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부산문화대전 > 부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터전(지리) > 인문 지리
-
부산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 지리적 요소. 부산은 한반도 동남단에 자리 잡고 있는데,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면해 있고, 남쪽은 대한 해협과 동쪽은 동해안과 접해 있다. 북쪽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남도 양산시에, 서쪽은 경상남도 김해시와 창원시에 접해 있다. 수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동단은 동경 129°18′13″[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서단은 동경 1...
-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광역시. 1. 위치 부산광역시의 동단은 동경 129° 18′13″[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서단은 동경 128° 45′54″[강서구 가덕도동 미백도], 남단은 북위 34° 52′50″[사하구 다대동 남형제도], 북단은 북위 35° 23′36″[기장군 장안읍 명례리]이다.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면해 있는데, 남쪽은 대한 해협과 동쪽은 동해...
-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 또는 집단. 인구는 그 지역의 자연적·사회적·경제적 여러 조건을 반영하는 것으로 지역 사회 파악을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 특히 인구는 정적인 것이 아닌 동적인 것으로 인구수나 구조, 분포 등이 계속 변화한다. 부산은 1876년 개항과 함께 우리나라의 무역·상공업 중심지로 발전하면서 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해 1936년에 20만 명을 넘어섰...
-
부산 지역에서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풍수지리는 땅의 형세를 인간의 길흉화복에 관련시킨 우리의 전통적인 지리 사상이다. 산(山)·수(水)·방위·사람 등 4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구성하며, 『주역(周易)』을 주요한 준거로 삼아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논리로 체계화하였다. 풍수지리는 풍수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간룡법(看龍法)·장풍법(藏風法)·정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