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 과학 기술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69
한자 釜山科學技術賞
영어의미역 Award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 Busan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제도/상훈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999[연산5동 100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2002년 4월연표보기 - 제정
주관 단체 부산과학기술협의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09번길 26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의 우수한 과학 기술자에게 수여하는 상.

[제정 경위 및 목적]

부산광역시와 국제신문이 공동으로 상금 1,000만 원씩을 마련해 2002년 4월에 부산 과학 기술상을 제정하였다. 부산 시민들이 자랑스럽게 ‘부산의 과학자’라고 내세울 수 있는 과학 기술자를 발굴하여 시상함으로써 과학 기술 인력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변천]

부산 과학 기술상은 2002~2004년에 과학상과 공학상으로 시작한 후 2005~2009년에는 과학상과 공학상에 바이오 의약상이 추가되었다. 2010년부터는 짝수 연도에는 과학상, 홀수 연도에는 공학상으로 나누어 격년제로 시상하고 있다.

[시상 부문]

‘과학상’, ‘공학상’ 등으로 구분하여 격년제로 시상한다. 2011년 공학상, 2012년 과학상이다. 과학상은 물리, 화학, 지구 과학, 생명 과학 등 자연 과학 분야, 생명 공학, 의학·약학 등 바이오 의약(bio medical) 분야를 가리킨다. 공학상은 고분자, 나노 반도체 공학 등 공업 분야의 노동 생산력과 생산품 성능을 향상·발전시키기 위해서 활용되는 응용과학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을 가리킨다.

[역대 수상자]

- 2002년: 홍덕기[부산대학교, 물리] 백점기[부산대학교, 조선 공학]

- 2003년: 현명호[부산대학교, 화학] 김광호[부산대학교, 재료 공학]

- 2004년: 임선희[동아대학교, 생물] 정해도[부산대학교, 기계 공학]

- 2005년: 백인성[부경대학교, 지질] 전호환[부산대학교, 조선 공학], 정세영[부산대학교, 나노 공학], 정영기[동아대학교, 생명 공학]

- 2006년: 김동수[부경대학교, 어류], 신병철[동의대학교, 나노 공학], 이준현[부산대학교, 기계 공학]

- 2007년: 심윤보[부산대학교, 화학] 박대원[부산대학교, 응용 화학 공학], 박건영[부산대학교, 식품 영양학], 유영현[동아대학교, 의학]

- 2008년: 장익수[부산대학교, 물리학], 진성호[부산대학교, 화학 교육], 김영한[동아대학교, 화학 공학]

- 2009년: 이재욱[동아대학교, 화학] 조영래[부산대학교, 재료 공학], 신정욱[인제대학교, 의용 공학]

- 2010년: 김충락[부산대학교, 통계학], 서홍석[부산대학교, 화학], 정중현[부경대학교, 물리학], 최영현[동의대학교, 한의학]

- 2011년: 김일[부산대학교, 고분자 공학], 안진우[경성대학교, 메카트로닉스 공학], 임권택[부경대학교, 이미지 시스템 공학], 장지호[한국해양대학교, 나노 반도체 공학]

- 2012년: 김치대[부산대학교, 의학 전문 대학원], 유인권[부산대학교, 물리학과], 정종수[동아대학교, 수학과], 하경자[부산대학교, 대기 환경 과학과]

[현황]

부산 과학 기술상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기관[대학교, 연구소 등]에 소속된 과학 기술인 3인 이상이 후보자 1명을 추천하고, 그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 및 기업 연구소, 정부 출연 연구소, 기타 과학 기술 관련 기관 소속의 연구자이거나, 실제 연구 개발이 진행되는 분교, 분사, 분원 등의 소재지가 부산광역시인 연구자로서 공고일 현재 1년 이상 부산 지역[김해, 양산 포함]에 거주하며 연구 개발 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자이다. 상금은 각 1천만 원이며, 훈격은 부산과학기술협의회 공동 이사장상이다.

[의의와 평가]

지방 자치 단체로서는 최초로 부산이 과학 기술상을 제정했으며, 그 후에 경상남도[2004년], 울산시[2006년] 등지에서도 잇따라 과학 기술상이 마련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