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27
한자 國立釜山科學館
영어의미역 Busan National Science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성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과학관
면적 11만 3107㎡[부지면적] 2만 3700㎡[건축 연면적]
전화 051-750-2300
홈페이지 국립 부산과학관(www.sciport.or.kr)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5년 12월 11일연표보기 - 개관
현 소재지 국립 부산과학관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산관광6로 59[기장읍 석산리 183-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위치한 국립 과학관.

[개설]

국립 과학관은 수도권 2개[서울과학관·과천과학관], 충청권 1개[중앙과학관], 호남권 1개[광주과학관], 대구경북권 1개[대구과학관]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시민과 함께 2005년부터 국립 과학관의 건립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여 2010년 국립 부산 과학관 건립을 성사시켜 2013년 5월 착공하였고, 2015년 12월 11일에 국립 부산 과학관을 개관하였다.

[건립 경위]

국립 부산 과학관은 전시체험 등을 통해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탐구심을 함양하고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2015년 12월에 개관하였다.

[변천]

2005년 3월 ‘과학 문화 도시-부산’ 선포식에서 시장이 국립 과학관의 건립을 과학기술부 부총리에게 건의했고, 2006년 1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2차 과학관 육성 기본 정책 방향 연구 용역[과학기술부] 결과, 인구 500만 명 당 국립 과학관 건립의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2010년 9월 국립 부산 과학관 건립 기본 계획이 수립[2010년 10월 14일 관보 고시]되었고, 2011년 6월 기획재정부와 부산광역시 간 운영비 분담 협약이 체결되었다. 2011년 12월 교육과학기술부와 부산광역시 간 건립 사업 업무 협약이 체결되었고, 2012년 1월부터 기본 및 실시 설계[전시 기본 설계 포함]를 진행하였다. 2012년 5월 공사 적격자를 선정했고, 7월 27일 설명회를 개최하여 2013년 5월 착공 했다. 2015년 6월에 준공하여 그해 12월 11일 개관하였다.

[구성]

국립 부산 과학관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석산리 183-1번지[동부산 관광 단지 내] 일대로, 부지 면적 11만 3107㎡[건축 연면적 2만 3700㎡] 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총사업비는 1,217억 원[국비 856억원, 시비 365억원]이 소요되었다.주요 시설로는 자동차·항공우주관, 선박관, 에너지·방사선의학관, 어린이관, 기획전시실, 천체 투영관, 캠프관 등이 있으며, 전시품은 28개의 주제로 총 180점이 있다. 전체 전시물 중 80% 이상은 기초과학 원리와 첨단기술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체험형 과학관으로 운영된다. 또한 국립 부산 과학관은 충청권에 위치한 국립 중앙과학관과 수도권의 국립 과천과학관, 대구경북권의 국립 대구과학관, 호남권의 국립 광주과학관과 함께 전국 5대 권역별 거점 과학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황]

동남권 과학 문화를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과학관을 목표로 하는 국립 부산 과학관은 고객 중심의 전시 환경 조성, 즐기며 배우는 선진형 교육 및 행사 운영, 경영 시스템 효율화 및 안정적 운영 기반 구축, 전시 역량 강화 및 융합 프로그램 확대를 꾀하고 있다. 2016년 현재 조직은 2본부 6실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연구본부에 전시기획실, 홍보마케팅실, 전시운영실, 교육연구실이 있고, 경영지원본부 아래 경영기획실과 운영지원실이 있다.

2015년 12월 개관과 함께 제1회 국립 부산 과학관장배 RC카 대회를 개최했으며, 맞춤형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국립 부산 과학관은 최고의 체험 전시물을 갖춘 명품과학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과학교육의 장, 놀이와 체험으로 과학을 배우고 익히는 과학테마파크로 지역의 역량과 자원을 한데 모아서 주민 참여형 지역거점 과학관을 거듭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