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787
한자 釜山鎭區
영어의미역 Busanjin-g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면적 29.67㎢
가구수 184,341가구
인구(남, 여) 363,394명[남 173,928명|여 189,466명]
변천 시기/일시 1936년 4월 1일 - 부산진출장소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49년 8월 - 부산시 부산진출장소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57년 1월 1일 - 부산시 부산진구 개설,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직할시로 승격하며 개편된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가 부산진구 관할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5년 10월 1일 - 대연출장소 남구로 분리
변천 시기/일시 1978년 2월 15일연표보기 - 북부출장소 북구로 승격
자치구 부산진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부산진구(釜山鎭區)의 지명은 조선 시대에 설치된 부산진성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현재 관련 지명인 부산진성, 부산진역, 부산진 시장동구에 위치한다.

[형성 및 변천]

부산진구가 속한 지역은 1409년(태종 9) 양주에 속하였다가, 1428년(세종 10)에는 동래현 속현인 동평현에 포함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동평면서면에 속하였다. 동평면에는 당감동(堂甘洞)가야동(伽倻洞)이 속하였고, 서면(西面)에는 초읍동(草邑洞)·연지동(蓮池洞)·전포동(田浦洞)·양정동(楊亭洞) 등이 속해 있었다.

1936년 4월 1일 부산부 행정 구역 확장으로 초읍리·연지리·범전리·부전리·양정리·전포리·부암리·당감리·가야리·개금리 전체와 지금의 남구 대연리·문현리·감만리·용당리·우암리·용호리 일부를 합하여 부산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46년 10월 1일 리를 동으로 개칭하였으며, 1949년 8월 부제(府制)가 폐지되며 부산시로 개칭되었고,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시행되어 부산진구가 되었다. 이때 범일 2·3·6·7동동구에 편입되었고, 대연출장소를 설치하여 대연동·용호동·용당동·감만동·우암동·남천동을 관할하였다.

1963년 부산직할시로 승격하며 동래군구포읍 7개 리를 편입하여 구포출장소로, 사상면 7개 리를 사상출장소로 개편하여 부산진구 관할에 편입하였다. 1975년 10월 1일 부산진구에 속한 대연출장소 8개 동과 문현 2동범천동(凡川洞)을 합하여 남구로 편입하였고, 1978년 2월 15일 북부출장소 관할 구역이 북구로 승격 분리되며 현재의 부산진구가 형성되었다.

[자연 환경]

부산진구는 북서쪽과 서쪽에 금정산 줄기가 북동에서 남서쪽으로 달리고 있어 비교적 높은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쪽은 황령산(荒嶺山)[427m] 줄기에 접해 있다. 백양산(白陽山)[642m, 동쪽 산기슭 아래에 선암사가 있어 선암산이라고도 함]에서 발원한 동천부전천과 전포천을 합류해 부산항으로 유입하면서 넓은 침식 평야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분지 지형을 이룬다.

부산진구의 서북쪽에 위치한 백양산금정 산맥의 주능선에 솟은 산이다. 백양산 산기슭에서 부산의 도심 하천인 동천이 발원한다. 전포동에 소재한 황령산은 부산의 전형적인 도심의 산으로 남구·수영구와 경계를 이룬다. 대부분 안삼암질로 구성되어 있고 산정이 비교적 평탄하며, 곳에 따라 소규모의 성채 경관을 나타내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다. 산정에는 조선 시대 봉수대가 복원되어 있다. 양정동에 소재한 화지산(和池山)[142m]은 금정산 지맥이 황령산으로 이어지다가 형성된 산지이다.

주요 고개와 계곡으로는 마비현성지곡이 있다. 마비현황령산화지산을 잇는 안부(鞍部)로 한글 지명은 모너머 고개이다. 과거에는 험한 고개인데다가 산적들이 나타나 고개를 넘을 때 마치 말을 타는 듯이 달렸다 하여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1471] 「동래 부산포 지도」에 ‘마비지이현(馬飛之以峴)’이라 기록되어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당감천과 부전천, 전포천 등이 있다. 당감천은 백양산 남동쪽 선암사 뒤편에 있는 백양 폭포와 옥두천에서 발원하여 당감동을 지나 동쪽으로 흐르다가 범천동에서 동천과 합류한다. 양정천은 화지산 남쪽 산기슭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동쪽으로 흘러 거제천 상류로 흘러드는 소하천이다. 전포천은 동천의 지류로 황령산마비현에서 발원하여 제일제당 앞에서 동천에 합류한다. 부전천은 성지곡 수원지에서 발원하여 동천으로 유입되는 지류로 중·하류는 대부분 복개되어 옛 모습을 찾을 수 없는 도심 하천이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면적은 29.67㎢이며, 인구는 18만 4,341가구에 총 36만 3,394명으로 남자가 17만 3,928명, 여자가 18만 9,466명이다. 법정동으로 부전동(釜田洞)·범전동(凡田洞)·연지동·초읍동·양정동·전포동·부암동(釜巖洞)·당감동·가야동·개금동(開琴洞)·범천동 등 11개 동이 있다. 구화(區花)는 국화로 끈기 있는 구민 정신을 나타내고, 구목(區木)은 은행나무로 안정과 희망을 상징하며, 구조(區鳥)는 까치로 희망을 상징한다. 모두 1989년에 지정되었다.

부산진구는 남으로 서구·동구·남구, 동으로 연제구, 서쪽으로 사상구와 접해 있다. 이 지역은 조선 시대에는 부산포와 동래를 잇는 중간 지점이었으며, 현재 역시 부산의 중간 지점으로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에 서면범천동 로터리를 중심으로 방사상 가로망이 형성되어 남북 교통로와 동서 교통로의 결절지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서면 로터리는 상업 및 업무 기능이 집중되어 금융 기관이 모여 있는 부산의 도심부이며, 주변은 서면 일번가·서면 테마 거리 등 상가와 부전 시장·서면 시장·평화 시장 등이 밀집한 부산 도매업의 중심지이다.

부산진구에는 경전선과 동해 남부선의 시·종착역인 부전역[1932년 서면 간이역으로 출발하여 1943년 개칭]이 있고, 범전동의 미군이 주둔했던 지역[하야리아 부대 터]은 부산 시민 공원으로 조성 중에 있다. 초읍동에는 어린이 대공원, 양정동의 동래 정묘에는 화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5.05.08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2022.11.22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18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29.67㎢이며, 인구는 17만 3,263가구에 총 36만 2,701명으로 남자가 17만 5,064명, 여자가 18만 7,637명이다
2020.05.25 현행화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29.67㎢이며, 인구는 16만 6,865가구에 총 36만 1,044명으로 남자가 17만 4,712명, 여자가 18만 6,323명이다.
2019.04.29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14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