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778 |
---|---|
영어의미역 | Batgae Village |
이칭/별칭 | 밭채 마을,전포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밭개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표용수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전포천이 흐르는 갯가에 위치한 황령산(荒領山) 서쪽 비탈면은 논밭[田畓]이 많다 하여 밭개라고 하였다. 밭개 부근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밭개 마을, 또는 밭채 마을이라고도 불렀다.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 전포(田浦) 마을이다.
[형성 및 변천]
밭개 마을의 형성 시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마을이 속한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전포리(田浦里)는 서면에 속해 있고, 관문(官門)에서 11리[약 4.32㎞] 거리에 위치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서면 전포동에, 1936년 4월 부산부 부산진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49년 전포동이 전포 1동·전포 2동으로 분동되었고, 1957년 구제(區制)가 시행되면서 부산시 부산진구에 속하였다. 1970년 인구 증가로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 1동을 전포 1동·전포 3동으로 분동, 1975년 전포 2동을 전포 2동·전포 4동으로 분동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자연 환경]
밭개 마을은 동쪽으로 황령산(荒嶺山)[427.6m]이 있으며, 마을은 황령산 아래 산자락에 위치하였다. 화지산 서쪽 비탈면에서 발원한 전포천이 마을을 지나 남동쪽에서 동천과 합류하였다. 산지의 비탈면과 하천 변으로는 논밭이 넓게 발달하였다.
[현황]
밭개 마을이 있던 지역은 도시화로 옛 마을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2012년 현재 전포 1동 주민센터, 전포 3동 주민센터, 전포동우체국, 전포 종합 사회 복지관, 경남공업고등학교, 도시 철도 2호선 전포역, 부산은행 전포동지점 등이 있다. 또한 마을 앞을 전포로(田浦路)가 지나고, 전포로 아래에는 도시 철도 2호선이 지나고 있다. 마을 뒤쪽으로는 동성로(東成路) 지나고 있어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