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41 |
---|---|
한자 | -釜山地域支社 |
영어공식명칭 | KT Busan Branch |
이칭/별칭 | KT 올레플라자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준현 |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통신 업체 KT의 지사.
[설립 목적]
전기 통신 서비스의 전문화 및 사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887년 7월 17일 설치된 조선전보총국 부산분국이 설치되었다. 1888년 6월 1일 부산~한성 간 전신선 개통, 1903년 3월 1일 부산 지역의 자석식 전화 신설, 1906년 6월 1일 부산~한성 간 전화 개설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1949년 11월 22일 부산체신청 에서 전기 통신 업무를 관장하였다. 1982년 1월 1일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출범하면서, 부산직할시 서구 아미동에 한국전기통신공사 부산지사가 개설되었다.
1983년 9월 시외 전화 교환[No. 4 ess] 시설을 개통하였으며, 1983년 10월 11일 국제 자동 전화[ISD]를 개통하는 등, 부산 지역 시민에게 편리한 통신 업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1987년 6월 23일 부산·경상남도 지역 광역 자동화를 완성하였다. 1991년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약칭인 ‘한국통신’을 사용하였으며, 1991년 12월 부산 지역에 정보 통신 센터를 개관하였다. 2002년 6월 완전 민영화 되어 KT로 출범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전기통신공사 부산지사는 부산 지역의 공중 전기 통신 시설의 설치, 공중 전기 통신 시설의 운용 및 보존, 공중 전기 통신에 관한 영업, 전기 통신에 관한 연구 및 기술의 개발, 전기 통신에 관한 인력의 양성, 전기 통신 기자재의 시험, 전기 통신에 관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산업화의 촉진을 위한 지원, 전기 통신에 관한 학술 연구 기관 및 단체의 육성 지원 등에 관한 업무와 정부로부터 위탁 받은 업무를 수행하였다.
KT 부산 지역 지사는 유선 전화, 무선 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탈통신, 통신 방송 융합, 유무선 컨버전스 등의 산업 트렌드에 발맞추어, IPTV[인터넷 TV], VoIP[인터넷 전화], WiBro[개인 휴대 인터넷], Virtual Goods[가상 재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황]
2013년 현재, 부산 지역에 있는 KT의 지사[올레플라자]로는 올레플라자 동래점, 올레플라자 덕천점, 올레플라자 남부산점, 올레플라자 사하점, 올레플라자 서면점, 올레플라자 금사점, 올레애비뉴 해운대점, 올레플라자 동부산점, 올레플라자 서부산점, 올레플라자 부산강서점, 올레플라자 영도점, 올레플라자 기장점, 올레플라자 북부산점 등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조선전보총국 부산분국에서 출발한 한국전기통신공사 부산지사는 1980년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부산 지역민의 전기 통신 업무를 관할해왔다. 민영화 및 KTF 합병 이후, KT 부산 지역 지사는 부산 지역의 광범위한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