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70
한자 釜山科學技術協議會
영어공식명칭 Federation of Busan Science and Technology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209번길 26[전포동 68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과학 기술 지원 단체
설립자 부산광역시
전화 051-501-3124~3126
홈페이지 부산과학기술협의회(http://www.fobst.org/)
설립 시기/일시 2004년 3월 3일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부산과학기술협의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09번길 26[전포동 682]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과학기술협의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09번길 26[전포동 68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과학 문화 활동 단체.

[설립 목적]

부산과학기술협의회는 과학 기술에 대한 시민과 학생의 이해를 높이고, 과학 기술 진흥 및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하여 부산 및 동남권 지역을 동북아시아의 중심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2004년 3월 31일 발기인 92명으로 창립하였다. 2004년 6월 30일 사단 법인으로 등록[과학기술부]하였다. 2004년 12월 6일에 부산 기장군 기초 자치 단체 ‘과학 문화 도시’ 협약을 하였다. 2005년 3월 7일 광역 자치 단체로 유일하게 ‘과학 문화 도시-부산’ 협약 및 선포하였다. 2006년 5월~7월 동남권 국립 과학관 건립 100만명 서명 운동을 하였다.[114만 6522명] 2006년 7월 10일 부산지역 과학관발전협의회를 발족했다. 2006년 8월 10일 제1회 우장춘(禹長春) 박사 범시민 추모식을 개최하였다. 2012년 3월 부산광역시 교육청과 MOU 체결을 하여 궁리 마루 체험관을 설치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과학기술협의회는 생활 과학 교실 책임 운영 기관[2004년 한국과학문화재단], ‘부산 기장군 과학 문화 도시’ 사업 운영 기관[2004년 한국과학문화재단, 기장군], ‘과학 문화 도시-부산’ 운영 기관[2005년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교육청, 한국과학문화재단], 한국과학관협회 회원 기관[2007년 한국과학관협회], 원자력인력양성 및 지식확산협의회[2008년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앰배서더 부산·울산 분원[2009년 한국과학창의재단], 금요일에 과학 터치 운영 기관[2010년 한국연구재단] 등으로 지정되어 부산 지역의 과학 문화 사업을 총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부산과학기술협의회는 월 1회 포럼을 개최하고 있으며, 과학 문화 확산 사업[부산 과학 축제, 아동 화학관 운영, 생활 과학 교실, Fun&Fun 과학관 운영 등], 초·중·고·대학 과학 활동 지원 사업[부산 미래 과학자상 제정, 과학 동아리 지원, 수능 후 과학 강연 등], 과학 기술 정책 개발[부산 과학 발전 포럼 운영, 동북아 의료 허브-부산 마스터플랜 수립, 부산의 과학 기술상 제정], 전통 과학 대학 운영, 교육·출판 사업[사이언스 아카데미 운영, 『부산의 과학』 소책자 발행 등]을 전개하고 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유치[2004년], APEC기후센터 부산 유치[2005년], 동남권 국립과학관 건립 캠페인[2006년] 등도 부산과학기술협의회가 주도적으로 전개한 바 있다.

[현황]

부산과학기술협의회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교육청, 대학, 연구 기관, 기업, 정계, 언론계 등을 포괄하는 협의체로 운영되고 있다. 창립 당시 발기인은 92명이었으며, 2012년을 기준으로 530여 명의 회원이 가입되어 있다. 회원은 정회원과 당연직 회원, 그리고 CTO 회원으로 구분된다. 정회원은 부산과학기술협의회의 목적에 찬동하고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가입한 부산의 연구계, 교육계, 산업계, 기타 과학 기술 문화 창달과 관련된 기관과 단체원이며, 당연직 회원은 부산 과학 기술상 수상자, 심사 위원장이고, CTO 회원은 이공계 출신 또는 제조업을 경영하는 부산의 최고 기술 경영자 및 부산의 과학 기술 발전과 과학 꿈나무 육성에 기영한 공로가 큰 기업인이다. 조직은 단장 아래에 기장센터와 정책 기획팀, 전시 연구팀, 교육 연구팀, 과학 문화 해설사팀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과학기술협의회는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과학 기술 관련 협의체로서 중앙 정부의 사업과 지역의 과학 문화 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