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에서 연구 개발되는 과학과 기술 및 그 관련 기관과 활동. 부산은 오랜 과학 기술 전통을 가진 지역이다. 부산 지역은 철기 문명의 발생지였고, 신라 시대에는 금속 공예 기술이 발달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부산 지역에서 최무선(崔茂宣)의 화약 무기가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부산 출신의 장영실(蔣英實)이 과학 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개항 이후...
-
한국과학문화재단에 의해 선정, 추진되고 있는 부산광역시 지역 과학 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사업. 과학 문화 도시 사업은 지역 중심으로 특화된 과학 문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산을 도모할 목적으로 2004년에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에 의해 시작되었다. 지방 자치 단체, 지역 교육청, 대학 혹은 민간 과학 문화 단체 등 3개 기관과 한국과학문화재단이 긴밀히...
과학 기술 관련 기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섬유 제품 전문 국가 공인 시험 검사 연구 기관 사무소. KOTITI시험연구원 부산사무소는 섬유 제품을 비롯한 환경 위생 및 산업 자재에 대한 시험 분석, 품질 분석을 수행하여 부산 지역 섬유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1961년 9월 대한방직협회 부설 방직시험검사소가 발족하였으며, 1969년 4월 사단 법인체로 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보건복지부 소속의 검역 기관. 동북아 물류의 중심에 있는 부산 지역은 검역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 부산은 대표적인 항구 도시였으며, 항구를 통해 들어오는 세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산세관 항만의무과에서 검역 업무를 시작하였다. 광복 이후는 검역 감염병의 국내 침입과 전파 방지를 목적으로 입항 선박에 대한...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에 있는 수산 분야의 연구 개발과 기술 보급을 담당하는 국립 연구 기관. 국립수산과학원은 수산 자원의 조사·시험·연구와 수산 기술의 지도·보급을 위해 설립되었다. 1921년 5월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으로 출발한 후 1949년 4월 상공부 중앙수산시험장, 1955년 3월 해무청 소속 중앙수산시험장, 1961년 10월 농림부 소속 중...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립 해양 조사 기관. 한국 해역에 대한 해양 측량, 해양 관측 등 해양 조사를 시행하여, 그 성과를 토대로 해도[전자 해도 포함] 및 수로서지를 간행하여 해운, 수산, 해양 개발, 산업 분야와 군(軍) 및 각종 연구소에 제공하고, 국제수로기구(國際水路機構)[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대한항공의 항공기 생산 및 정비 시설. 1975년 대한항공은 ‘군용 항공기 정비·조립·생산 군수 업체’로 지정된 후 700억 원이라는 거액을 투자하여 김해 국제 공항 인근의 늪지대를 메우고 항공기 생산 공장을 건설하였다. 이어 1976년에는 자주 국방 실현과 선진 항공 산업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가 발족되었다. 20...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에 있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산하의 연구 센터.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연구센터는 연구형 병원을 지향하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병원과 함께 임상 적용 및 실용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0년에 설립되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연구센터의 임무는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 및 연구 개발, 국가 방사선 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에 있는 대표적인 수산 과학 특성화 연구소.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는 수산 양식 어업 자원의 관리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3년 7월 9일 임해연구소 설치 준비 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1965년 12월 30일 해운대 임해연구소 준공식을 거행하였다. 1966년 10월 1일 「국립대학 설치령」[제3장 19조 5항]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과학 문화 활동 협의체. 부산과학기술협의회는 과학 기술에 대한 시민과 학생의 이해를 높이고, 과학 기술 진흥 및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하여 부산 및 동남권 지역을 동북아시아의 중심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4년 3월 31일 발기인 92명으로 창립하였다. 2004년 6월 30일 사단 법인으로 등록[과학기술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과학 교육 지원 기관.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은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 육성과 초·중·고등학교 과학 기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생 교육, 교원 연수, 과학 교육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과학 행사 및 과학 체험의 장을 제공하여 시민 생활의 과학화에 기여하고자 설립하였다. 1983년 12월 5일 「부산학생과학관 설치...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에 있는 농업 기술 지원 기관. 농업기술센터는 농업진흥청 산하의 기관으로 농업인 기술 지도, 농업인에 대한 교육 훈련, 기술 농업 전문 인력의 육성, 새로운 농업 기술의 보급, 농업 정보의 수집확산 등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89년 4월에 양산군 농촌지도소 동부지구지소가 설치된 후 1995년 3월에 부산광역시 농촌지도소 기장지구지소로 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수산 자원 연구 개발 기관.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는 우수 품종 개발 및 신기술 지원을 통해 어업인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어촌에 활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는 명지 소각장의 쓰레기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치어를 생산한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계획되었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로봇 산업 육성 단체. 부산로봇산업협회는 부산 지역의 로봇 관련 산학연의 교류를 통해 지역 로봇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9년에 부산대학교에서 로봇산업육성협의회가 결성되었으며, 2010년에 부산로봇산업협회로 발전되었다. 2011년에 지금의 동명대학교로 이전하였다. 부산로봇산업협회의 주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정보 통신 산업 지원·육성 기관. 부산 지역의 IT 산업은 1999년부터 부산 지역의 전략 산업으로 지정되어 풍부한 고급 인력, 대도시 기반의 산업 수요 등과 연계되어 꾸준히 성장해 왔다. 1990년대 후반에만 해도 부산 지역의 IT 산업은 소프트웨어 산업으로서 극히 영세한 벤처 기업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 1...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기상 관측 및 예보 담당 기관. 부산지방기상청은 부산·경상남도·경상북도 지역의 기상을 체계적으로 관측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4년 3월 일본기상대 임시측우소 부산측후소로 발족되어, 1905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부산시 중구 대청동에 위치한 부산측후소의 현재 건물은 1934년 1월 지상 4층 규모로...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과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기술 혁신 거점 기관. 부산테크노파크는 부산 지역의 대학, 연구 기관, 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특화 산업의 기술 고도화를 촉진하고 첨단 분야에서의 신기술 창업을 지원·육성하여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1999년에 설립되었다. 부산테크노파크...
-
부산광역시에 있는 생활 폐기물의 소각 처리 및 소각열의 에너지 자원화 시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소각장[Incineration Plant]은 단순히 쓰레기를 태워서 감량하고 폐열 등을 회수하지 않는다. 반면, 자원 에너지 센터는 생활 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소각 처리하고 소각열을 회수하여 자원화 하는 시설로 쓰레기 반입, 쓰레기 소각, 폐열 보일러, 열 공급, 대기 오염...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에 있는 조선 해양 플랜트 분야 연구 센터. 조선해양플랜트글로벌핵심연구센터는 조선 해양 플랜트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 주력 산업을 지원하고 프리미엄급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11년에 정부는 대학 내 자생력을 갖춘 세계 수준급의 연구 집단을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핵심 연구 센터[G...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에 있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산·울산 지역 담당 기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산울산지역연합회는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지역별 과학 기술 활동 강화 및 혁신 역량 제고, 지역의 혁신 정책 및 사업에 대한 효율적 지원·자문, 지역 사회 과학 기술 마인드 제고·확산, 지역 사회 과학 기술인의 사회 참여 및 책임 제...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부산·울산·경상남도 지역 지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1962년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로 설립된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은 과학 기술 및 이와 관련된 산업 정보의 종합적인 수집·분석·관리, 정보의 관리 및 유통에 관한 기술·정책·표준화 등...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분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기초 과학의 진흥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공동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특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산센터는 수요자 중심의 산·학·연 연결 고리를 자임하면서 지역 기초 과학 및 응용과학자들의 지역 혁신 체계[RIS: Regional Innovation Sys...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의 부산 지역 지회. 한국발명진흥회 부산지회는 「발명 진흥법」[법률 제10489호, 2011. 3. 30] 제52조에 의거, 발명 진흥 사업을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발명가의 이익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사업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12월 31일 한국발명진흥회 부산지회로 부산광역시 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산업계 지원 전문 연구 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남권지역본부(韓國生産技術硏究院東南圈地域本部)는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 및 구조 조정 촉진에 관한 법률」[법률 제4092호]에 의거하여, 생산 기술 분야의 산업 원천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중소·중견 기업의 기술 지원 및 성과 확산 등을 통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의 영남 지역 본부. 승강기 안전 확보를 위해 설립된 고용노동부 산하의 공공 기관이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영남지역본부는 「승강기 시설 안전 관리법」[법률 제9384호, 2009. 1. 30] 제15조의 3에 의거, 승강기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승강기 안전 관리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신발 피혁 산업 기술 개발 연구 기관. 한국신발피혁연구원은 신발 피혁 산업을 2000년대의 우리나라 전략 산업으로 육성시키기 위하여 첨단 기능 신발, 소재 및 부품 개발, 생산 자동화 연구, 디자인 연구, 제반 시험 등 신발 피혁에 관련된 생산 기술의 연구 개발과 교육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업계에 보급함으로써 동 분야의 기술...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동남권 여성 과학 기술인의 교육 및 취업 지원 기관. 부산, 울산, 경상남도 지역에 속한 여성 과학 기술인의 능력을 향상하고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에 제정된 「여성 과학 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2005년에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omen in Science and Technol...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한국우주소년단의 부산 지방 본부. 청소년의 과학적 탐구 능력을 배양하고, 국가, 사회, 개인의 발전을 도모해 궁극적으로 깨끗한 지구의 보존과 인류 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과학 기술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한국우주소년단 부산지방본부는 과학기술부 산하 1989년에 중앙본부가 설립되면서 그 해 10월에 설립되었...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해양 산업 발전 및 해양 문화 확산 지원 단체. 한국해양산업협회는 해양 허브 조성, 해양 수산 관련 산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 증진, 해양 산업 발전 및 해양 문화 확산을 위한 인적·물적 네트워크 구축, 해양 수산 관련 연구 개발 및 교육 활동을 통해 해양 입국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2006년 7월에 해양산업발전협의회[M...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는 한전KPS의 자회사. 한전KPS 고리사업처[원자력]는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인 전력 설비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해 설립된 한전KPS의 사업처로 고리 원자력 발전소의 발전 설비의 유지와 보수를 위해 설치되었다. 1984년 4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출자 비율 75%]인 한전KPS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 216번지[...
과학 기술 관련 행사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서 개최되었던 대중 과학 강연회. 과학 기술 시대인 21세기에는 부산에서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 갈 과학 꿈나무를 키우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국내 최초의 대중 과학 강연회이다. 『국제 신문』의 주최로 2000년 3월 10일 제1회 과학자와의 만남이 개최되었다. 매주 혹은 격주로 실내 강연회 56회와 별 축제 등 야외 강연회 6회까지 총 62회 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의 궁리 마루에서 매주 금요일 개최되는 과학 대중 강연. 금요일에 과학 터치는 국민의 세금으로 수행되는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 21세기 프론티어 연구 개발 사업, 원천 기술 개발 사업, 국가 지정 연구실 사업, 우수 연구 센터 사업의 연구 결과를 국민들에게 되돌려 주기 위해서 연구 과제 책임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과학 지식 나눔의 장이...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최되는 학생과 교사의 과학 연구 작품 경진 대회. 부산 과학 전람회는 과학에 대한 탐구심을 함양하여 우수한 과학 인재를 육성하고 과학 교사에게 연구 기회를 부여하여 탐구 지도 능력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1962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부산광역시 교육청이 주최하고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이 주관해 매년 열리는 과학 기술 문화 행사이다. 부산 과학 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매년 4월 개최되는 과학 축제. 2002년 4월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청소년과 시민에게 과학을 즐겁고 신나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부산의 과학·기술 연구 성과를 널리 알려 시민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며, 과학 대중화를 이루기 위하여 제1회 부산 과학 축전을 개최하였다. 부산 과학 축전은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교육청, 『국제 신문』...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의 벡스코에서 매년 10월 기술 개발과 창업 촉진을 위해 열리는 행사. 우수 특허 기술·제품을 전시하여 시장 판로 개척과 마케팅 활동 지원을 통한 사업화를 촉진하고, 범시민적인 창업 마인드를 높여 창업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2008년 부산 발명 신기술 창업 박람회를 개최하였다. 2012년 명칭이 부산 발명 신기술 창업 박람회에서 부산 국제 발명·신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의 벡스코에서 격년으로 열리는 조선 해양, 해양 방위, 항만 물류 분야의 종합 전시회. 1980년에 제1회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Kormaine]이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었고, 1982년 제2회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부터 부산 조선 비치 호텔 매립장에서 열렸다. 1999년에 부산에서 국제 해양 방위 산업전[Naval & Defence]이...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최되는 학생들의 과학 발명 경진 대회. 부산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 대회는 과학 발명을 통해 창의력과 탐구심을 길러 주기 위해 1979년에 시작되었다. 부산광역시 교육청이 주최하고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이 주관한다. 부산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 대회는 우리나라 발명 경진 대회 가운데 가장 오랜 전통과 권위를 가진 전국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
-
부산광역시의 주민 자치 센터를 중심으로 열리는 과학 문화 프로그램 생활 과학 교실은 2003년 9월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3동사무소에서 최초로 개설되었으며, 2004년부터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부산 지역의 경우에는 2004년 9월 6일에 권양숙 대통령 영부인과 오명 과학기술부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부산특별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개최되는 과학 문화 활동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사이언스 아카데미는 일반인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과학 문화 도시-부산’의 이미지를 높이며 동남권 국립 과학관을 대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07년에 개설되었다. 사이언스 아카데미는 기초 과학, 해양 수산, 천체 천문 등 세 분야 각 15주의 교육 과정으로...
-
부산광역시의 각 권역을 순회하여 개최되는 중소 규모의 과학 축제. 순회 과학 축제는 매년 4월 개최되는 부산 과학 축전이 동부산권[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는 지역적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6년에 시작되었다. 동래권[온천천, 장영실 과학 동산]과 남부산권[금련산 청소년 수련원], 서부산권[을숙도 광장, 북구 구민 체육공원]의 3개 권역별로 나뉘어 개최하고...
과학 기술 진흥 제도
-
부산광역시가 여성 과학 기술인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제정한 조례. 「부산광역시 여성 과학 기술인 육성 및 지원 조례」는 부산광역시 조례 제4637호로 2011년 7월 13일에 제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창조과학산업과의 소관으로 되어 있다. 여성 과학 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여성의 과학 기술 역량 강화와 지역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삼...
-
부산광역시가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해 제정한 조례. 「부산광역시 인적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조례」는 부산광역시 조례 제3827호로 2003년 1월 30일에 제정되었으며, 교육협력과와 과학산업과의 소관으로 되어 있다. 부산 지역의 인적 자원 개발 및 과학 기술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지식 기반 경제 구축을 통한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
부산 지역의 우수한 과학 기술자에게 수여하는 상. 부산광역시와 국제신문이 공동으로 상금 1,000만 원씩을 마련해 2002년 4월에 부산 과학 기술상을 제정하였다. 부산 시민들이 자랑스럽게 ‘부산의 과학자’라고 내세울 수 있는 과학 기술자를 발굴하여 시상함으로써 과학 기술 인력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산 과학 기술상은 2002~2004년에...
-
부산 지역의 우수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에게 수여하는 상. 부산 미래 과학자상은 부산과학기술협의회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하고 부산광역시 교육청과 국제신문 등이 후원하는 상으로 2005년에 제정되었다. 부산 지역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들의 학술 능력을 함양하고, 지역의 우수 인재를 발굴·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5년에 대학생 논문상으로 시작하여 2006년부터 대학...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한국해양산업협회가 주관하는 해양 과학 기술에 대한 상. 해양 산업 및 해양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한 학계 및 산업계의 인사들과 우수한 젊은 연구자들을 발굴해 공적을 널리 알리고 해양인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해양 과학 기술상 및 논문 우수상은 2007년에 시작된 후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상 부문은 해양 과학 기술상과 해양...
과학관·전시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위치한 국립 과학관. 국립 과학관은 수도권 2개[서울과학관·과천과학관], 충청권 1개[중앙과학관], 호남권 1개[광주과학관], 대구경북권 1개[대구과학관]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시민과 함께 2005년부터 국립 과학관의 건립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여 2010년 국립 부산 과학관 건립을 성사시켜 2013년 5월 착공하였고, 2015년 12월 11일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부설 과학 전시관. 국립수산과학원 수산 과학관은 해양 수산 관련 과학 기술의 발전 과정과 미래상을 소개하여 청소년의 해양 수산에 대한 탐구심을 함양하고, 국민들에게 바다를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개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 수산 종합 과학관이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전시관을 건축하여 전시물을 설치하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르노삼성자동차 부산 공장 내에 있는 전시관.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생산된 자동차들의 특징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하면서 자동차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폭넓게 제공하기 위해 2001년 6월에 르노삼성 문화관으로 건립되었다. 개장한 후, 2006년 9월에 리뉴얼하면서 르노삼성자동차 갤러리로 명칭을 바꾸었다. 2011년 12월에 새로운...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부산광역시금련산청소년수련원 내에 설치된 천문대. 2000년대에 들어와 국가적으로 중요시하고 있는 과학 분야의 지원 확대와 관심도 증가에 따라 천문 우주 과학의 발전과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부산에 있는 아마추어 천문인들의 인프라 확대와 네트워크 형성, 청소년의 과학·창의 활동 공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1994년에 부산광역시금련산...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 부설 과학 전시관. 1986년에 과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산 학생 과학관을 건립하였다. 개관한 이후에 부산과학교육원[1990년~1998년], 부산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1999년~2003년],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2004년 이후]의 부설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 과학...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조선 세종 대 과학 기기를 복원·전시하고 있는 과학 체험장. 2009년 11월 4일 동래 출신의 조선 세종 대 과학자인 장영실(蔣英實)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장영실 과학 동산의 총면적은 1,177㎡이며, 장영실의 발명품을 포함하여 조선 시대 천문기기 복원품 18종 19점을 전시하고 있다. 장영실 과학 동산은 동래읍성 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