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10 |
---|---|
한자 | 草邑洞 |
영어의미역 | Choeup-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5.91㎢ |
가구수 | 10,282가구 |
인구(남, 여) | 21,823명[남 10,509명|여 11,314명] |
변천 시기/일시 | 1936년 4월 1일 - 부산부 부산진출장소 관할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8월 -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1월 1일 - 부산시 부산진구 관할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9년 - 연지동과 초읍동을 병합하여 성지동으로 통합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성지동을 연지동과 초읍동으로 분동하여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초읍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초읍동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으로 개편 |
법정동 | 초읍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초읍동(草邑洞)은 과거 새로운 터전, 새로운 자리라는 의미로 새터라 불렸다. 이는 동평현의 치소가 왜구의 빈번한 침략으로 피폐하자 이전하면서 새터로 불렀던 데서 유래한다. ‘새’는 갈대를 의미하는 ‘초(草)’로 읽고, 터는 ‘읍(邑)’으로 표기하여 비롯된 것으로 알려진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에는 동래부 서면 초읍리였으며, 1936년 4월 1일 부산부 행정 구역 확장으로 부산진출장소로 이관되었다. 1949년 8월 부제(府制)가 폐지되며 부산시로 개칭되었고,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시행되어 부산진구가 되었다. 1959년 행정적으로 연지동과 초읍동을 병합하여 행정동 성지동이 되었다가, 1963년 부산직할시로 승격하며 성지동을 다시 행정동 연지동과 초읍동으로 분동하였고, 1995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초읍동은 북쪽에 있는 백양산[642m]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지가 동쪽으로 화지산, 서쪽으로 언덕산으로 이어지면서 에워싸고 있는 분지 지형이다.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성지곡을 지나 부전천으로 유입한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 초읍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5.91㎢이며, 인구는 10,282가구에 총 2만 1,823명으로 남자가 10,509명, 여자가 1만 1,314명이다. 초읍동은 부산진구의 북서쪽에 위치해 북서쪽으로 북구, 동쪽으로 동래구와 연제구, 서쪽으로 부암동, 동남쪽으로 연지동·양정동과 접한다. 북서쪽의 산지와 접한 구릉지에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1909년 완공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상수도원의 수원지인 성지곡[신라 시대 성지(聖知)라는 풍수가가 자신의 이름을 이용하여 명명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함]이 있다. 또한 어린이 대공원과 상류에 삼림욕장이 조성되어 있어 시민들이 많이 찾고 있다. 행정동으로는 초읍동과 연지동의 일부이며, 자연 마을은 초읍리 마을과 원당골이 있었으나 현재는 도시화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5.09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12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8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5.91㎢이며, 인구는 10,109가구에 총 2만 2,533명으로 남자가 1만 914명, 여자가 1만 1,619명이다 |
2020.05.25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5.91㎢이며, 인구는 9,160가구에 총 2만 690명으로 남자가 1만 27명, 여자가 1만 663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