언스는 전기·전자 부품 제조업, 조명 장치 개발 및 제조·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6년 1월 26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05-6번지 한솔폴라리스 1020호에서 블루싸이언스를 설립하였다. 2006년 12월 14일 블루싸이언스[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8년...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액상 시유 및 기타 낙농 제품 제조업체. 1963년 3월 23일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에서 한국미락으로 창립하였다. 1967년 8월 1일에 부산직할시 동래구에 부산 동래 공장을 준공하였다. 1970년 5월 1일에는 시유(市乳)[market milk, 우유를 가열 살균하여 포장] 생산을 개시하였다. 1971년 6월 11일에 비락우유로 개칭...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선실 내장재 생산업체. 비아이피는 선박 구성 부분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8년 9월에 부산직할시 사상구 학장동 215번지에서 부일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81년 1월에 영도구 영선동 3가 56번지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그해 4월에 상공부로부터 선박용 기자재 전문 공장으로 지정되었다. 1983년 9월에 경상남도 양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업체. 비앤지로티스는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분야 사업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9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부산광역시청 22층에서 비앤지로티스를 설립하였고, 2002년 3월 기업 부설 연구소인 ITS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2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창업 상담 회사. 비즈벤처컨설팅그룹은 정부의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 제11조에 의거하여 중소기업의 창업과 관련된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창업 상담 회사로 부산 지역 회사 설립을 촉진하고 중소기업의 발전을 통해 지역 및 국가의 건실한 산업 구조 구축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2월 중소기업의 창업과 발전을 돕기...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비트밸리는 통합 방재 시스템과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제조 현장에 필요한 솔루션 개발 및 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28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 2동 산 69-1번지에서 비트밸리를 설립하였다. 2003년 3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651-1번지 부산벤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던 정보 통신 시스템 제작업체. 사일릭스는 데이터 방송과 관련한 시스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1월에 사일릭스로 설립되었다. 그해 2월에 PSB부산방송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고, 같은 해 5월에는 사일릭스 무선통신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PSB부산방송과 현대오토넷, 3사 FM DARC 협약을 체결하였다. 동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체. 1971년 1월 16일에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3가 423번지에서 개인 업체 삼공산업사로 설립되었다. 1973년 9월 18일에 삼공사로 개칭하였고, 부산직할시 영도구 동삼동 410-1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 1977년 8월 13일에 일본 방식공업과 전기 방식(電氣防蝕) 기술 협력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해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 있는 신발 제조업체. 삼덕통상은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OEM]으로 신발을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11월 22일 삼덕통상이 설립되었다. 2004년 6월 개성 공단 시범 단지 입주 기업에 선정되어 2005년 4월 개성 공장을 가동하였으며, 2008년 11월 개성 공단 제2 공장을 확장 이전하였다. 2008년 10월 삼덕통...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종합 건설업체. 삼보이엔씨는 지하수 조사 및 개발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1976년~1995년 1976년 12월 30일 삼보지질을 설립하였다. 1978년 2월 2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으로 이전하였고, 8월 4일 보링(boring)[지질 구조 파악] 그라우팅(grouting)[지반에 충전재 주입] 공사업 면허를 취...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업체. 삼영이엔씨는 1978년 10월 1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 소재에 삼영사로 설립하여, 1979년 11월 1일 삼영전자공업사로 개칭하고 체신부 별종 전송 통신 공사업 허가를 취득하였다. 1985년 6월 1일에는 조선 사업을 등록하였고, 1988년 1월 1일 인천 동보전자를 시작으로 전국 대리점에 판매망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에 있는 전기 회로 계폐, 보호 및 접속 장치 제조업체. 삼원F.A.는 공장 자동화 설계 및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9년 9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삼원전기를 설립하였다. 1988년 3월 법인으로 전환하고, 상호를 삼원 F.A.로 개칭하였다. 2004년 12월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2가 9-1번지에 지점을 설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의약품 도매업체. 삼원약품은 국민 보건 향상과 의약품 업계의 발전, 나아가 국가와 사회, 사람과 생명에 대한 존중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참된 기업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1974년 4월 5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서 삼원약품을 설립하였다. 1982년 12월 29일 법인으로 전환하여 삼원약품[주식회사]으로 개칭하였다. 1984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삼인정보시스템은 조선 산업용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6년 11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40번지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연구실에서 삼인정보시스템을 설립하고, 2006년 11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내 BIG 지원 센터에 입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었던 어망 생산 업체. 1964년 10월 13일 설립되었다. 1975년 한국생산성본부 선정 전국 1,000개 기업 중 266위였고, 부산 지역에서는 27위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당시 매출액은 39억 900만 원이었다.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선정 전국 1,000대 기업 중 841위였고, 부산 지역에서는 61위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당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신발 제조업체. 삼호산업은 신발 산업을 선도하고 부산 지역 사회 및 한국 신발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4년 7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태광케미[현 삼호산업]로 설립되었다. 1983년 3월 삼호실업으로 개칭하고 8월에 수출업체로 전환하였다. 1984년 11월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삼호실업 공...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던 외항 운송업체. 삼호해운은 해상 급유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사업 목적을 해상 운송업으로 변경하였다. 1992년 1월 27일 성호급유로 설립되었다. 1996년 1월 상호를 삼호해운으로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사업 목적을 해상 운송업으로 변경하고 성호해운으로부터 주양호를 인수하였다. 1996년 4월 본점을 부산광역시 동구 초...
-
일제 강점기에 출발한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신발 생산업체. 1925년에 21곳에 불과하던 고무 공장이 1933년에 72개로 늘어나 과잉 생산의 문제가 불거지자, 조선총독부가 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삼화고무가 설립되었다. 삼화고무는 1934년 9월 18일에 13개의 신발 공장을 합병하여 요네쿠라 세이자부로[米倉清三郎]에 의해 부산부(釜山府) 범일정에서 삼화호모(三和護謨)로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던 리스 회사. 리스(lease)는 기계·시설 등을 사용료를 받고 기한을 한정하여 빌려 주는 것을 말한다. 상은리스는 리스업[시설 대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10월 27일에 창립 주주 총회를 거쳐 상은리스가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6일에 상은리스 부산본점을 개점하였다. 당시 납입 자본금은 100억 원으로 상업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던 의류 제조업체. 1998년에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서 상현어패럴로 설립되었다. 2002년 12월에 별도 법인 필모아콜렉션을 설립하였다. 2005년에는 중국과 타이완에 브랜드 ‘필앤모아’ 라이선스 사업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11월에 메가마트 우수 입점 업체 의류 분야 감사패를 받았다. 2008년 10월에 실적 악화로 당좌 거래가 정지되었...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철거 및 건설 폐기물 처리 업체. 서봉리사이클링은 도시 재개발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로 재사용되는 순환 골재를 생산함으로써 환경과 개발의 조화를 도모하고자 설립하였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차세대 신기술을 연구 도입하여 친환경적인 기업으로 거듭나고 자연과 환경, 그리고 기술과 공법이 조화를 이룬 풍요로운 미래 완...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체. 1986년 8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장림동에서 개인 기업 남영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6월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여 선보공업으로 개칭하였다. 1997년 5월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으로 이전하였다. 1998년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로부터 사내 부설 연구소 설립 인증을 획득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용접용 관 이음쇠류 제조업체. 성광벤드는 연구 개발과 품질 혁신을 바탕으로 소비자가 만족하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여 국가 산업 발전과 수출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3년 2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양정동에서 성광벤드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3년 용접용 엘보 성형 방법에 관한 발명 특허를 취득하였다. 1973...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체. 성우하이텍은 자동차 부품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설립~1990년대 1977년 8월에 부산직할시 동구 좌천동에서 성우금속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80년 10월에 사상구 학장동 258-17번지로 이전하였으며, 1981년 12월에 성우로 법인 전환하여 주식회사가 되었다. 1983년 2...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박판·합판 및 유사 적층판 제조업체. 성창기업지주는 정미소 및 목재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16년 11월 20일에 성창상점으로 경상북도 영주군에서 창업하였다. 1931년 12월 7일에 춘양목재를 인수 합병하여 성창임업으로 개칭하였다. 1948년 1월 1일에 본사를 대구부[현 대구광역시]로 이전하였고, 그해 11월 20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전자 제품 제조업체. 성철사는 전기·전자 기기 제품 등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7월에 성철사로 설립되었다. 1969년 6월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였으며, 그해에 해운대구 반여동 1401-1번지로 이전하였다. 1970년 5월에 수출 관련 대통령상을 받았고, 1972년에 자동차와 농기기 부품 생산을 개시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체. 세기정밀은 고속 도금 자동화 장비 분야의 엔지니어링, 설계, 제작, 설치, 사후 관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10월 15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서 세기정밀을 설립하였고, 1999년 7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으로 확장 이전하였다. 2001년 1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녹산...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종합 물류 기업. 세방은 항만 하역 사업 및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 등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5년 9월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서 세방기업으로 설립되었다. 1966년 1월에 부산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68년 3월에 여수 지점을 설치하고, 여수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와 삼일항 항만 하역...
-
부산광역시에 동래구 명장동에 있던 주방 기구 및 공구 제조업체. 세신실업은 스테인리스 식기류, 금속 공구류 및 산업 기계 등의 생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4월 28일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세신실업으로 설립되었다. 1966년 3월 수출품 생산 지정 업체로 선정되었다. 1966년 6월 본사 공장을 가동하여 금속 식기 제조 및 가공...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서 설립된 철강업체. 1960년 10월 19일에 부산시 남구 감만동에서 부산철관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3월에 전선관, 일반 배관용 탄소 강관의 한국 공업 규격 KS 표시 허가를 획득하였다. 1967년 8월에 우리나라 최초로 강관을 수출하였으며, 1969년 5월 13일에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 상장을 하였다. 1970년 8월 10일에 서울...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철강 제조 및 도매업체. 세운철강은 냉간 압연 강판 및 철판 도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8년 6월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 25-11번지에서 세운철강으로 설립되었다. 1984년 5월에 본점을 부산직할시 사상구 감전동 164-12번지로 이전하였다. 1989년 11월에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160-14번지에 김해 코...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던 신발 제조업체. 세원은 각종 의류 및 신발 제조·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6년 1월 10일 국제양행으로 설립되었다. 1978년 3월 사업 목적에 고무 제품 제조 및 판매업을 추가하였다. 1979년 11월 2일 세원으로 개칭하였다. 1981년 12월 제18회 수출의 날 1000만 불 수출 탑 및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패션 유통 회사. 세정은 의류의 패션화를 통해 최고의 생활 문화를 창조하고 세계 최고의 패션 기업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1968년 5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범천동 중앙 시장에서 동춘상회로 개업하였다. 1972년 5월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 부산진 시장 메리야스부로 이전하였다. 1973년 8월 ‘인디안’ 상표를 고안하였다. 197...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센싱맵은 유무선 인터넷 전자 지도 및 위치 기반 서비스[지리 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개발,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9년 4월 12일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446-3번지에서 사이버맵월드를 설립하였고, 1999년 11월 1일 사이버맵월드[주식...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항행용(航行用) 무선 기기 및 측량 기구 제조업체. 소나테크는 해양 측량 및 수중 음향 탐사 장비 등의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10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312번지에 소나테크를 설립하였다. 2000년 11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5가 10-3번지로, 2001년 8월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한국해양대학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업체. 2002년 3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번지 부산대학교 정보통신 창업지원센터에 입주하여, 6월 솔루윈스를 설립하였다. 2004년 3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 2동 센텀벤처타운으로, 2006년 2월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조은 빌딩으로 각각 이전하였다. 2008년 11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12...
-
부산광역시에서 설립된 특수 직물 및 기타 직물 직조업체. 1949년 10월 15일 부산시 부전동[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송월타올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66년 3월 수출품 생산 지정 업체로 지정되었으며, 부산직할시 동래구 사직동에서 동래 공장의 기공식을 가졌다. 1966년 12월 부산 산업 대상 근로 복지 부문을 수상하였다. 1972년 7월 대한민국 산업 포...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체. 스타코는 선박 및 건축 자재의 도매업·소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2년 1월에 부산직할시 영도구 봉래동에서 신성기술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93년 3월에 사하구 신평동 549번지로 이전하였고, 방화용 패널 및 철문 제조업체 신성을 인수하였다. 1994년 1월에는 사하구 신평동 556번지로 이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식품 제조업체. 시온식품은 장류 및 과자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9년 3월 5일에 삼광개발로 설립되었으며, 그해 7월에 삼광물산으로부터 제과 간장 공장을 양수하였다. 1987년 10월 12일에 시온식품으로 개칭하였다. 1996년 11월 25일에 두부 제조 허가를 취득하였다. 2004년 11월 17일에 요구르...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던 밀가루 제조업체. 1964년 부산시 동구 좌천동에서 신극동제분이 설립되었다. 신극동제분은 금융 사업 진출을 위해 1997년 한화종합금융 인수 과정에서 과다한 자금을 투입했다가 IMF 사태로 한화종합금융이 강제 퇴출되자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편 수입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경영난에 시달려왔다. 1998년 10월 13...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업체. 신동디지텍은 조선 기자재[통신 기기 등] 판매 및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7월 4일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 84-2번지에 유한 회사 신동으로 설립하였으며, 1994년 7월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 1213-1번지로 이전하였다. 1998년 6월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964번지에 영...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에 있는 펌프 제조업체. 1969년 12월에 부산직할시 동래구 거제동 753번지에서 개인 기업 신신기계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0년 8월에 동래구 연산동 581-7번지로 이전하였다. 1975년 12월에 KS 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s, 한국 산업 규격]에 의한 양배수 펌프 시험장 시설 및 JIS 규격[Japan...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던 건설업체. 신한산업사는 건설업에 종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신한산업사는 건설업을 주요 사업으로 삼았다. 1975년에 한국생산성본부로부터 1,000대 기업 중 부산 기업으로 선정되었다[매출액 10억 이상]. 전국 순위는 263위였고, 부산 기업에서는 26위에 해당하였다. 매출액은 39억 8,600만 원이었다. 1976년...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산업용 컴퓨터 제조업체. 신화엘컴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산업용 컴퓨터 단말기, 산업용 자동 제어 장치 등의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7년 2월 24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 신화엘컴을 설립하였다 1996년 12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중소기업진흥공단 시행 아파트형 공장에 입주하였다...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던 봉제 의류 제조업체. 쌍미실업은 섬유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4년 쌍미섬유로 설립되었으며 1959년 8월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77년 법정 관리 이후 쌍미실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1988년 1억 달러 수출 탑을 수상하였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수상 화물 취급업체.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은 컨테이너와 이와 관련된 화물의 하역, 보관, 운송 및 조작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5년 12월 신선대 부두가 착공된 이후, 1990년 6월에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서 동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설립되었다. 1991년 6월에 신선대 부두 운영을 개시하였으며, 1995년 5월...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특수 신발, 의류 제조업체. 아로펙코리아는 고부가 가치의 특수 피복 및 신발 생산을 목적으로 2001년 2월 15일 설립되었다. 부산 지역 신발 및 의류 제조업체인 아로펙코리아는 윈드서핑, 제트스키, 요트 등 레저용 특수 의류와 오토바이용 단화 등 특수 신발을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다.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OE...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아시미르는 조선 산업 분야의 운영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3월 3일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부경대학교 부경기술사업단 내에 아시미르디지털을 설립하였다. 2007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70번지로 이전하였으며, 2007년 8월 기업 부설 생산최적화연구소를 설립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업체. 아이맥스는 보안 장비, 영상 장비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10월 5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666-6번지에서 코리아 자동화 시스템을 설립하였고, 1991년 8월 4일 중국 장춘시에 광학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3년 8월 18일 아이맥스로 개칭하고 법인 등록을 하였으며, 2...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던 신발 제조업체. 아이손은 기능성 신발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9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375-4번지에서 자스브랜드로 설립되었다. 2001년 9월 상호를 아이손으로 변경하고 본점을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63-7번지 임차 사업장으로 이전하였다. 2005년 5월 본점을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32-7번...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가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아이엠씨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정보 처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10월 8일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가 113번지에서 이인츠를 설립하였다. 2003년 5월 28일 이인츠에서 아이엠씨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아이엠씨는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 복합 건물, 쇼핑몰...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설립된 통신 유통업체. 아이즈비전은 무선 호출 사업과 PC 통신 사업, 이동 통신에 관한 연구 및 부가 서비스 기술의 개발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2년 8월에 부산·경상남도 지역 무선 호출 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그해 9월 9일에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에서 부일이동통신으로 설립되었다. 1993년 8월에 무선 호출 시범 서비스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일반용 도료 및 관련 제품 제조업체. 1980년 9월 18일에 선박·중방식(重防蝕)용 도료 제조를 위한 International Paint PLC[U.K.]와의 기술 도입 계약 체결이 인가되었다. 같은 해 10월 21일에 노루홀딩스와 스위스의 Colorfina S.A. 간의 합작 투자 계약에 의거하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에서 대한인...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감속기 설계 제조 전문업체. 아폴론파워텍은 2002년 5월 20일에 특수형 유성 감속기를 개발 완료하고, 그해 8월 20일에 유성 감속기의 국내 특허를 출원한 이후 감속기를 전문적으로 설계·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1월 8일에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부산기능대학[현 한국폴리텍7대학 부산캠퍼스] 창업보육센터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애크미컴퓨터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용역, 컴퓨터 제작 조립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3년 4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온천동 1247-1번지에 애크미상사를 설립하였다. 1987년 3월 애크미전자로 개칭하였고, 1990년 11월 15일 애크미컴퓨터[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1년 11...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에디넷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보수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8년 2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서 에디넷을 설립하였다. 2003년 11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 76-14번지 씨엠케이 빌딩 6층으로 이전하였다. 2005년 1월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2005년 11월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산업용 부품 전문 제조업체. 에스 앤 더블류는 볼트와 너트 등 산업용 부품, 조선 기자재 부품의 전문인 제작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7년 3월 2일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신일너트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87년 8월 7월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이전하였다. 1990년 1월 신일볼트공업으로 개칭하고 법인으로 전환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방산품 제조업체. 1981년 12월 대우그룹이 국가사업 민영화 정책에 따라 국방부 산하 조병창(造兵廠)[1973년 11월 29일 준공]을 인수해 대우정밀공업을 설립하였다. 1982년 6월 한국형 소구경 화기를 개발하였다. 1983년 10월 기술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86년 7월 자동차 부품 공장을 준공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화물 운송 중개·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체.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는 선박 관련 서비스 사업의 전문성 제고 및 핵심 역량에 집중하고자 에스티엑스에서 분사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5월에 범양전용선이 설립되어 4척의 5만 4000DWT[Dead Weight Tonnage, 재화 중량 톤수]급 오일 탱커(Oiil Tanker) 영업...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본사를 둔 항공사. 에어부산은 부산 지역의 항공 산업 발전, 부산 지역민의 항공편 이용 편의 증진, 지역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7년 7월 부산항공설립추진위원회가 발족하였다. 2007년 8월 1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부산국제항공[납입 자본금 50억 4000만 원]으로 설립되었다. 2008년 2월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정밀 금형 제조업체. 에이엠티 코리아는 정밀 시제품 ES[Engineering Sample] 작업에서부터 양산까지 지원하는 개발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짧은 납기와 저비용의 새로운 금형 제작 공정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 및 시장에 대한 정보 제공과 컨설팅, 액상 분말 주조 금형 기술을 개발하고 사출 금형과 프레스 금형을 접목하여...
-
부산광역시에 있던 초고속 영상 처리 전문 업체. 엠아이비전은 영상 전송 장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1월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김재호 교수와 전자공학과 대학원 출신들이 벤처 기업 엠아이를 설립하였다. 1998년 8월 벤처 기업으로 등록하였다. 1998년 11월 8 Channel IMAGE INPUT Board, 30 frame/sec IM...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체. 엠앤브이는 주택 건설업을 주요 사업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2005년 5월 26일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서 엠앤브이로 설립되었다. 2011년에 금정구 구서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엠앤브이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412-3번지의 6만 9375㎡ 대지에 아파트를 신축하여 분양...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소맥분 및 배합 사료 제조업체. 영남제분은 1959년 6월 26일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구포리[현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서 설립되었다. 1962년 뉴매틱 시스템[pneumatic, 압축 공기 시스템] 현대식 공장을 준공하고, 1966년 4월 환능제분 공장 시설과 대선제분 공장 시설을 인수하였다. 1966년 11월 부산직할시...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가스 밸브 전문 생산 업체. 영도산업은 가스 압력 조정기 및 각종 밸브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4년 4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사상면 학장동[현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영도산업이 설립되었다. 1974년 10월 가스 압력 조정기 및 각종 밸브 제조 허가를 취득하였다. 1978년 8월 고압가스 용기 및 기구 제조...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었던 석유 정제품 제조업체.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기준으로 부산 지역 기업 중에서는 45위이고, 전국에서는 733위였다. 매출액은 202억 2,300만 원이었다. 1995년에는 부산 지역에서의 순위가 15위였고, 전국 순위는 473위였다. 매출액은 1,786억 2,800만 원이었다. 부산 기업으로서 상공회의소 기준 1,000대 기업 중 하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선박 장비 생산 전문 업체. 오리엔탈정공은 조선 해양 산업 분야의 전문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0년 7월 19일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에 오리엔탈휘팅이 설립되었다. 1990년 5월 오리엔탈정공으로 개칭하였다. 1987년 11월 일백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1991년 11월 오백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장류 제조업체. 오복식품은 간장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2년 12월 30일에 부산시 영도구에서 대동식품으로 설립되었으며, 1963년 5월에 오복간장으로 개칭하였다. 1967년 12월에 우량 식품업체로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1976년 4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감천동 771-5번지로 사업장을 이전하였다. 1987년 3...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가정용 전기 기기 제조업체. 오성사는 도료와 잉크 등의 제조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4월 5일에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오성사로 설립되었다. 1971년 12월 6일에 오양사로 법인 전환하였으며, 1975년 10월에 상호를 오성사로 변경하고 사업 목적에 전기 전자 제품 제조업을 추가하였다. 1976년 5월...
-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에 있는 철강 전문 제조업체. 와이케이스틸은 함석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8년 8월 부산시 부산진구 당감동에서 극동철강공업을 설립하였다. 1962년 부산시 동래구 낙민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66년 12월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 출장소[현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으로 이전하였다. 1970년 7월 제1 연속 압...
-
부산광역시에 있던 연탄 제조업체. 1967년 11월 부산직할시 동래구에서 왕표연탄이 설립되었다. 1972년 7월 경남연탄[현 경남에너지] 법인 설립에 참여하였다. 1974년 2월 경동탄광[현 경동] 법인을 설립하였다. 1976년 8월 왕표내화 법인 설립에 참여하였다. 1977년 6월 울산연탄[현 경동도시가스] 법인을 설립하였다. 1978년 3월 경동기계[현 경동보일러]...
-
부산광역시에 있던 식품 제조업체. 1969년 9월 11일 우성식품으로 설립되었다. 종합 건설 업체인 삼환기업이 모기업이며, 청량음료 및 각종 음료 제조·판매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였다. 1971년 4월 17일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우 2동 1100번지에 음료 공장을 준공하고 코카콜라를 생산하였다. 1977년 5월 동남식품[대표 신명수]을 인수하여 펩시콜라를 생산하기 시작하였...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컴퓨터 시스템 관리 전문 기업. 우원정보기술은 정보 통신 공사업, 컴퓨터, 주변 기기 제조 및 판매, 소모품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6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 685-15번지에 르네상스정보기술을 설립하였다. 2003년 4월 소프트웨어 사업자로 신고하였다. 2005년 12월 우원정보기술로 회사명을 변경하였으며,...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는 안료 제조업체. 욱성화학은 안료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설립~2000년 1969년 12월에 부산직할시 사상구 주례동 149-4번지에서 욱성화학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5년 1월에 유기 안료를 생산하였고, 부산직할시로부터 수출품 생산 지정 업체로 선정되었다. 1976년 5월에 사업장을 부산직할시 금정구 회동동 155...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창업 투자 회사. 위더스기술금융은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의 중소기업 창업 활성화 및 육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11월 1일 부산 지역 상공인들이 공동 출자하여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부전동[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257-5번지]에 부산창업투자를 설립하고, 산업자원부 벤처 캐피탈 제1호...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철강 가공 및 유통업체. 윈스틸은 철강 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6년 9월 17일에 동명철강상사[연합철강공업 대리점]로 설립되었다. 1982년 10월에 포스코 냉연 및 열연 대리점으로 지정되었고, 1986년 11월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여 동명철강으로 개칭하였다. 1991년 11월에 포항 공장 열연 스틸 서...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낚시 장비 제조업체. 1966년 10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감천동 399번지에서 개인 기업 은성사로 설립되었으며, 1973년 11월 7일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였다. 1974년 5월 6일에 무역업자로 등록하고 방위 산업체로 지정되었다. 1976년 2월 26일에는 기계 공업 진흥법에 의해 기계 공업자로 등록하였다. 1981년 10월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물류 기업. 인터지스는 부산 지역 항만에서 하역업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 1956~1999년 1956년 2월 23일 부산시 중부출장소에 대성기업[주식회사]을 설립하였다. 1960년 10월 11일 천양항운으로 개칭하였고, 1978년 6월 7일 부산지방해운항만청으로부터 부산항 제3 부두 주간 회사로 지정되었다. 1980년 3월...
-
벽산건설의 모태로 부산 지역에서 영화 산업으로 시작한 기업. 인희는 영화 수입업과 무역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1년 9월 28일에 부산시에서 동양물산이 설립되었고, 1952년 3월 20일에 영화 사업 부문이 분리되어 동양영화가 설립되었다. 1958년 11월 27일에 동양물산에서 한국스레트공업[현 벽산]을 설립하였다. 1962년 7월 10일에 동양물산이...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토목 시설물 건설업체. 일경산업개발은 항만 준설 공사 및 토목 건설 공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3월 31일 삼협개발로부터 물적 분할에 의해 삼협건설로 설립되었다. 2002년 9월 삼협개발의 일부를 분할 합병하였다. 2002년 11월 에스에이치산업을 설립하였다. 2003년 6월 에스에이치포장산업을 설립하였다....
-
부산광역시에 있던 건설 업체. 1957년 3월 25일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자유건설이 설립되었다. 1976년 부산직할시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8년 2월 11일 최종 부도 처리되었다. 1970년대까지 주요 사업은 건축업이었다.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동래여자전문대학[현 동부산대학교] 캠퍼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공사 등이 이 시점에 이루어졌다. 1980년대 들어서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섬유 소재 제조업체. 대우의 정리 과정에서 무역 업무를 전담하는 법인으로 대우인터내셔널이 분리 출범하였으며 대우인터내셔널|부산은 섬유 소재 제품 제조를 담당하게 되었다. 2014년 40여 년의 노하우와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연성체[Soft Materials] 제조사가 되기 위해 정산인터내셔널로 출범하였다. 1967...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유압기 제조업체. 1978년 11월 1일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개인 기업 제일유압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7월 15일에 한국기계연구소로부터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었으며, 1996년 12월 20일에는 중소기업은행으로부터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었다. 1997년 2월 20일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였다. 같은 해 2월 26...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전기 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 장치 제조업체. 1955년 11월 1일에 부산시 서구 서대신동 3가 360번지에서 개인 기업 제일유기공업사로 개업하였다. 1967년 4월 1일에 부산시 사하구 괴정동 50번지로 이전하였고, 그해 6월 1일에 전기 배선 기구 제조 허가를 획득하였다. 1970년 10월 1일에 부산직할시 서구 괴정동 343-1번...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는 도료 전문 제조업체. 조광페인트는 목공용 도료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7년 3월 조광페인트공업사로 창업하였고, 1967년 1월 법인체로 조직 변경하여 조광페인트공업[주식회사]으로 개칭하였다. 1985년 3월 양산 제2 공장[선박용 도료 및 분체 도료]을 준공하였으며, 1988년 4월 노르웨이 요턴 사와 합자회사...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었던 일본 자본에 의해 설립된 한국 최초의 기계제 면 방적 회사. 조선방직(朝鮮紡織)은 면화의 재배 및 매매, 면사와 면포의 방직 및 판매, 동일 사업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17년 11월 10일 부산부 동구 범일정 700번지[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조선방직이 설립되었다. 1922년부터 조업을 개시하였다. 19...
-
부산광역시에서 창립된 용접 재료 제조업체. 조선선재는 용접 재료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설립~1970년대 1949년 1월에 부산시 동구 초량동에서 조선선재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6월에 부산시 남구 우암동으로 공장을 확장 이전하였다. 1965년 4월에 피복(被覆) 아크(ARC) 용접봉(鎔接棒) 제조 설비를 신설[200톤/월]하였으며, 그해 1...
-
부산광역시에 있었던 가전제품 및 부품 도매업체.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선정 전국 1,000대 기업 중 625위였고, 부산 지역에서는 40위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당시 매출액은 243억 1,100만 원이었다. 중앙라디오는 주요 사업으로 가전제품 및 부품 도매업을 영위하였다. 부산 기업으로서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연탄 및 석탄 가공품 제조업체. 1969년 6월 7일 부산직할시 남구 문현동에서 진아산업이 설립되었다. 1985년 부산 기업으로서 한국증권거래소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하나였다. 1985년 한국증권거래소 선정 전국 1,000대 기업 중 832위였고, 부산에서는 57위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당시 매출액은 169억 8,500만 원이었...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신발 제조업체. 창신아이엔씨는 신발류 부품 및 완제품의 제조·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1년 12월 10일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에서 대신교역으로 설립되어, 1982년 1월 1일에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3년 7월 17일에 신발 갑피 생산 공장을 가동[재봉 3개 라인]하였고, 1985년 9월 30일에는 제화 라인을...
-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 1가에 있는 고속버스 운송업체. 천일고속은 여객 자동차 운송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9년 9월 30일에 부산시 서구 충무동에서 천일여객자동차로 설립되었다. 1965년 7월 30일에 자동차 조립 공사 설립 인가를 받았고, 같은 해 12월 18일에 교통부 고시 제1111호에 의거하여 완전 직영업체로 승인되었다. 1966년 2월 1일에...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지점이 있는 화물 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체. 1974년 2월 2일에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 472-9번지에서 천경실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95년 5월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572-69번지로 이전하였다. 1978년 11월 13일에 천경콘테이너터미널로, 2003년 12월 13일 천경으로 개칭하였다. 2003년 12월 18일 경상...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부산 본사를 두고 있는 건강 보조 식품 제조업체. 천호엔케어는 ‘우리가 먹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권하지 않는다’는 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180여 가지 건강 제품을 직접 제조, 판매하고 있다. 1984년 8월 28일 천호물산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11월 식용 달팽이 분양 업무를 개시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화물 자동차 운송업체. 1956년 6월 26일에 부산시 동구 범일동에서 천일정기화물자동차로 설립되었다. 1962년 8월 20일에 노선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68년 4월 25일에 1급 자동차 정비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고, 1972년 3월 1일에 특별 보세 운송 사업 허가를 취득하였다. 1978년 3월에 경상북도 영...
-
부산광역시에 있는 종합 물류 회사. 케이씨티시는 컨테이너 터미널 사업, 항만 하역, 운송, 보관, 중량물 사업, 소화물 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7월 20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63에서 고려콘테이너터미날로 설립되었다. 1973년 10월 1일 부산직할시 동래구에 부산 동래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 야적장]를 개설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화물 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체. 1986년 10월 17일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79-1번지에서 코웰로 설립되었다. 1987년 10월에 러시아 해운 대리점 업무를 시작하였으며, 1989년 1월에 러시아 해산물 무역 업무를 시작하였다. 1992년 1월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89-12번지로 이전하였고, 그해 5월에 유럽 조선...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용접 재료 제조업체. 키스웰은 용접 재료, 용접봉 생산을 위하여 동국제강 산하의 계열 기업으로 설립되었다. 1964년 9월 10일 고려제강의 방계 회사인 대한강선을 설립하였다. 1973년 7월 21일 대한강선에서 고려용접봉으로 개칭하였다. 1978년 10월 특수봉 제조 공장을 신설하였다. 1987년 2월 용접 기술 연구소를, 8...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산업용 관이음쇠 제조업체. 태광은 최고의 품질만이 기업 생존의 보루라는 신념으로 앞선 기술 개발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산업용 관이음쇠 제조 산업을 주도해 나가는 전문 기업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1965년 5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양정동에서 태광벤드로 창립되었다. 1973년 7월 부산직할시 사상구 모라동의 사상 공업 단지로 신축...
-
부산광역시에서 창립된 화학 섬유 방적업체. 태광산업은 섬유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창립~1970년대 1950년 10월 25일 동양실업에 투자하여 태광산업의 모체가 설립되었으며, 1953년 10월 10일에 동양실업을 완전 인수하여 1954년 7월 1일에 부산부(釜山府) 동래군 문현동에서 태광산업사로 설립되었다. 1961년 9월 15일에 태광산업 주식...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지사가 있는 건설업체. 1989년 8월 31일에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륜동에서 태아건설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11월 30일에 전문 건설업 면허[토공 사업, 수중 공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90년 1월 15일에 부산직할시 동래구 사직동 160-3번지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4년 9월 27일에 수중 공사업 면허를 반납하였고, 그해 12...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금속 단조 제품 제조업체. 태웅(太熊)은 고품질 단조 제품을 생산, 공급하여 국가의 기간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1년 5월 16일 부산직할시 북구 삼락동[현 부산광역시 북구 삼락동]에 태웅단조공업사로 창립되었다. 1984년 5월 부산직할시 북구 엄궁동[현 부산광역시 북구 엄궁동]으로 이전하였다. 1987년 6...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던 합판 전문 제조업체. 태창목재공업은 합판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설립~저목장 설치 1968년 12월 26일에 태창목재공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 9월 20일에 내자 4억 원, 외자 170만 불을 들여 부산직할시 동래구 민락동[현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약 5만 9504㎡[1만 8000여 평] 규모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던 신발류 제조업체. 1947년에 유한회사 태화고무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66년에 대통령 포상을 받았으며, 1973년에 태화고무로 조직을 변경하였다. 1974년에는 기업 공개로 상장 회사가 되었다. 1977년에 태화고무는 태화로 상호를 변경하고 업종 다각화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1978년 1월에 공영건업을 인수하고, 자본금을 2억 9100...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해운·항만·물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컨설팅업체. 1988년 11월 1일에 부산직할시 영도구 남항동 2가 65번지에서 개인 기업 토탈소프트뱅크로 설립되었다. 1989년 1월 14일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였다. 1993년 12월에 병역 특례 업체로 지정되었다. 1995년 6월에 물류 시스템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7년 2월에는 말...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신발 제조업체. 1988년 8월에 부산직할시 사상구 삼락동 79-10번지에서 개인 기업 동호실업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11월에 5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1990년 9월에 한국화학시험검사소로부터 신발류에 대한 품질 보증 업체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10월에 부산직할시 사상구 삼락동 388-2번지의 자가 사업장으로 이전하였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카지노업 및 건설업체. 파라다이스글로벌은 카지노업 및 투전기업(投錢機業)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5월 25일에 파라다이스비치호텔에서 법인 분리하여 파라다이스해운대관광으로 설립되었고, 1997년 12월 1일에 파라다이스부산으로 개칭하였다. 2001년 7월에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400-1번지에 대구 지점을 설치하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남성용 정장 제조업체. 1973년 5월 7일에 영남섬유로 설립되었다. 1978년 11월 1일에 수출의 날 부산시장상을 받았고, 1979년 7월 30일에 태화섬유로 개칭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본점을 서울특별시 중구 삼각동 115번지로 이전하였다. 1985년 11월 30일에 수출의 날 1000만 불 수출의 탑과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1987...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금속 단조 제품 제조업체. 평산(平山)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기술력 확보 및 품질 향상으로 국내와 국외에 다양한 열간 단조품을 공급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11월 25일 부산직할시 사하구 하단동[현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평산철강산업사로 설립되었다. 1994년 1월 20일 평산철강산업사에서 평산금속으로 회사명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관 이음쇠 및 밸브 제조업체. 1977년 7월에 부산직할시 북구에서 협동금속공업사로 창립되었고, 1978년 3월에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을 하여 협동금속으로 개칭하였고, 동년 동월에 독일선급협회[GL, Germanischer Lloyd] 형식 승인을 획득하였다. 1979년 12월에는 영국선급협회[LR, Lloyd's Register] 형식...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철강 선재류 제조업체. 1974년 5월 21일에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에서 한국선재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8년 6월 20일에 수출입 허가를 취득하였다. 1984년 11월 30일에 수출 유공자 대통령상과 제21회 수출의 날 10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1985년 2월 21일에 철선 한국 산업 규격[KS] 표시 인증을 획득하였고...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윤활유 및 그리스 제조업체. 1960년 7월 5일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4가 17-12번지에서 극동정유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61년 8월에 우암 공장에서 윤활유 생산을 개시하였고, 1964년 8월에는 우암 공장에서 그리스 생산을 개시하였다. 1968년 8월에 MEK Dewaxing 시설[용제 탈납, 유동점이 낮은 윤활유 제조]을 준공...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주철관 제조업체. 한국주철관공업은 주철관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4년 4월에 부산시 남구 감만동에서 한국기계주물제작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2월에 한국주철관공업으로 개칭하였다. 1969년 12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 상장을 하였으며, 1972년 5월에 포항 강관 공장을 준공하였다. 1979년 4월에 본점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제강업체. 한국특수형강은 금속 제강 제련 가공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특수형강은 1971년 5월 18일에 당시의 부산직할시 동래구 낙민동 7번지에서 부산신철로 설립되었다. 1974년 9월에 부산직할시로부터 수출품 생산 지정 업체로 선정되었으며, 그해 9월에 사상구 학장동 727-3번지로 이전하였다. 1989년...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항구 및 기타 해상 터미널 운영업체. 한국허치슨터미널은 항만 하역업을 주요 사업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1월 31일에 한국허치슨터미널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2월 5일에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등록하였고, 그해 2월 27일에 현대상선 항만사업부를 인수하였다. 한국허치슨터미널은 허치슨왐포아리미티드(Hutchi...
-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 1가에 있는 기타 수산 동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체. 1963년 3월 14일에 한성기업으로 설립되었다. 1969년 6월 23일에 국내 최초로 북태평양 조업을 시작하였다. 1972년 10월 12일에 울산 냉동식품 공장을 준공하여 국내 최초로 명태 필렛(fillet)[살코기]을 생산하여 수출하였다. 1984년 5월 17일에는 김해 공장을 인수하였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인형 및 장난감 제조업체. 한스이엔지는 승용 완구 제조 및 판매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설립~1990년대 1969년 5월 5일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 84-92번지에서 동신화학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9년 4월 1일에 사하구 신평동으로 공장을 확장 이전하였다. 대지 약 3,306㎡, 건물 약 4,959㎡였다. 1...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합성 섬유 제조업체. 한일물산은 합성 섬유 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7년 10월에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에서 시온합성섬유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11월에 제9회 수출의 날 석탑 산업 훈장을 받았다. 1973년 1월에 광진섬유공업과 한진모방, 시온산업, 태평양화섬과 합병하였으며, 그해 11월에 제10회...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지주 회사. 한진중공업홀딩스는 강선 건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조선중공업 설립 1937년 7월 10일에 조선중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38년 11월에 국내 최초의 철강 화물선[390톤급]을 건조하였고, 1945년 8월에 대한조선공사[국영]로 전환 운영되었다. 1962년 9월에 국내 최초로 공작 기계[선반]를 제작하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정보 통신 업체. 한창은 섬유업체로 처음 설립되었으나 전자 통신 분야에 성공적으로 진출하여 뛰어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의 성장과 기업 가치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기업이다. 1967년 7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연산동에서 한창섬유공업사로 창립되었다. 1969년 1월 한창섬유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71년 11월 제8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체. 한토알이디는 부동산 개발 사업 및 시행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5년 5월 4일에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한토알이디로 설립되었다. 2007년에 연제구 연산동 582-74번지로 이전하였으며, 2010년에는 해운대구 재송동 1209번지로 이전하였다. 한토알이디는 주요 사업으로 부동산...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던 건설 업체. 해강은 설계 감리 및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7년 설립된 동양건설과 1961년 설립된 삼화공무사를 모태로 하여 설립된 건설 업체이다. 1993년 12월 부설 해강기술개발연구소[해강종합연구원]를 설립하였다. 1997년 4월 7일 최종 부도가 났고, 화의 신청에 대해 법원은 1946억 원에 이르는 채무 변제...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체. 해덕파워웨이는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조선 기자재의 국산화를 달성하여 조선 기자재업 및 국내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78년 3월 21일 해덕선박의장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92년 4월 해덕선박의장공업사에서 해덕선기공업으로 법인 전환하여 주식회사가 되었다. 1999년 12월 부...
-
부산광역시 부경대학교와 산학 연계하여 설립된 기능성 합성수지 필름 제조업체. 2003년 3월에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필름개발연구소가 개설되었고, 그해 6월에 기능성 필름 개발 회사인 허밍바이오가 설립되었다. 동년 10월에 합성수지 필름 제조 공장을 설치하였으며, 같은 해 12월에 합성수지 위생 장갑을 생산·판매하였다. 2004년 4월에 부경대학교와 산학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금속 단조 제품 제조업체. 현진소재는 금속 소재 산업을 개척하여 국내외 시장을 선도하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여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8년 4월 부산직할시 사상구 감전동[현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현진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84년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000년 부산광역시 강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해운업체. 협성해운은 선박 대리점업의 영위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0년 7월 4일에 부산시에서 해운 대리점 업체인 협성해운으로 설립되었다. 1953년 휴전 협정 체결 후 Lloyd’s 대리점인 Holme Ringer 모지[門司]지점과 제휴하여 Lloyd’s 부대리점[sub-agent]이 되었다. 1956년에 협성해운 내...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었던 철강 유통 기업. 1964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범천동에서 개인 기업 협신철강으로 설립되었다. 1978년 6월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6년 8월 본사 및 공장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범천동에서 사상구 감전동으로 이전했다. 1991년 6월 동국제강 대리점을 개설하였다. 1992년 6월 공장 및 가공 시설을 확장하였다. 1994년...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업체. 1987년 1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괴정동에서 혜성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5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이전하였고, 같은 해 5월에 한국무역협회에 가입하였다. 1991년 10월에 한국상공회의소에 가입하였으며, 1992년 1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 553번지의 자가 건물 및 토지를 매입하였다....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종합 무역 회사. 화승네트웍스 는 복합 운송 주선업과 무역업, 유통업, 자동차·특정 차량·동부품 판매업, 산업용 고무 제품 매매업 및 항공권·선표 발권 판매업 등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7월 6일에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287-21번지에서 화승네트웍스로 설립되었다. 그해 8월에 사업 목적에 여...
-
부산광역시에 있던 원양 어업 회사. 화양실업은 원양 어업[다랑어, 참치]를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에 화양실업으로 설립되어, 그해에 남태평양에 출어하여 미국령 사모아 섬을 기지로 조업을 실시하였다. 조업에 사용된 어선은 당시 최신 장비를 갖춘 다랑어 연승(延繩)[longline fishery, 낚시에 미끼를 달아 어획하는 어업] 전용선으로 일본 구목...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던 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체. 환영철강공업은 철근과 형강, 기타 압연 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1977년 10월 20일에 부산직할시 사상구 학장동에서 환영철강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12월 16일에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1993년 11월에 충청남도 당진시에 당진 공장...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가구 제조업체. 1994년 2월에 부산직할시 사하구 장림동에서 온돌로 설립되었으며, 동년 동월에 흙으로 개칭하였다. 그해 8월에 미국 특허를 등록하였고, 같은 해 10월에 흙 침대에 대한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식품의약국] 임상 실험 인증서 및 영구 보관증을 획득하였다. 1996년 7월에는 한국...
-
부산 지역에서 출발한 외항 화물 운송업체. 1961년 12월 8일에 부산시 중구 중앙동에서 흥아해운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7월 15일에 일본 한신[阪神, 고베와 오사카를 묶어 부르는 이름] 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71년 10월 30일에 제8회 수출의 날 해운 부문 국무총리상을 받았고, 1972년 2월에 일본 도쿄[東京] 사무소를 개소하였고, 1973년 11월에 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업체. 흥우산업은 운송 보관업과 토공 사업, 수중 공사업, 비계(飛階)[공사 시공상 설치하는 가설물] 공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6년 9월 29일에 부산직할시 중구 남포동에서 흥우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3월 20일에 본점을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97년 12월 12...
어촌계
-
어업 조합원의 생산력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부산광역시에 설립된 단체. 어촌계는 1962년 1월 20일 법률 제1013호 「수산업협동조합법」 공포에 의하여 설립된 조직이다. 설립 목적은 계원의 생활 안정과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정관은 그 마을의 관행을 따르며 중요 사안은 계원의 합의에 따르는 등 전통적인 계의 운영 원리를...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부산동부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구포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다대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대저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대포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대항어촌계는 부경신항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동리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동삼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강서구 동선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동선어촌계는 의창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미포어촌계는 부산시수협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사회적...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민락동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송정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신전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신호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암남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엄궁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용호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이동어촌계는 부산동부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장림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사회적 및...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진목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청사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하단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어업인의 경제 공동체. 홍치어촌계는 부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
조합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가락농업협동조합(駕洛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산물 가격·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와 유통 혁신을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농업인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강동농업협동조합(江東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4년 4월 30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정치망 어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경상남도 정치망수산업협동조합은 수산물 시장의 개방 압력과 수산 자원의 감소, 인건비를 비롯한 각종 어업 경영의 원가 상승, 어업 인구의 감소, 남획과 환경 오염으로 인한 연안 어장의 황폐화가 심화되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수산인의 지위 향상·복지 증진·권익 보호 등을 추구하고 정치망 어업을 생태...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안강망 수산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근해 안강망이란 8톤 이상 90톤 미만의 동력선이 조류가 빠른 곳에 어구가 밀려나가지 않도록 고정하고, 어군이 조류의 힘에 강제로 밀려들어가게 한 후 나가지 못하게 만드는 안강망을 사용하여 수산 동물을 포획하는 어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강망 수산업에 종사하는 어업인들이 조직한 단체가 근해안강망수산업협...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금정농업협동조합(金井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1972년 12월 30일 9개의 리(里), 동(洞) 단...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남부산농업협동조합(南釜山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5월 18일에 8개의 리(里),...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녹산농업협동조합(菉山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1월 9일 8개의 리(里), 동(洞...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지역 본부.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부산지역본부(農業協同組合中央會釜山地域本部)는 부산 지역 회원 조합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합 조직으로, 회원 조합을 위한 자금의 수급 조절, 농업 자재와 생활 물자 구매·공급, 농산물 판매·가공 지원, 농정 활동 등 회원 조합의 연합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대저농업협동조합(大渚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4월 7일 대저농업협동조합이 설립되...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2가에 있던 대한고무공업협동조합 산하의 지방 사무소. 대한고무공업협동조합 부산사무소는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 고무 공업 종사자의 권익 향상과 회원 상호간 친목을 도모하여 협동 사업을 운영하고, 고무 공업의 발전과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4월 14일 부산시 중구 동광동 2가...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대형 기선 저인망 관련 수산업 협동조합. 대형 트롤 어업[줄이 달린 그물 아랫자락이 해저에 닿도록 한 뒤 수평 방향으로 끌어 해저 가까이에 사는 어족을 잡는 방법]의 주 어장은 남해안, 서해안 및 동중국해 지역이며 어종은 오징어, 갈치, 병어, 삼치, 참조기, 눈볼대 등이다. 어선은 강어선으로 120~138톤급에 15명 정도가 승선하여 조...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대형 선망 어업 종사자들이 모여 조직한 수산업 협동조합. 대형선망수산업협동조합(大型船網水産業協同組合)은 수산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수산업 협동조합의 조화로운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28년 2월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연해에서 활동하는 부산 지역 청건착망(鯖巾着網)[고등어 주머니그물] 업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동래농업협동조합(東萊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3월 2일 16개의 리(里), 동(...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동부산농업협동조합(東釜山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7월 1일 장안농업협동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명지농업협동조합(鳴脂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3월 5일 3개의 리(里), 동(洞...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에 있는 중소 아스콘 제조업체를 조합원으로 하는 협동조합.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 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중소기업 협동조합 법」에 의거하여 1...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가구 생산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가구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가구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 복리 증진을 도모하여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증진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4년 4월 7일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4월 30일 부산직할시 중구 광복동...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던 골재 도매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경남골재도매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에서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골재 도매업 종사자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골재 도매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10월 24일 부산경남골재도매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2001년 7월 16일 부산광역시는 ‘중소기업 협동 운영...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금형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경남금형공업협동조합은 조합원사의 경제적인 기회 균등을 기하고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진작시켜 경제적 지위 향상과 지역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4월 13일 부산직할시의 승인으로 부산서부금형협동조합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5월 7일 동의과학대학과 산학 협력 협정...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두부 제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경남연식품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의 두부 제조업체로 구성된 협동조합으로서 조합원 관리와 원자재 공동 구매 사업 및 조합원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1년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1969년 5월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연식품공업협동조합을 결성한 뒤, 전국...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낙농업 협동조합. 부산경남우유협동조합은 낙농 조합원에게 필요한 기술과 자금, 자재 및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 1963년~1992년 1963년 11월에 조합 창립총회를 개최한 후 1964년 3월에 조합 설립 인가를 취득하였다[농림수산부 장관]. 같은 해 3월 28일에 부산시 우유 처리장을 위탁 운영하였으며, 196...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경남자동차부품기술사업협동조합은 장안 일반 산업 단지에 입주한 자동차 공업 관련 기업들의 공동 이익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2월 27일 부산기장자동차부품단지사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장안 산업 단지에 입주한 23개의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모여서 부산기장자동차부품단지사업협동조...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던 토석 채취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경남토석채취협동조합은 토(土)·사(砂)·석(石) 재료업에 종사하는 조합인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경제적 자립을 지원함으로써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8월 19일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부산직할시 남구 우암동 184-250번지에서 부산경남토석채취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부산경남화훼원예농업협동조합(釜山慶南花卉園藝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에게 필요한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고, 조합원이 생산한 화훼 원예 작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7년 6월 7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상덕...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었던 가스 판매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직할시 가스판매업협동조합[부산광역시 가스판매업협동조합]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LP가스[액화 석유 가스] 판매업의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위한 협동 사업을 도모함으로써 가스 판매업자의 사회 경제적인 지위를 향상시키고, 자주적인 경제적 기반을 조성하는 등 국민 경...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건축 자재 판매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건축자재판매업협동조합은 건축 자재 판매업 회원사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0년 8월 2일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1990년 11월 7일 부산직할시 건축자재판매업협동조합 설립 인가를 취득하였다. 2003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의 건축 자재 상가...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개인택시 사업자 조합. 부산광역시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은 개인택시 사업자 개개인의 업권 보호와 권익 신장, 사업자 상호 간의 친목 도모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7년 6월 15일 부산시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이 설립되었다. 1979년 4월 1일 부산시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공제지부가 설립되었다. 1990년 2월 27일 부산시 개인택시...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폐지 도매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고지도매업협동조합은 조합원 복리 증진을 위한 협동 사업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2월 23일 부산광역시 고지도매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2007년 중간 수집상으로부터 폐지를 매입할 때 담합을 통하여 매입 가격을 깎는 사업자 단체 금지 행위가 적발되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 명령...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지역 공예 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공예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의 공예 산업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민족의 문화와 전통의 맥을 이어 가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9월 18일 부산 지역의 나전 칠기 19개 업체가 경상남도공예협동조합을 결성하였다. 1965년 6월 11일 부산직할시 공예협동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72...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시내버스 운송 사업자 조합.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부산 지역 내 버스 운송 사업자 간 제휴를 통해 협조 체계를 확립하고 운송 사업의 발전과 공동 이익을 추구하여 명랑한 교통 환경을 조성하고 국민 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1972년 3월 조합원 25개사가 조직되어 대형마이크로버스통합조합이 설립되었다. 1973...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산주와 임업인들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산림조합은 산주와 임업인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촉진하고, 그 구성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3월 15일 「산림법」에 의거 부산산림조합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2년 5월 3일 산림 조합 업무를 개시하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자동차 검사 정비 업체 조합. 부산광역시 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釜山廣域市自動車檢査整備事業組合)은 자동차 정비에 관한 설비 개량 및 기술 향상을 촉진하고, 자동차 정비 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조합원 상호 간의 긴밀한 연락과 친목을 돈독히 하여 자동차 정비 사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3년 11월 1일 정...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중고 자동차 매매 사업자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자동차매매사업조합은 자동차 매매업의 향상을 꾀하여 거래 당사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거래 시장 형성을 촉진하고, 조합원 상호간 긴밀한 연락과 사업상의 친목을 도모하여 자동차 매매 거래의 질서를 확립할 뿐만 아니라, 경영의 합리화를 위한 국가 시책의 원활한 수행에 적극 협조하기 위하여...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었던 콘크리트 공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콘크리트 공업의 육성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 복리 증진을 도모하여 콘크리트 공업 사업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고,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8월 8일 부산직할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법인 택시 조합. 부산광역시 택시운송사업조합은 택시 업계의 경영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연구하여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증진시키고 서비스를 향상하며, 택시 업계 종사자들의 고용 안정과 택시 산업의 발전을 위한 협력적 노사 관계를 정립하고, 부산의 특성화된 선진 택시 문화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1963년...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활어 도매상인들의 조합 단체. 부산광역시 활어도매업협동조합은 활어 도매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고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7년 11월 11일 민락활어수매인협회를 창설하였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에 있는 기계 공구 판매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기계공구판매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기계 공구 판매 사업체의 공동의 이익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9월 부산기계공구판매업현동조합의 설립 인가를 취득하였다. 2003년 5월 서부산 유통 단지의 기계 공구 단지에 입주 신청을 하였다. 2003년 10월 기계 공구 단지가 부산·진해 경제...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던 봉제업체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동래봉제협동조합은 「중소기업 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 봉제업자들의 권익 보호와 봉제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5년 2월 14일 부산동래봉제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2013년 현재 중소기업중앙회 협동조합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해체 시기는 미상이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에 있는 어민과 수산 제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동부수산업협동조합은 어민과 수산 제조업자의 협동 조직을 촉진하여 그 경제적·사회적 지위의 향상과 수산업의 생산력 증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1년 6월 「어업령」 공포와 함께 1912년 2월 일본의 「어업조합령」을 모방한 「어...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레미콘 제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레미콘공업협동조합은 레미콘 제조 공업의 발전과 조합원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1월 10일 부산레미콘공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1998년 김윤기 이사장이 취임 이후 2013년 현재까지 16년째 이사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부산레미콘공업협동조합은 레미콘 생산,...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산업 용품 판매 사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산업용품상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의 산업 용품 상가를 운영하고, 기계 부품, 각종 철물, 산업용 부품, 전기 부품 등을 비롯한 공구 판매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10월 가칭 부산사상철물판매업사업협동조합을 구성하였다. 1991년 8월 부산직할시로부터 협동조합 설립...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었던 목재업 관련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목재공업협동조합은 목재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여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8월 29일 부산시 제재도매업협회를 설립하였다. 설립 이후, 중소기업협동조합 설립 추진 중에 부산시 목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광고물 제작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시 광고물제작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의 간판 및 광고물 제조업의 발전과 조합원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4월 30일 부산시 광고물제작공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광고물 제작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간판이나, 안내판, 전시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기계 공업 관련 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기계 공업의 건전한 발전,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 협동 사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과 지위 향상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5월 2일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을 창립하였다. 1969년 5월 21일 상공부장관으로부터 시범 조합으로 지정되었다. 19...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던 식용 얼음 판매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시 식용얼음판매동업조합은 「식품 위생법」 제44조에 의거하여 식용 얼음의 건전한 유통 과정 및 영업 활동을 도모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고 조합원들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1년 2월 19일 부산시 식용얼음판매동업조합을 설립하였다. 해체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에 있는 직물업계 협동조합. 부산시 직물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직물 공업 분야 중소기업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목적으로 하여 1962년 3월 26일에 「중소기업 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해 설립되었다. 부산시 직물공업협동조합은 공동 구매 사업 및 단체 수의 계약 사업, 경영의 개선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신발 관련 업체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신발지식산업협동조합은 지식 기반 경제에 입각하여 사양화된 부산 지역 신발 산업을 지식 산업으로 이끌어 나가며, 신발업계 이익을 대변하고 조합 활동을 통하여 신발 산업의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3월 부산광역시의 신발 산업 육성 지방 특성화 사업 계획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부산 지역 니트 생산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시니트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편성물(編成物)[니트(knit), 메리야스]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회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회원의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고 경제적 지위 향상을 기하며,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봉제 관련 중소기업들의 조합 단체. 부산신평봉제협동소조합은 부산 지역에서 봉제와 관련된 중소기업들의 공동 구·판매 사업과 협동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말에 이루어진 「중소기업 협동조합법」의 개정에 따라, 부산 지역의 봉제관련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업무와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1985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에 있는 도금 관련 중소기업들의 조합 단체. 부산신평장림대양도금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의 도금 업종을 경영하는 소수의 영세 기업주들이 자본·경험·기술 등을 접목시키고, 소규모 단지에 조성하는 공장 및 시설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협동화 사업 등과 같은 직접적인 공동 경제 활동을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에 이루어진 「중소기...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피혁 관련 기업들의 조합 단체. 부산수산물가공특화사업협동조합은 폐수 처리를 전문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뿐만 아니라 폐수 처리 약품, 화공 약품 등을 아울러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1985년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부산신평장림피혁공업사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부산 지역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슈퍼마켓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영도슈퍼마켓협동조합은 부산광역시 영도구 지역에 있는 중소 유통인들의 조직화·협업화로 경쟁력 강화는 물론 건전한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6월 28일 부산영도슈퍼마켓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부산영도슈퍼마켓협동조합은 슈퍼마켓 회원사 관리, 회원사의 조직화·협업화 등...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알루미늄·비철 금속 제품 제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울산경남알루미늄비철금속공업협동조합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해당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업체들이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을 갖추어 중소기업의 발전 및 지역 경제의 발전, 나아가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62년 3월 부산시 중구 충무동에 경상남...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부산 지역 인쇄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인쇄 정보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여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8년 대한인쇄협회가 창립되었으며, 1950년 6·25 전쟁으로 인...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자동차부품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신기술 개발을 통한 품질 향상의 극대화는 물론, 조합을 통한 협동화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차 부품 업계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고 조합원들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88년 4월 22일 조합 설립 인가를...
-
부산광역시에 있는 자동판매기 운영 업체 협동조합. 부산자동판매기판매업협동조합은 자동판매기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고, 자동판매기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권익 향상과 위상 강화 등 자동판매기 업계의 발전을 도모하며, 소비자의 신뢰 회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92년에 설립되었다. 부산자동판매기판매업협동조합은 주요 사업으로 첫째, 수주,...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도금 관련 중소기업의 조합 단체. 부산장림도금사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도금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의 복리증진을 도모하여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고 경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5년 12월 조합 설립 인가 추천을 신청하였고, 1986년 4월 부산신평장림대양도금공업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장갑 제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장갑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장갑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들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북돋아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10월 19일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부산장갑공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설립 당...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재생용 재료업 협동조합. 부산재생용재료수집판매업협동조합은 재생용 재료 수집 및 판매업의 건전한 발전과 회원 상호 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북돋우어 회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2001년 7월 5일에 설립되었다. 부산재생용재료...
-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 1가에 있는 연료 공업 사업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제주연료공업협동조합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협동 사업을 추진하여 연료 공업 사업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2월 9일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5월 2일 부산제주연료공업협동조합을 설립하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중소 조선 해양 기자재 제조업체 협동조합.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釜山造船海洋機資材工業協同組合)은 「중소기업 협동조합법 시행령」 제8조에 의거하여, 조선 해양 기자재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 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공동 기술 개발, 원자재 공동 구매, 중소기업 협동화 사업 등을 수행하여 자주적인 경제 활동 및...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슈퍼마켓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중동구수퍼마켓협동조합은 부산광역시 중구와 동구 지역에 있는 중소 유통인들의 조직화·협업화로 경쟁력 강화는 물론 건전한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6년 9월 24일 부산중동구수퍼마켓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부산중동구슈퍼마켓협동조합은 슈퍼마켓 회원사 관리, 회원사의 조직화,...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었던 다방업자들이 조직한 동업 조합 단체. 부산직할시 다방동업조합은 「식품 위생법」 제44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 다방업 조합원들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 및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5월 25일 사단법인 대한다방협회 부산지부가 개설되었다. 1970년 7월 20일 부산직할시 다방동업조합으로 개칭...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부산축산농업협동조합(釜山畜産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7년 9월 13일 동래군에 부산축...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패션 섬유 산업 사업 관련자들의 조합 단체. 부산패션섬유산업사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을 주 근거지로 활동하고 있는 패션 섬유 산업 사업 관련자들의 친목 및 권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9월 부산직할시 중구 보수동에서 부산패션섬유산업사업협동조합을 창립하였다. 1991년 11월 사무국을 부산직할시 중구 광복동으로,...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염색 가공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섬유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여 조합 회원사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4년 10월 7일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 2...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북부산농업협동조합(北釜山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2월 21일 6개의 리(里), 동...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체들의 조합 단체. 부산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플라스틱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 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며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5월 12일 부산합성수지공업협동...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기선 저인망 어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서남구기선저인망수산업협동조합은 「수산업협동조합법」 법률 제1013조에 의거하여 수산업자들의 협동 조직을 촉진하여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 수산업의 생산력을 증강하여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29년 「조선 어업령」이 제정되면서 ‘기선저예망어업(機...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사상농업협동조합(沙上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3월 2일 삼락(三樂)[구 부산직할...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서부산농업협동조합(西釜山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4년 3월 6일 11개의 리(里),...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신용협동조합중앙회의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 본부. 신용협동조합중앙회 부산경남지역본부는 협동조합 금융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0년 5월 부산시 중구 대청동 소재 메리놀 수녀회 병원 ‘나자렛의 집(Nazareth House)’에서 28명으로 조직된 우리나라 최초의 신용 협동조합인 성가신용협동조합(聖家信用協同組合)이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6가에 있는 잠수기 어업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잠수기 어선은 선장 1명, 잠수부 1명, 선원 1명이 승선하여 물고기를 잡는 배이다. 잠수부는 투구식 혹은 마스크식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고, 호스로 공기를 공급받으면서 갈퀴나 분사기를 이용하여 해저 바닥에 서식하는 매몰성 수산 동식물을 포획·채취한다. 제1,2구 잠수기수산업협동조합은 잠...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던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산하의 부산진지점.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부산진지점은 「축산업협동조합법」 제100조에 의거하여 양축가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육성하여 축산업의 진흥과 회원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축산진흥회와 농업협동조합 산하의 축산업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3가에 있던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부.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부산지부는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 시행령 제8조에 의거하여 문구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조합원의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5월 14일 상공부장관으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아 한국문구공업...
-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에 있는 선박 수리업 관련 종사자들의 조합 단체. 한국선박수리공업협동조합은 우리나라 조선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성하고, 경제적 지위 향상을 기하여 국민 경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9년 12월 21일 한국선박기관수리공업협동조합의 창립...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5가에 있는 한국예선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부. 한국예선업협동조합 부산지부는 항만에서 선박의 입출항을 보조하기 위한 예선(曳船)[다른 배를 끌고 감] 업무를 행하는 예선업의 건전한 발전과 예선사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조합원간의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북돋우어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1가에 있는 한국완구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회 단체. 한국완구공업협동조합 부산지부는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 완구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여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고,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에 일조하여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3월 9일 한국완구공업협...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외식업계 단체. 한국외식업중앙회 부산광역시지회(韓國外食業中央會釜山廣域市支會)는 국민 영양과 보건 향상, 식품 위생 수준의 향상에 기여하며 외식업에 종사하는 회원들의 권익 보호 및 복리 증진을 바탕으로 식문화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1월 19일 대한요식업중앙회 부산시지부로 발족하였다. 1987년 12월 1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던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방 사무소.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부산분사무소는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28조에 의거하여 협동 사업을 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발전을 도모하고 수입 전기 기기 대체품의 개발과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4월 21일 이천전기공업의 장병찬 대표 이사 외 13명이...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1가에 있던 한국조선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방 사무소. 한국조선공업협동조합 부산사무소는 조선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과 조선 공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활동을 북돋우어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8년 1월 9일...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던 한국주단조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경상남도 지부. 한국주단조공업협동조합 부산경남지부는 주단조(鑄鍛造)[쇠를 녹이고 두들겨 필요한 형체를 제조함] 제품의 품질 향상과 기술 향상을 위하여 기술 지도 사업을 시행할 뿐만 아니라 외국 전문 기관과의 제휴를 모색하는 등 주단조 공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0년 4월...
-
부산광역시 북구 감전동에 있던 한국철강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방 사무소. 한국철강공업협동조합 부산사무소는 부산 지역 철강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자주적인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5월 21일 한국철강공업협동조합이 창립되고,...
-
부산 지역의 가맹점을 관리하는 한국체인사업협동조합 산하의 지역 지회. 한국체인사업협동조합 부산경남지회는 중소 유통업의 조직화 및 협업화 사업 등을 통한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제1차 유류 파동이 일어나자 민생 안전 시책의 일환으로 유통 근대화 정책이 태동되었다. 1974년 2월 21일 중소 상인의 조직화와 협동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던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 산하의 부산 지방 사무소.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 부산사무소는 부산 지역 합성수지 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상호 부조 정신에 의거한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조합원의 기회 균등과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며, 경제적 지위 향상을 통해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2가에 있는 한국해운조합 산하의 지역 지부. 한국해운조합의 전신인 대한해운조합연합회는 1949년 9월 「조선 해운 조합령」 제령 제43호, 부령 제237호에 의거하여 설립하였으며, 1958년 7월 이후 선박 공제 사업을 실시하였다. 1961년 12월 「조선 해운 조합령」을 폐지하고 「한국 해운 조합법」을 공포하였다. 1962년 2월 「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해운대농업협동조합(海雲臺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활성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12월 22일 부산직할시 동래구...
협회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경영자 단체. 녹산국가산업단지 경영자협의회(菉山國家産業團地經營者協議會)는 회원 상호 간의 정보 교환, 기술 협력 및 정책 개발 등을 통한 기업의 발전과 녹산 국가 산업 단지 활성화 및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2월 21일 녹산 국가 산업 단지 내 200여 개 입주 업체가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대한건설기계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대한건설기계협회 부산광역시지회는 부산 지역 건설 기계 사업자의 품위 보전과 권익 옹호 및 상호 협력 증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건설 기계 사업자의 합리적인 운영 관리를 돕고 건설 공사에서 기계화 시공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과 연구 개발에 힘써 부산 지역 건설 기계 사업 및 사회 발전에 공헌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대한건설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대한건설협회 부산광역시회는 「건설 산업 기본법」 제50조에 의거하여 건설사업자의 품위를 보전하고, 상호 협력의 증진 및 권익 옹호를 도모하며, 건설업 관련 제도와 건설 관련 시책, 건설 기술 개선 향상 등을 추구하여 건설 산업의 건전한 육성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3월 대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 있는 대한곡물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대한곡물협회 부산광역시지회는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양곡 도정업과 양곡 보관업의 발전과 회원들의 복리 증진 및 국가 양정(糧政) 정책의 수행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4년 2월 12일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농림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대한곡물협회가 설립되었다. 1957년 전국...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냉동 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대한냉동산업협회는 냉동·공기 조화에 관한 기술의 연구 발전과 냉동 기술인의 상호 제휴 및 공인 검사 기관으로서 냉동·공기 조화 산업 진흥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65년 2월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대한냉동협회를 설립하였다. 1968년부터 1976년까지 부산직업훈련소[노동부]를 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대한숙박업중앙회의 부산 지회. 대한숙박업중앙회가 사단 법인으로 발족하기 이전 숙박업 조합의 시초는 해방 이전으로 올라간다. 해방 이전에는 한국인과 일본인이 별도로 여관 조합을 설립하여 운영하다가 해방 이후 단일 숙박 조합으로 설립 및 운영되었다. 1953년 5월 6일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한국숙박업조합중앙회가 설립되었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대한전문건설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대한전문건설협회 부산광역시회는 「건설 산업 기본법」 제50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전문 건설 사업자의 품위 유지와 상호 협력의 강화로 회원들의 권익을 증진하고, 건설 산업 관련 제도의 개선과 전문 건설 기술 향상을 도모하여 전문 건설업의 건전한 육성 발전을 달성하며,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주택 건설업체 단체. 대한주택건설협회 부산광역시지회(大韓住宅建設協會釜山廣域市支會)는 「주택 법」 제81조에 의거하여 주택 사업자의 품위 보존과 권익 옹호 및 상호 협력 증진을 통한 친목 도모, 주택 관련 제도 개선 및 기술 향상을 통하여 주택 사업의 전문화와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5년 2월 27일 한국...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게임 관련 회사들의 협회 단체. 부산게임협회는 부산 지역에 기반을 둔 게임 관련 사업체의 권익을 보호하고, 21세기 고부가 가치 산업인 게임 산업과 관련한 각종 사업을 추진하여 부산광역시를 국제적인 게임 및 영상 산업 도시로 육성·발전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2일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부산게임미디어협회[사단 법인...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부산 지역 경영자들의 협회 단체. 부산경영자총협회는 급변하는 무한 경쟁 시대 속에서 부산 지역의 노사 관계 선진화를 통하여 갈등 요인을 제거하고, 협력적인 노사 관계의 틀을 형성하여 지역 경제 발전과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1년 사단법인 부산경영자협회를 설립하고, 협회 사무실을 부산직할시 동구 대창동...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수산물 중도매인 협회. 부산공동어시장중도매인협회(釜山共同魚市場仲都買人協會)는 어민의 소득 증대와 소비자 보호를 위해 원활하고 올바른 수산물 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건전한 발전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동의 이익을 증진하여 어민들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향상하고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관광 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조직한 협회 단체. 부산광역시 관광협회는 「관광 진흥법」 제43조 규정에 의거하고, 다음의 세 가지 설립 목적에 따라 조직되었다. 첫째, 부산 지역 관광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진흥을 위한 조사·연구·홍보 등을 실시하고, 둘째, 시설·서비스 개선 및 업계의 육성 발전을 위한 업무를 추진하며, 셋째, 회원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용달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자들이 조직한 단체. 부산광역시 용달화물자동차운송사업연합회(釜山廣域市用達貨物自動車運送事業聯合會)는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법」 제48조[구 「자동차 운송 사업 법」 제64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의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육성, 화물의 원활한 운송을 도모하여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화물 자동차 운송업자 협회. 부산광역시 화물자동차운송사업협회(釜山廣域市貨物自動車運送事業協會)는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법」 제33조에 의거해 설립되었으며, 부산 지역 화물 운송 사업자의 상호 협력 증진 및 권익 옹호를 도모하고 화물 운송 산업과 관련한 제도, 정부의 시책과 관련하여 화물 운송업을 개선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의료 관광 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협의회 단체. 부산권의료산업협의회는 우수한 의료 인력, 첨단 의료 시설, 자연환경을 갖춘 부산 지역 의료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의료 기기, 제약 산업 등과 우수한 의료 인력,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가 하나로 어우러진 의료 산업의 성공 모델을 제시하고 원스톱 의료 관광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디자인 산업 관련 단체. 부산디자인단체총연합회는 「민법」 제32조 및 비영리 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 제3조 규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국내외의 디자인 정보의 수집, 교육, 연구, 진흥을 통하여 부산 지역 디자인 산업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고자 설립되었다. 2007년 4월 10일 부산디자인단체총연합회가 부산디자인센터[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부산 명품 수산물과 관련된 협회 단체. 부산명품수산물협회는 부산광역시로부터 인증을 받은 회원사들이 부산 명품 수산물을 공동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이다. 이를 ‘부산명품수산물지정업체협의회’라고도 한다. 부산 명품 수산물로 인증을 받기 위하여 업체는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에 있는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기업들의 협회 단체. 부산바이오기업협회는 바이오 관련 산업의 활성화와 그 육성에 공헌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육성하여 부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협회 회원 상호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 12월 1일 부산바이오기업협회 개소식을 가졌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섬유 패션 산업 관련 단체.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는 침체된 부산 경제와 부산 섬유 패션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여 정책 개발 등의 제반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부산 지역을 동북아 섬유 패션의 기점 도시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 9개의 섬유 패션 관련 단체가 모여 설립하였다. 1996년 8월 13일 발기인 총회 및...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전통 시장 번영회가 합동하여 조직한 단체. 부산시 상인연합회는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 시장 상인들의 권익 보호와 시장의 번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1년 5월 27일에 상공부는 상공부 공고 제6364호로 부산시장연합회의 설립을 허가하였다. 그러나 1년 후인 1972년 6월에 상공부는 상공부 산하 부실 조합 및 협회에...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1가에 있는 건어물 도매 시장의 중매상 조합. 남포동 건어물 도매 시장은 자갈치 시장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60여 개의 상가가 밀집되어 있는 전국 최대 규모의 건어물 시장이다. 남포동 건어물 도매 시장은 1만 3291.1㎡ 규모로 상인 300여 명이 종사하고 있다. 도매 시장 내에는 부산광역시 수산업협동조합 건어물 시장 공판장이 있어...
-
부산광역시에 있는 디자인 관련 협회. 부산 지역 디자인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해 설립되었다. 1974년 10월 부산산업디자인협의회로 창립전을 개최하였다. 1976년 제3회 전시회부터 부산디자인협회로 개칭하였다. 1985년 제12회 전시회부터 부산시각디자인협회로 개칭하였다. 1974년 부산산업디자인협회라는 명칭으로 창립전을 개최한 이래 매년 전시회를 열었다. 당...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영화 영상 관련 산업 분야 단체. 부산영화영상산업협회는 영화 영상과 관련된 산업 분야의 업체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 협력 및 경영 관련 지식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영화 영상 신기술 연구 및 상호 교류 등을 도모하고 지역 경제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 3월에 부산영화영상산업협회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예부선 업체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예부선은 예인선(曳引船)과 부선(艀船)을 합하여 통칭하는 것으로서, 예인선은 다른 선박을 끌거나 밀어서 이동시키는 선박이고, 부선은 자력적인 추진 장치가 없어서 다른 선박에게 끌리거나 밀려서 항해하는 선박이다. 예인선과 부선은 화물 수송을 위해서 함께 움직인다. 즉 예인선은 부선을 예인하여 목적지에...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부산 지역 벤처 기업들이 조직한 협회 단체. 부산벤처기업협회는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각 분야별 벤처 기업들의 공통적인 애로 사항을 해소하고, 상호 교류를 통하여 개별 정보를 교환하며, 경영과 관련된 지식을 교류하는 등 회원 기업의 활성화와 기술 혁신을 통한 국제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지역 경제와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었던 원양 상어 어업에 관련된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1970년 2월 부산 지역 원양 상어 어업에 종사하는 수산인들의 권익 보호를 위하여 부산원양상어어업협회를 설립하였다. 1998년 10월 기준 상어 유자망 어선은 4척이 남아 있었으나, 현재 상어를 목표로 하는 어업은 없다. 1990년대 후반까지 부산원양상어어업협회의 존재가 확인되나 해체 시...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도시 구축을 위한 협회 단체. ‘U-CITY(Ubiquitous-City)’란 첨단 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하여 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 보장과 시민 복지의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키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를 말한...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정보 기술과 관련된 경영진들이 조직한 협회 단체. 부산정보기술협회는 협회 회원간 정보의 교환과 공동 협력 및 경영 관련 지식의 교류를 통하여 정보 통신 신기술을 연구하고, 상호 교류 및 인재 양성을 통하여 상호 이익을 도모하며, 부산 지역 경제 발전 및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12월 부산정보기술...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막걸리 제조업체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부산탁약주제조협회는 부산 지역에 흩어져 있던 43개의 제조장을 통합된 합동 양조장으로 개편하여 탁주·약주를 공동 제조하고 공동 판매하여 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부산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 7월 부산 지역 탁주·약주 제조장이 합동 양조장으로 개편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항만 물류 업체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부산항만물류협회는 항만 운송업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부산 지역의 항만 물류 기능의 발전과 거래 질서의 확립을 통한 항만 물류 산업의 발전과 회원사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5년 9월 19일 부산하역협회를 설립하였다. 1981년 1월 1일 부산하역협회를 흡수하여 한국항...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항만 운송 관련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부산항만산업협회는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조직되었으며, 「항만 운송 사업법」 제2조 규정에서 정한 항만 운송 관련 사업으로 항만 용역업, 물품 공급업과 선박 급유업, 컨테이너 수리업 등의 사업에 종사하는 회원사의 권익 보호와 정보 교환, 친목 도모 및 항만 운송 관련 사업의 건전한...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손해보험협회 산하의 지역 본부. 손해보험협회 영남지역본부는 「보험업법」 제175조에 의거하여 보험 회사 사이의 업무 질서를 유지하고, 보험업의 발전과 손해 보험 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6년 8월 1일 조선손해보험협회를 설립하였고, 1948년 9월 1일 대한손해보험협회로 개칭하였다. 1980년 11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컨테이너 야드를 관리·운영하는 협회 단체.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 CY)[컨테이너 야적장]란 선사가 컨테이너의 인도·인수 및 보관을 위하여 컨테이너를 쌓아 두는 장소를 말한다. 통상 컨테이너를 정렬시켜 두는 마샬링 야드(Marshalling Yard)를 포함하고 있다. 수영컨테이너야드관리협회는 급증하는 컨테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었던 전국양곡상연합회 산하의 지역 지회. 전국양곡상연합회 부산직할시지회는 부산 지역 양곡상 판매업의 건전한 발전과 양곡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한 유통 질서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12월 29일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범천동 1504번지에 전국양곡상연합회 부산직할시지회를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 지회장 1명, 부지...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주류 도매업자 단체. 전국종합주류도매업중앙회 부산지방협회(全國綜合酒類都賣業中央會釜山地方協會)[부산지방종합주류도매업협회]는 「주세 법」 제45조에 의거하여 주류 도매업의 발전을 통한 회원 상호 간 복리 증진과 주세 보전의 협력 및 주류 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국가 시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10월 대한주류도매업중...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지역 상인 단체. 조방은 1917년에 설립된 회사인 조선방직을 줄여 부르는 명칭이다. 조선방직은 부산 범일동 일대 13만 2,000여㎡ 부지에 3,200여 명이 종사했던 부산 최대의 공장이었다. 1968년에 공장이 폐쇄되었으나 명칭은 현재까지 남아 불리고 있다. 조방경제인연합회가 결성된 지역은 1968년에 조선방직 회사...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부산 지역 내 중소기업 간 교류 활성화 및 지식·기술 융합 체계화를 지원하는 경제 단체. 중소기업융합부산연합회(中小企業融合釜山聯合會)는 기업 간의 교류 활동을 통하여 다른 기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융합하고 실질적인 융합 결과 발생을 통해 신산업이 창출되어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3년...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식육 판매 영업자 단체. 축산기업중앙회 부산광역시지회(畜産企業中央會釜山廣域市支會)는 식육 산업 발전에 관한 위생 시설의 개선과 기술 향상을 도모하고, 회원 상호 간의 친목 단결로써 상도덕을 함양하여 공동 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또 국민 보건 및 식육 위생 향상에 관한 정부 시책에 적극 동참함으로써 부산 지역 내 식육 유통 발전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LPG산업협회 산하의 부산 지역 지부. 한국LPG산업협회 부산협회는 부산 지역 LPG(liquefied petroleum gas)[액화 석유가스] 산업의 진흥 발전과 위상 정립, LPG 충전 및 유통 안전 관리와 소비자 보호, 회원 상호간 우의 도모와 권익 보호라는 설립 목표 아래, 값싸고 안전한 청정에너지 LP 가스를 필요로...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한국건설폐기물수집운반협회의 부산광역시 지역 지회. 한국건설폐기물수집운반협회 부산시광역시지회는 건설 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1993년 4월 한국건축폐기물협회 발기인 구성 및 대회에 이어, 6월에 한국건축폐기물협회가 창립되면서 한국건축폐기물협회 부산직할시지회가 설립되었다. 1995년 1월 한국건축폐기물협회 부산...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한국검수검정협회 산하의 지역 지부. 한국검수검정협회 부산지부는 검수(檢收), 검정(檢定) 업체 관련 단체로서 「항만 운송 사업법」을 준수하며, 회원의 권익 보장과 사업의 개선 발전을 도모하고, 국내외적인 공신력 견지에 노력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5년 4월 25일 한국검수협회를 설립하였다. 1976...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한국국제물류협회 산하의 지역 지회. 한국국제물류협회 부산지회는 국제 물류 주선업의 건전한 발전과 사업자의 공동 이익을 도모하며, 결과적으로 국제 물류 주선업의 경영 개선과 나라 경제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2월 한국복합운송주선업협회가 창립총회를 가졌다. 1993년 1월 13일 설립 인가를 취득하고, 1...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한국국제해운대리점협회 산하의 지역 지회. 한국국제해운대리점협회 부산지회는 국제 해운 대리점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우의를 증진하며, 협회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 11월 한국선박대리점협회를 설립하고, 1971년 한국선박대리점협회 부산지회를 설립하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한국금융투자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한국금융투자협회 부산지회는 증권 시장의 선진화와 증권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3년 11월 25일 증권 시장의 활성화와 전국적인 영업망 구축에 상호 협력하기 위하여 대한증권업협회를 창립하였다. 1956년 3월 3일 대한증권거래소를 개설하였다. 1976년 6월 10일 대한증...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한국능률협회 산하의 지역 지부. 한국능률협회 부산경남본부는 민간 주도의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의 직장인 전문 교육을 실시하고자 설립되었다. 1964년 9월 5일 한국능률협회 부산경남지부를 발족하였다. 1981년 12월 1일 한국능률협회 영남지부로 개칭하였다. 1987년 1월 15일 한국능률...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한국떡류식품가공협회 산하의 부산 지역 지부. 한국떡류식품가공협회 부산시지부는 부산 지역에서 한국 떡류 식품업의 획기적인 발전과 국가 식량 증산 시책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0년 6월 1일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한국식품임가공협회 부산시지부를 설립하였다. 2006년 4월 26일 한국떡류식품가공협회 부산시지부로 개칭...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의료 관광 서비스 관련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한국서비스문화관광협회는 부산 지역 의료 관광 및 서비스 관련 연구와 모임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관광 서비스를 고안하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9년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50-6번지에서 한국서비스문화관광협회를 설립하였다. 2009년 10월 한국서비스문화관광협회는...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선박 관리업계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는 「해운법」 제2조 제8호에 의거하여 선박 관리업의 육성과 발전을 도모하고, 회원사간 유대 강화, 공동 복리 증진 및 대내외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선박 관리업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7월 13일 한국선원대리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선박 전자 산업 관련 단체. 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韓國船舶電子産業振興協會)는 선박 전자 산업의 발전과 선박 전자와 IT 융합을 통하여 조선/IT 융합 산업의 핵심 산업을 진흥함으로써 한국을 조선 일등국으로 유지 및 발전시켜 국민 생활의 향상과 국민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9년 9월 4일 한국선박전자산...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었던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산하의 부산 지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부산지부는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법」 제26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프트웨어 사업자의 이익을 도모하여 소프트웨어 산업의 진흥과 국민 경제 생활의 향상 및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4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한국수산무역협회 산하 부산 지부. 한국수산무역협회는 주요 사업으로 첫째, 회원의 공동 이익을 위한 시장 조사, 해외 홍보 및 공동 시설에 관한 사업, 둘째, 수출입 수산물의 품질 향상을 위한 사업, 셋째, 수출입 수산물의 거래 질서 확립에 필요한 사업, 넷째, 수산 무역에 관한 약정·협정 등의 체결·운영에 관한 사업, 다섯째, 수...
-
부산 지역에 있는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 산하의 부산 지역 지부. 한국수산업경영인 부산광역시연합회는 부산 지역 내 수산업 경영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영어(營漁)[어업을 경영함] 기술의 과학화와 경영의 합리화, 유통의 선진화, 어민의 권익 신장, 향토 문화의 계승 발전을 통하여 수산업 경영인들의 경제적 발전과 풍요로운 복지 어촌 건설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수입 전문 경제 단체. 한국수입업협회 부산지회는 수출입의 성장 및 건전한 거래 질서 확립을 통해 부산 지역 회원사의 권익 보호 및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회원사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7월 12일 부산직할시 중구 대저동에 한국무역대리점협회 부산사무소로 개설되었으며, 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신발 디자인 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한국신발디자인협회는 국내 신발 디자이너의 역량 제고를 위한 활동을 전개하여 디자이너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한국 신발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15일 한국신발디자인협회가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한국신발...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신발 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협회 단체. 한국신발산업협회는 신발 산업의 진흥을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신발 산업의 건전한 육성과 회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여 국가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2월 6일 한국신발수출조합이 해산된 이후, 「공업 발전법」에 의거하여 1991년 2월 21일 한국신발산업협...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산하의 부산 지회.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부산지회는 부산 지역 여성의 기업 활동을 촉진하고, 이를 통하여 여성 경제인의 공동 이익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6년 6월 부산여성경제인협회를 발족하였다. 1980년 6월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부산지회로 개칭하였다. 1989년 12월 부산직할시 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난방, 가스 시설 시공업 관련 전문 건설업자 단체. 한국열관리시공협회 부산광역시회(韓國熱管理施工協會釜山廣域市會)는 「에너지 이용 합리화 법」 제41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의 시공업자의 권익 보호와 기술 향상을 도모하고, 시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정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사업 및 건설 진흥 사업에 참여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한국원양산업협회의 부산 지역 지회. 우리나라 원양 산업은 1957년 인도양에서 참치 연승 시험 조업이 성공함으로 시작되었으며, 정부의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인 원양 부문에 대한 지원과 원양 산업계의 의욕적인 참여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1960년대 초반에는 100여 척 미만이던 어선이 1970년대 후반에는 사상 최고인 850척으로 크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한국전기공사협회 산하의 부산 지역 지회. 한국전기공사협회 부산광역시회는 「전기 공사업법」 제25조에 근거하여 전기 공사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회원들의 복리 증진, 전기 공사업의 개선과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 전력 사업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0년 2월 8일 공익 단체로서 발족하였으며, 4월 4일 「전기 사업령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던 한국제분공업협회 산하의 지역 사무소. 한국제분공업협회[현 한국제분협회]는 정부의 제분 산업 시책에 대한 협조 및 건의, 한국 제분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여 회원 상호간의 친목 및 복리 증진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협회 단체이다. 한국제분공업협회 부산사무소는 제분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며, 회원 상호 간의...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었던 한국특종물업연합회 산하의 지역 지회. 한국특종물업연합회 부산시지회는 부산 지역의 특종물업(特種物業)[고물상]의 건전한 발전과 정부의 관련 산업 시책에 협조하고 건의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65년 5월 15일 부산직할시 서구 남부민동에 한국특종물연합회 부산시지회로 개설되었다. 정확한 폐쇄 시기는 알 수 없다. 한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한국표준협회의 지역 본부. 한국표준협회 부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의 산업 표준화와 품질 경영에 관한 조사, 연구, 개발 및 보급 촉진으로 과학 기술 진흥과 생산 능률의 향상을 도모하여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3월 「산업 표준화법」에 의거하여 한국표준규격협회를 처음으로 설립하였고, 1963년 11월...
금융 기관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지방 은행 최초의 금융 지주 회사. BNK금융지주는 동남 경제권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초우량 지역 금융 그룹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우선 종합 금융 그룹으로서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사업 다각화 및 은행 대형화를 추구하면서, 대한민국 대표 지역 금융 그룹으로 우뚝 서기 위해 해외 진출도 확대하고자 한다. 2010년 1...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HSBC은행 산하의 부산 지점. HSBC은행은 1865년에 설립된 영국계 은행으로, 모기업은 1990년 설립된 HSBC 홀딩스 PLC 그룹으로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업 은행이다. HSBC그룹은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유럽, 아시아·태평양, 아메리카, 중동과 아프리카 등 세계 80개국 7,200개 지점에서 영업을 하고 있...
-
부산광역시에 있는 KDB생명보험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KDB생명보험 부산지점은 부산 지역에서 생명 보험 관련 업무를 펼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25일 동해생명보험을 설립하면서 1973년 6월 15일 동해생명보험 부산영업국을 개설하였다. 1983년 12월 6일 동해생명보험이 동아그룹에 편입되면서 동아생명보험 부산영업국으로 개칭하였다. 1987...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KB손해보험 산하의 지역 본부. KB손해보험 부산본부는 자동차 보험, 화재 보험 등을 취급하는 LIG그룹 계열의 손해 보험 회사의 부산 지역 본부이다. 1958년 범한해상보험을 설립한 뒤 1962년 범한해상화재보험, 1982년 범한화재해상보험, 1988년 럭키화재해상보험, 1995년 LG화재해상보험을 거쳐 2006년 4월 LIG손...
-
부산광역시에 있는 SK증권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SK증권 부산지점은 차별화된 금융 역량을 바탕으로 부산 지역의 자본 시장과 증권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55년 7월 30일 신우증권을 설립하였다. 1963년 11월 27일 신우증권에서 경신증권으로, 1968년 9월 23일 경신증권에서 동방증권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69년 3월 26일 부산직...
-
부산광역시 중구 대창동 1가에 있었던 종합 금융 회사. 반도투자금융[고려종합금융의 전신]은 「단기금융업법」[1972년 8월 17일 법률 제2339호]에 근거하여 부산 지역의 단기 금융업을 건전하게 보호 및 육성하고 합리적으로 규제하여 신용 질서의 확립에 기여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3년 7월 5일 부산직할시 중구 동광동 2가...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3가에 있었던 고려증권 산하의 부산 지점. 고려증권은 1959년 7월 태창증권[주식회사]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에 상호를 대아증권으로 변경하였다가, 1981년 10월 고려증권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증권은 1980년대 증시 호황과 함께 사업을 확장하여 고려생명보험, 고려종합금융, 고려경제연구소, 동광제약, 반도개발, 고려통상반...
-
부산광역시에 있는 교보생명보험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교보생명보험 부산지점은 「보험업법」 제5조[1977년 12월 31일 법률 제3043호]에 근거하여 ‘국민 교육 진흥’과 ‘민족 자본의 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8년 8월 7일 대한교육보험을 창립하였다. 1970년 9월 1일 대한교육보험 부산영업국을 설립하였다. 1995년 4월 대한교육보험...
-
부산광역시에 있는 국민은행 지점. 국민은행 부산지점은 영세민, 일반 시민 및 소규모 사업자를 위한 여·수신 업무를 위해 설치되었다. 「국민은행 법」[1962년 12월 7일 법령 제1201호]에 의해 1963년 국민은행으로 창립되었으며, 부산 지역 설치 당시는 특수 은행이었다. 1987년 종사자 수는 본점 51명과 지점 817명이었고, 부산지점 등 21개 지점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던 그린손해보험 산하의 지역 지점. 그린손해보험 부산지점은 「보험업법」에 의거하여 손해 보험과 재보험, 보험금 지급 및 재산 이용 등을 영업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7년 1월 17일 우리나라 최초 민간 재보험 회사인 국제손해재보험회사로 발족하였다. 1949년 국제손해화재 부산지점을, 1983년 12월 국제화재해상보험 동부산지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는 대신증권의 부산 지역 지점. 대신증권 부산지점은 투자자에게 차별화된 양질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7월 27일 대신증권의 전신인 삼락증권을 설립하였다. 1962년 8월 7일 영업 허가를 받고 13일 대한증권거래소에 거래원으로 등록하였다. 1968년 7월 삼락증권에서 중보증권으로 개칭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는 미래에셋대우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1973년 9월 1일 삼보증권 부산지점으로 부산직할시 중구 동광동 1가 6-2번지에 개점하였다. 1983년 12월 29일 대우증권이 삼보증권을 흡수 합병하면서 대우증권 부산지점으로 개칭되었다. 1983년 12월 29일 부전동지점과 동래지점이 개점하였고, 1984년 5월 19일 범일동지점이 개점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었던 대한생명보험 산하 부산 지역의 영업 총국. 대한생명보험 부산총국은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 보험 관련 업무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대한생명보험은 국내 최초의 생명 보험 회사로 1946년 9월 9일 창립되었다. 1980년 1월 1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한생명보험 영남총국이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 개설되었다. 1988년 1...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었던 독일계 은행 지점. 도이치은행 부산지점은 부산 지역의 외국환(外國換) 업무를 취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8년 재무부는 무역 규모가 커짐에 따라 서울특별시 중심의 외국환 업무 집중 현상을 막기 위해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외환 시장을 육성키로 하였다. 1978년 9월부터 부산 지역의 외국환 은행을 대상으로 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던 시중 은행. 동남은행(東南銀行)은 중소기업 금융 전문 은행으로 제도 금융권에서 소외된 기업을 지원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방 중소기업 육성에 활력을 불어 넣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설립되었다. 1989년 5월 동남금융 창립총회를 가졌다. 1989년 9월 은행업 영위 인가를 취득하고 상호를 동남금융에서 동남은행으로 변경하였다. 1...
-
부산광역시에 있는 DB손해보험 산하의 부산 지역 사업단. 재무부는 보험업계 정비 육성책의 하나로서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를 주식회사로 개편하고자 하는 뜻을 1962년 12월 12일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에 지시하였다. 1963년부터 자동차 손해 보상 책임 보험 판매를 개시하였다. 1968년 11월 1일, 공영 체제를 주식 체제로 개편하여 자본금 5억 원으로 한국자동차...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2가에 있던 동서증권 산하의 지역 지점. 1953년 9월 보국증권을 설립하였고, 1974년 4월 동서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74년 8월 동서증권 부산지점의 설치 인가를 신청하여, 1975년 4월 21일 부산직할시 중구 광복동 1가 5번지 용상 빌딩에 동서증권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개점 3개월 만에 2억 4000만 원의 약정고를 기록하였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던 동양화재해상보험 산하의 지역 지점. 동양화재해상보험 부산지점은 손해 보험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22년 7월 조선화재해상보험의 설립 인가를 취득하였다. 1947년 7월 11일 전국에서 세 번째로 조선화재해상보험 부산지점을 개설하였고, 1950년 5월 23일 조선화재해상보험에서 동양화재해상보험으로 개칭하였다. 195...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메리츠증권 산하의 지역 금융센터. 1978년 1월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 28-4번지[구 KAL부산지점]에서 한일증권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한일증권 부산지점은 부산 지역에 개설된 25번째 증권회사 지점이었다. 1990년 10월 한일증권에서 한진투자증권으로, 2000년 3월 한진투자증권에서 메리츠증권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2010년...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었던 일본계 은행 지점. 미츠비시도쿄유에프제이은행 부산지점은 부산 지역에서 금융 업무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7년 10월 21일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25-3 유창 빌딩 내에 도쿄은행 부산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81년 2월 11일 도쿄은행 부산지점이 개점하였다. 2005년 미츠비시도쿄은행 부산지점으로 개칭되었다. 200...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4가에 있는 부국증권 산하의 지역 지점. 부국증권 부산지점은 국내 증권업의 건전한 육성과 발전에 공헌하고, 인재 양성 및 업무 영역을 확대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며, 국민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부국증권은 1954년 8월 국내에서 네 번째로 설립된 증권사이며, 1988년 상장되었다. 1978년 7월 13일 부...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던 상호 저축 은행. 부산2상호저축은행은 부산 지역의 서민과 소규모 기업에게 금융 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하여, 지역 금융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12월 25일에 새부산상호신용금고의 인수 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자본금 40억 원을 납입하고 1999년 2월 4일에 부산2상호신용금고의 영업 인가와 법인 설립...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던 리스 금융 회사. 부산리스금융은 부산 지역 기업에 대한 설비 투자에 금융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5년 10월 14일에 지방 은행인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각각 36%와 14%를, 나머지는 지역 상공인들이 출자하여 최초의 지방 리스 회사인 부산리스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12월 11일에 부산리스 마산지점을 개설하였으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본점이 있던 저축 은행. 부산상호저축은행은 「상호 신용 금고법」에 의거하여 서민들과 소기업들의 금융 편의 및 저축 증대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에 ‘8·3 조치’를 실시하여 「단기 금융업법」과 「상호 신용 금고법」, 「신용 협동조합법」 등 사금융 양성화 3법과 「종합 금융 회사에 관한 법률」이 제정 및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지방 은행. 부산은행은 금융의 중앙 집중을 지양하고 지역적 자본의 집대성을 도모하며, 음성 자금을 산업 자금으로 양성화하여 효율적으로 내자(內資)를 동원함으로써 지역적 특수 산업 육성을 촉진하기 위해 부산 지역 상공인에 의해 설립되었다. 부산은행은 1967년 1월 23일에 부산상공회의소 제59회 임시 총회와 제114회 상임 위원...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1가에서 설립된 투자 금융 회사. 1973년 세계 유류 파동으로 인한 세계 경제의 위축, 자원난과 브레튼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의 붕괴 등으로 한국 경제는 새로운 시련을 맞게 되었다. 국내적으로는 10월 유신과 8·3 조치 기업 공개 등의 커다란 정책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따라 기업은 계속적인 자금 부족과 압박으로 인하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던 유사 금융업체. 삼부파이낸스는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 국내 금융 기관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선진금융 기법을 이용한 금융 상품 개발을 선도하는 종합 금융 그룹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삼부파이낸스는 1996년 1월 정부의 금융 기관 자율화 조치로 부산 지역 상공인들의 자금을 끌어들여 자본금 100억...
-
부산광역시에 있는 삼성생명보험의 지점. 삼성생명보험 부산지점은 보험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7년 4월에 동방생명보험이 창립되었으며, 이후 1963년 7월에 삼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1978년 3월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 동방생명보험 부산총국이 설치되었으며, 1980년 2월에 동방생명보험 영남총국으로 승격되었다. 1...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삼성화재해상보험의 영남 지역 사업부. 삼성화재해상보험 영남사업부는 「보험업법」 및 관계 법령이 허용하는 사업을 영위하고자 설립되었다. 1952년 1월 26일 부산시 중구 대창동에서 한국안보화재해상보험이 설립되었다. 1956년 6월 12일 한국안보화재해상보험 부산지점이 개점하였다[부산시 중구 중앙동 3가 15]. 1958년 2월 2...
-
「상호신용금고법」에 의하여 설립된 부산 지역의 금융 기관. 1972년 8월 3일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관한 대통령령」에 의하여 실시된 8·3 긴급 금융 조치의 하나로, 사금융 시장을 제도 금융화 하기 위하여 「상호신용금고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1972년 「상호신용금고법」이 제정됨으로써 종래의 사설 무진 회사와 서민 금고 등의 사금융 업체를 1972년 8월 30일 이내에 신고하...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새마을금고중앙회 산하의 지역 지부. 새마을금고중앙회 부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에서 「새마을금고법」[법률 제362호] 제22조 및 연합회[현 중앙회] 정관 제3조에 의거하여 새마을금고의 건전한 발전과 공동 이익 증진을 위한 지도 및 감독하고, 부산 지역 상호 금융을 통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새마을금고의 종합 금융 협동조합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생명보험협회 산하의 지역 본부. 생명보험협회 영남지역본부는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생명 보험업계 및 보험 가입자 등의 권익을 보호하고, 회원 상호간 업무를 협조·유지하며, 이를 통한 생명 보험 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0년 2월 생명보험협회를 설립하였다. 1958년 11월 대한생명보험협회로,...
-
부산광역시에 있는 서울보증보험의 지점 서울보증보험 부산지점은 「보험업법」 제2조 및 제4조에 의거하여 개인과 기업의 거래 행위에서 발생하는 신용 위험을 감소시키고, 채무자와 채권자의 원활한 채권 업무와 보증 보험 및 신용 상품 제공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2월에 대한보증보험이 설립되었고, 그해 10월 28일에 대한보증보험 부산지점이 개점하였다. 197...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던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산하의 지역 지회.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는 1937년 5월 조선어업조합으로 출범하여 1944년 4월 조선수산업회를 거쳐, 1949년 한국수산협회로 개편하였고, 1961년 수산업 단체의 정비와 통폐합 작업 이후 1962년 4월 1일 「수산업협동조합법」 1013호에 의거하여 회원 조합과 함께 발족한 조합 단체이...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에 있던 외국계 은행 지점. 1978년부터 정부의 지방 외국환 업무 육성 계획에 따라 부산 지역에 제2 외환 시장권 육성이 추진되었다. 당시 부산 지역은 수출입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항구 도시였고, 여전히 신발 등의 산업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여건 등을 바탕으로 하여 1984년 3월 17일에 외국계 은행인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부산지점이 설치되었으며...
-
부산광역시에 있는 신영증권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신영증권 부산지점은 「증권거래법」 제28조에 의거하여 ‘고객의 신뢰가 회사의 번영’이라는 신즉근영(信則根榮)의 경영이념을 실천하고, 장기 가치 투자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6년 6월 11일 신영증권 부산지점이 부산직할시 중구 동광동에 위치한 부산증권회관 4층에서 개점하였다. 1978년 10월 1...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었던 제2 금융권의 단자 회사. 신세계종합금융은 「단기 금융업법」[1972. 8. 17 법률 제2339호]에 의거하여 단기 금융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12월 29일 재무부는 신라투자금융 설립에 대하여 내인가를 받았다. 신라투자금융의 내인가는 제2 금융권 설립 자유화 조치 이후 첫째로 서울 이외 지역의 단자 회사 신설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신용보증기금 산하의 지역 본부. 신용보증기금 부산경남영업본부는 「신용 보증 기금법」[법률 제2695호]에 의거하여 신용 보증을 통해 중소기업의 금융을 원활히 하고, 효율적인 관리 운용으로 건전한 신용 질서를 확립하여 균형 있는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6년 12월 8일 신용보증기금 부산지점이 개점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신한금융투자 산하의 지역 지점. 신한금융투자 부산지점은 「증권거래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증권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효성증권을 설립하였다. 1976년 5월 4일 효성증권 부산지점을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1가 22번지에 개점하였다. 1981년 2월 부산직할시 중앙동 2가 57번지 개국 빌딩 2층으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에 있는 신한은행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신한은행 부산지점은 「은행법」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에서 서로 돕는 은행이라는 경영 이념을 실천하고,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는 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며, 기업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여 기업의 성과와 가치를 지역 사회와 공유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7월 7일 6번째 시중 은행으로 신한은행을 설립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었던 미국 아메리카은행(Bank Of America)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아메리카은행 부산지점은 한국의 「은행법」을 근간으로 부산 지역에서 은행 업무, 신탁 업무 등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아메리카은행은 한국에 진출하였다. 1977년 1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운영위원회는 아메리카은행 부산지점의 신설을 내인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3가에 있는 외국계 은행. 야마구치은행[山口銀行]은 일본 야마구치 현을 연고로 하는 지방 은행으로, 일본의 64개 지방 은행 중 총자산 기준으로 15위, 자기 자본 비율 5위, 자기 자본 3000억 엔의 탄탄한 회사이다. 한국에는 부산광역시에 지점을 두고 있다. 1973년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서 야마구치은행 주재원사무소로 개설되었으...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생명 보험 회사. DGB생명보험은 부산 지역의 생명 보험업을 사업 목적으로 부산 상공인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 1. 설립~2008년 1987년 10월 23일에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정주영을 발기인 대표로 한 부산 상공인 12명으로 부산생명보험 창립 발기인이 구성되었고, 그해 12월 30일에 재무부로부터 생명 보험 사업 내인가를...
-
부산광역시에 있는 우리투자증권의 지점. NH투자증권 부산지점은 「증권 거래법」 제28조에 따라 증권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9년 1월에 한보증권으로 설립되어 출범하였으며, 같은 해 2월에 한보증권 동광동지점[부산지점]이 개점하였다. 1975년 6월에 한보증권이 생보증권을 흡수 합병하였고, 그해 7월에 한보증권에서 대보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
-
부산광역시에 있는 유진투자증권의 지점. 유진투자증권 부산지점은 「증권 거래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증권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4년 5월 12일에 서울증권이 설립되었고, 1977년 10월 24일에 서울증권 부산지점이 부산직할시 중구 동광동 1가 11번지 광복동 입구에서 개설되었다. 객장 2층과 관리실 3층을 분리한 약 231㎡[70여 평]의 서울증권 부...
-
부산광역시에 별도의 사무실 없이 지부장만 존재하는 저축은행중앙회 산하의 지역 지부. 저축은행중앙회 부산지부는 「상호 신용 금고법」 제25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에서 저축 은행 업무 개선과 발전 및 상호 업무 협조와 신용 질서의 확립, 거래자 보호를 위한 활동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11월 23일, 부산 지역 35개의 상호 신용 금고 회사...
-
부산광역시 중구에 있던 조흥은행의 지역 본부. 1897년(고종 34) 2월 19일에 창설된 한성은행(漢城銀行)이 조흥은행의 기원이다. 조흥은행 영남본부는 「은행법」에 의한 은행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8년 5월 1일에 조흥은행 부산지점이 개설되었고, 1976년 8월 10일에 조흥은행 부산업무추진본부가 설치되었다. 1981년 2월 28일에 조흥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중소기업은행 산하의 지역 본부. 중소기업은행 부산울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 중소기업인과 서민들에 대한 효율적인 신용 제도를 확립하여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증진하고 경제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2월, 중소기업은행은 전국 9개 지역 본부를 15개로 확대하였다. 이에 당시 41개의 점포와 60개...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1가에 있는 중소기업은행 산하의 지역 본부. 중소기업은행 부산지역본부는 중소기업인과 서민들에 대한 효율적인 신용 제도를 확립하여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은행 고객의 기반을 확충하고 영업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기존에는 중소기업은행 부산울산지역본부와 부산 경남지역본부가 부산광역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어서...
-
부산 지역에 지점을 두었던 외국계 은행. 1978년 재무부가 무역 규모 확대에 따라 서울 중심의 외국환 업무 집중 현상을 막기 위해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외환 시장을 육성하기로 하였다. 이에 체이스맨해튼은행 부산지점이 부산 지역의 외국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7년 한국에 체이스맨해튼은행 지점이 처음 설치되었고, 1980년 7월 1일 체이스맨해...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1가에 있는 금융 기관. 대한투자신탁 부산지점[현 하나대투증권 부산지점]은 「대한증권투자신탁업법」에 의거하여 증권 투자 신탁의 새로운 투자층 개발 및 상품 보급을 통하여 최대 수익을 추구하고 기관 투자가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여 자본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8월 「증권투자신탁업법」이 제정 및 공포된 이후, 1...
-
부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하나은행의 지역 본부. 1959년에 서울은행이 창립되어 1962년에 전국 은행으로 인가를 받아 발족하였다. 1976년에 한국신탁은행을 흡수 합병하면서 서울신탁은행으로 개칭하였고, 1995년에 서울은행으로 개칭하였다. 1997년 이후 구조 조정을 행하였으며, 2002년 12월에 하나은행과 합병하여 하나은행으로 개칭하였다. 1975년 6월에 서울은행...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본점이 있는 증권 회사. 1989년 10월에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서 제일투자신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2월에 최대 주주가 부산상공회의소에서 강병중으로 변경되었으며, 그해 12월에 강병중에서 제일제당으로 변경되었다. 1998년 2월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으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1999년 1월에 제일투자신탁에서 제일투자신탁증권으로 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던 한국개발리스 산하의 지역 지점. 한국개발리스 부산지점은 부산 지역의 기업체 또는 개인 사업자에게 리스 및 운전 자금 대출을 통해 이들의 설비 투자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며, 자금 시장 동향 분석 및 기업 투자를 활발히 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2월 18일 한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한국무역보험공사 산하의 지역 지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산지사는 부산 지역에서 무역 및 대외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담보하기 위한 무역 보험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무역과 해외 투자를 촉진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12월 31일 「수출 보험법」을 제정 및...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었던 한국산업리스 산하의 지역 지점. 한국산업리스 부산지점은 부산 지역에서 자기 자금 및 담보 능력이 부족한 기업에게 시설을 대여해 주어 시설 투자를 촉진시키고 기업들의 자기 자금 부담을 낮추어 수출을 촉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경제의 본격적인 산업화, 경제 성장 가운데...
-
부산광역시에 있는 한국산업은행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한국산업은행 부산지점은 「한국산업은행법」[1953년 12월 30일 법률 제302호]과 한국 산업 은행 직제 규정에 의거하여 국책에 순응하여 부산 지역의 산업 개발과 국민 경제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 산업 자금을 융자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 정부는 전후 복구 사업을 지원할 산업 금...
-
부산광역시에 있던 한국상업은행의 지역 본부. 한국상업은행은 1899년(고종 36) 1월 30일에 대한천일은행으로 설립되었다. 1911년에 조선상업은행으로 개칭되었고, 1950년 4월 24일에 한국상업은행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1998년에 한국상업은행이 한일은행과 합병하여 1999년에 한빛은행으로 발족하였다. 2001년에는 한빛은행이 우리금융지주 에 편입...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공적 수출 신용 기관. 한국수출입은행 부산지점은 수출입과 해외 투자 및 해외 자원 개발에 필요한 금융을 공여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대외 경제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4년 6월 25일에 재보험공사(再保險公社) 부산사무소로 개소하였다. 1977년 1월 1일에 수출 보험 대행 기관이 한국수출입은행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외환 관리 전문 특수 은행. 하나은행 부산영업본부는 외국환 전문 국책 은행으로서 외국환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1월 30일에 한국외환은행의 설립과 함께 한국외환은행 부산지점이 개점하였고, 1982년 4월 2일에 한국외환은행 영남본부가 설치되었다. 이후 한국외환은행 영남본부에서 한국외환은행 부산영업본부로...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금융 업무를 총괄하는 한국은행 산하의 부산 본부.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부산 지역에서 효율적인 통화 신용 정책의 수립과 진행을 통해 물가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50년 6월 12일 부산시 중구 대청동 1가 44번지에 한국은행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1950년 8월 22일부터 1953년...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었던 한국장기신용은행 산하의 부산 지점. 한국장기신용은행 부산지점은 「장기신용은행법」 제6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에서 장기 신용 채권을 발행하고 시설 자금 및 장기 운전 자금을 제공해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4월 25일 우리나라 최초 순수 민간 금융 기관인 한국개발금융을 설립하였다. 1979년 3월 16일 한국개발금...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던 한국주택은행의 지역 본부. 한국주택은행 부산지역 업무추진본부는 주택 자금의 조성을 뒷받침하고, 주택 자금의 효율적인 공급과 관리를 위해 설립되었다. 1967년 3월 30일에 제정된 「한국주택금고법」에 의하여 한국주택금고가 발족하였으며, 이어 1968년 10월 1일에 한국주택금고 부산지점이 개점하였다. 1969년 1월 4일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한국증권금융 산하의 지역 지점. 한국증권금융 부산지점은 증권 시장에 자금을 공급하고 특정 업무를 수행하여 자본시장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5년 10월 11일 「자본 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아 한국연합증권금융을 설립하였다. 1962년 한국...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1가에 있는 한국투자증권 산하의 지역 지점. 한국투자증권 부산지점은 「증권거래법」 제28조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에서 끊임없는 경영 혁신과 최상의 고품격 종합 금융 서비스의 제공으로 고객의 성공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 1월 한신증권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1972년 10월부터 한신증권 부산지점은 부산 중기 거래원 중 최초...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위험 관리 전문 기관. 화재 보험 가입 관리와 재해 예방을 주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2월 6일 「화재로 인한 재해 보상과 보험 가입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손해 보험 회사에 의해 한국화재보험협회가 설립되었다. 1973년 6월 19일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산지부가 개설되었다. 이후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산경남지부로 개칭되었다. 주요 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본사를 두었던 생명 보험 회사. 한덕생명보험은 인체 사고와 관련된 보험 증서를 발행하여 보험 계약자로부터 보험료를 징수하고, 이 자금을 투자하여 수익을 획득하여 운영하고자 설립되었다. 1989년 4월 전국 규모의 순수한 국내 생명 보험사의 허가를 취득하여, 8월 31일 법인을 설립하고, 12월 1일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 부산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던 한미은행의 지점. 한미은행 부산지점은 여신·수신 등 「은행법」에 따른 모든 업무와 신탁 업무를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1년 9월 17일에 대한상공회의소 를 중심으로 한미금융이 설립되었다. 한미금융과 미국의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Corporation]의 합작 은행으로 1982년 9월 2일에 금융통...
-
부산광역시에 있던 한일은행의 부산 지역 본부. 1974년 12월 9일 한일은행 부산지구 업무추진본부가 설치되었고, 1979년 5월 1일 한일은행 영남업무추진본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4년 2월 10일 한일은행 영남업무추진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87년 4월 14일 한일은행 부산지부로 다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8년 한일은행이 한국상업은행과 합병하였으며, 19...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한화손해보험의 영남 지역 사업부. 한화손해보험의 전신은 1946년 4월 1일 세워진 신동아손해보험이다. 창업자는 『서울 신문』의 공동 창업자이자 당시 갑부로 유명했던 조중환과 김동준이다. 이들은 1945년 『서울 신문』을 창간한 뒤 1946년 4월 국내 최초의 민족 자본[자본금 1,000만 환] 손해 보험 회사인 신동아손해보...
-
부산광역시에 있는 한화투자증권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한화투자증권 부산지점은 「증권거래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유가 증권의 발행과 매매 기타 거래를 공정하게 하여 유가 증권의 유통을 원활히 하고 투자자를 보호하여 부산 지역 경제는 물론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7월 성도증권을 설립하였고, 1970년 9월 9일 성도증권사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었던 종합 금융 회사. 항도종합금융은 「단기 금융업법」[1972. 8. 17 법률 제2339호]에 의거하여 부산 지역의 제2 금융을 육성하고,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의 단기 자금 수요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정부는 사금융을 양성화하고 제도화하기 위하여 「단기 금융법」, 「상호 신용 금고법」, 「신용 협동조합법」 등을 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에 있는 KB증권 산하의 지역 지점. KB증권 부산지점은 「증권거래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증권의 발행, 매매, 기타 거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6월 국일증권을 설립하였다. 1975년 4월 재무부로부터 국일증권 부산지점 설치 인가를 얻었으며, 5월 21일 국일증권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9명의 종업원이 종사...
-
부산광역시에 있는 흥국생명보험의 지점. 1959년 1월에 흥국생명보험 부산지사가 설치되었다. 1973년 9월에 태광산업그룹에 편입되었으며, 1975년 3월에 흥국생명보험 부산영업국으로 개칭되었다. 1979년 10월에 흥국생명보험 북부산영업국을 개설하였으며, 1982년 10월에는 흥국생명보험 중부산영업국을 개설하였다. 1984년 1월 20일에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 지하...
-
부산광역시에 있는 흥국화재해상보험 산하의 부산 지역 지점. 흥국화재해상보험 부산지점은 「보험업법」 제5조에 의거하여 국민 재산 보호와 사회 복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기업 영업 자유화 및 자유 경쟁 원칙에 따라 8개 손해 보험 회사의 설립을 허가하였다. 이에 따라 흥국화재해상보험의 전신인 고려화재해상보험이 1948년 3월 15일 대...
연구 기관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직물 관련 종합 시험 연구원. FITI시험연구원 부산지원은 「품질 경영 및 공산품 안전 관리 법」, 환경 보전에 관한 법률 및 기타 법령에 의하여 정부가 지정하는 제품, 물질 등에 대한 시험 연구, 기술 지도, 품질 검사와 과학 기술의 조사, 연구, 개발을 보급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향상과 환경 보호 및 대외 성가(聲價)의 유지 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디자인 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해 설립된 기관. 부산디자인진흥원은 「민법」 제32조에 의거하여 디자인 산업 관련 인적, 물적 정보를 집적하여 지역의 디자인 산업을 육성·발전시킴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10월 부산디자인센터를 건립하기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20...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의 경성대학교에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연구 기관.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연령과 성별, 국적[언어], 장애의 유무 등과 같은 개인의 능력과 개성의 차이와 관계없이 처음부터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 건축·환경, 서비스 등의 구현[디자인]을 의미한다.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는 산업자원부[현 산...
-
부산광역시에 있는 대학교와 기업 간의 기술 혁신을 위한 산학 협력 기관. 1994년 2월 교육부는 지역 협력 연구 센터 육성 계획에 따라 지역 협력 연구 센터[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설립을 추진하였다. 1995년 12월 통상산업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술 하부 구조 확충 5개년 계획에 따라 지역 기술 혁신 센터[TIC, Technolog...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산하의 지역 지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은 「국가 표준 기본법」 제30조에 근거하여 건축·생활 관련 제품 등에 대한 각종 시험·평가·인증과 연구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국내 산업의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수출 진흥과 소비자 보호, 산업 발전 및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자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산하의 지역 지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은 전기 전자 분야의 국제 공인 시험 인증 기관인 한국전기전자시험연구원과 계량·기계 분야의 전문 시험 인증 기관인 한국기기유화시험연구원을 통합한 기관이다.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부산지원은 부산 지역에서 전기·전자, 계량·계측, 에너지, 기계·물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산하의 지역 지원. 한국의류시험연구원 부산지원은 「수출 검사법」 제14조와 「공산품 품질 관리법」 시행 규칙 제11조에 의거하여 섬유, 화학, 생활용품 등 제품 품질 향상과 시험 업무 및 분석, 검사를 통해 수출 제품의 품질 및 대외 성가의 유지 향상을 도모하여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수출 무역을 조성...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과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조선 및 해양 기자재 관련 연구·시험 인증 기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韓國造船海洋機資材硏究院)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첨단 핵심 기자재의 개발부터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기업 지원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산업 기술의 발전을 선도하고,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를 최우선...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산하의 지역 지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부산경남지원은 「국가 표준법」에 의거하여 기술과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기업에게 기술 개발, 품질 향상, 해외 진출 등을 지원하며, 국민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4월 대한고무제품시험검사소 설립 이후, 5...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었던 해운산업연구원 산하의 지역 사무소. 해운산업연구원 부산사무소는 해운 정책 및 기업 전략의 연구 지원과 해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1984년 2월 한국해운기술원 부산지방사무소를 개소하였고, 1988년 12월 한국해운기술원 부산지방사무소에서 해운산업연구원 부산사무소로 개칭하였다. 1997년 4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었던 현대경영기술연구소 산하의 지역 지사. 현대경영기술연구소 부산경남지사는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 및 발전을 위하여 경영 기술을 지도하고 경영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 1월 현대경영기술연구소를 창립하였다. 1979년 2월 상공부로부터 중소기업 경영 기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