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395
한자 釜慶大學校水産科學硏究所
영어공식명칭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이칭/별칭 수산과학연구소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광로 474[동백리 261-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성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대학 부설 연구소
설립자 수산대학교
전화 051-726-1003~1006
홈페이지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http://susan.pknu.ac.kr)
설립 시기/일시 1965년 12월 30일연표보기 - 해운대 임해연구소 설립
이전 시기/일시 2011년 1월 27일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66년 10월 1일연표보기 - 해운대 임해연구소에서 부산수산대학 부설 임해연구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4년 2월연표보기 - 부산수산대학 부설 임해연구소에서 부산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6년 7월연표보기 - 부산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에서 부경대학교 부설 수산과학연구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1년 10월 13일연표보기 - 부경대학교 부설 수산과학연구소에서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7월 9일 - 임해연구소 설치 준비 위원회 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1년 4월 7일 - 부산수산대학 부설 임해연구소 설치 공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2월 24일 - “부산수산대학에 해양과학연구소 및 탐사선을 둔다.”로 개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6월 1일 - 생물 분야[해양 생물학] 기초 과학 특성화 연구소로 지정[문교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11월 2일 - 베네수엘라 오리엔테 대학과 자매결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2월 28일 - 소련과학원 해양지질연구소와 자매결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6월 -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Institute of Ocean Sciences에 현지 Lab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8월 - 부산광역시 기장군 동백리에 신축 연구소 완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9월 1일 -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대학 중점 연구소로 선정
최초 설립지 부산수산대학 부설 임해연구소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수산대학교 캠퍼스 내
현 소재지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광로 474[동백리 261-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에 있는 수산 과학 특성화 연구 기관.

[설립 목적]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는 수산 양식 어업 자원의 관리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63년 7월 9일 임해연구소 설치 준비 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1965년 12월 30일 해운대 임해연구소 준공식을 거행하였다. 1966년 10월 1일 「국립대학 설치령」[제3장 19조 5항]에 의하여 부산수산대학 부설 임해연구소로 개소하였다. 1971년 4월 7일 부산수산대학 부설 임해연구소 설치가 공포되었다[대통령령 제5589호]. 1988년 2월 24일 「국립학교 설치령」에 “부산수산대학에 해양과학연구소 및 탐사선을 둔다.”라고 개정하였다[대통령령 제12047호 「국립학교 설치령」 중 개정령 제21조 1항의 9].

1988년 6월 1일 생물 분야[해양 생물학] 기초 과학 특성화 연구소로 지정되었다(문교부). 1988년 11월 2일 베네수엘라 오리엔테 대학과, 1991년 2월 28일 소련 과학원 해양지질연구소와 각각 자매결연을 하였다. 1994년 2월 부산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로[대통령령 제12179호], 1996년 7월 부경대학교 부설 수산과학연구소로 각각 개편되었다.

1997년 6월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Institute of Ocean Sciences에 현지 실험실[Lab]을 설치하였다. 2009년 8월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에 신축 연구소를 완공하고, 2011년 1월 27일 신축 연구소로 이전하였다. 2011년 10월 13일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를 개소하였으며, 2012년 9월 1일 대학 중점 연구소로 선정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는 연구 활동과 교육 활동을 주로 한다. 연구 활동은 수산 양식 및 환경 기술, 어업 자원의 관리, 수산 가공 기술 및 유통, 수해양 생명 공학, 수해양 정책, 기타의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교육 활동으로는 임해 실습과 외부인 연구, 어린이 수산 과학 교실, 세미나 등을 운용하고 있다.

수산 과학의 종합 연구소로 부경대학교 전체 단과 대학 교수가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업 자원 및 생산에 관한 종합 기초 연구와 해양 생태, 기능성 수산 식품의 개발, 해양 바이오 등 해양 조사 연구, 그리고 수산·해양 산업의 정책 수립 연구와 교육·홍보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 산·학·연 협동 과정을 개설하여 어업인과 수산 전문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 교육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산학 협동 대학원 과정의 개설·운영 등의 수산 사회 교육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수산자원연구센터, 해조류연구센터, 피쉬웰빙센터, 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해양생물기능성물질은행, 생선회연구센터 등의 전문 연구 센터를 설립함과 동시에, 설립 목적에 맞는 목표 설정 및 구체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세계 정상의 수산과학연구소를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발전 목표로는 연구 기능의 첨단화 및 특성화, 수산 과학 전문 인력 양성, 자립형·독립형 연구소 등으로 잡고 있다.

추진 전략으로는 수산 과학의 종합적·체계적인 연구 체계 구축, 산학 관련의 협동 연구 체제를 구축하여 지역 발전 촉진, 국제적 연구 활동을 통한 선진화된 연구 체제 강화, 수산 과학 기술의 국가 잠재력 확충 등으로 설정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2013년 현재, 소장 아래 운영위원회, 산학관연협력위원회가 있으며, 연구부, 대외협력부, 행정실, 부속 시설 등으로 나뉜다. 연구부 아래 연구과제관리실, 연구조정실이 있으며, 대외협력부 아래 산학연합동실, 국제협력실, 북한수산연구실 등이 있다.

부경대학교 교수 60명, 전임 연구 교수 2명, 전임 연구원 7명, 연구 지원 4명 등이 종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1979년부터 2008년까지 어업 양식 분야, 가공 식품 분야, 자원 환경 분야, 수산 기술 정보 분야, 생명 공학 분야 등에 걸려 총 32권의 연구 성과 논문집을 발간하였고, 수산 도서 총서 시리즈도 8권 발간하였다. 대학 중점 연구소로 지정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활발한 특성화된 연구 활동과 연구 성과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