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808
한자 田浦洞
영어의미역 Jeonpo-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면적 2.92㎢
가구수 24,919가구
인구(남, 여) 43,989명[남 20,701명|여 23,288명]
변천 시기/일시 1896년 - 부산부 부산진출장소 관할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부산부 관할에서 동래군 서면 전포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36년 - 부산부에 재편입되며 부산진출장소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에 부산시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부산진구 관할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부산진구 관할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으로 개편
법정동 전포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전포동(田浦洞)의 지명 유래는 산자락에 마을과 논밭이 있었는데 갯가에 위치하여 밭개라 하였고, 이를 한자로 표기해 전포리(田浦里)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에는 동래군 서면(西面)에 속하였고, 1896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14년 다시 동래군 서면 전포리로 되었다가, 1936년 부산부로 재편입되며 부산진출장소에 속하게 된다. 1949년 8월 부제(府制)가 폐지되며 부산시가 되었으며,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시행되어 부산진구 관할이 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어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동이 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전포동은 동쪽으로 황령산(荒嶺山)[423m]을 중심으로 산지가 발달해 있다. 산지의 서쪽 산기슭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서쪽으로 흘러 전포천의 상류를 이루며, 남서쪽으로 흘러 동천에 합류한다. 조선 시대에는 황령산 아래 동천 하구까지 배가 정박하였으나, 지금은 매립되어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소하천도 대부분 복개되어 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 전포 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2.92㎢이며, 인구는 2만 4,919가구에 총 4만 3,989명으로 남자가 2만 701명, 여자가 2만 3,288명이다. 법정동인 전포동은 행정동으로 전포 1동과 전포 2동으로 나누어져 있다. 남쪽에 전포 1동, 북쪽에 전포 2동이 있다. 서쪽으로는 부산 대표 도심 광장인 송상현 광장이 자리잡고 있다. 자연 마을로는 농막 마을, 돌산 마을, 밭개 마을, 오수골 마을, 부산 의용촌 마을이 있었다.

전포동부산진구의 동쪽에 위치해 서쪽은 부전동, 북쪽은 범전동·양정동, 남쪽은 범천동남구 문현동과 접해 있다. 주거지는 황령산 산기슭 완만한 비탈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포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평지는 대부분 상공업 지구로 이용된다. 교육 기관으로 동의공업대학이 있다. 황령산 기슭에는 레포츠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문화재로 지구의 생성 과정을 보여 주는 천연기념물 제267호 전포동 구상 반려암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5.05.08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2024.07.12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24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18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2.92㎢이며, 인구는 2만 3,342가구에 총 4만 3,276명으로 남자가 2만 540명, 여자가 2만 2,736명이다
2020.05.25 현행화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2.92㎢이며, 인구는 2만 1,320가구에 총 4만 16명으로 남자가 1만 8,951명, 여자가 2만 1,065명이다.
2019.04.29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14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