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16
한자 冬柏里
영어의미역 Dongbaek-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동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리
면적 2.21㎢
가구수 247가구
인구(남, 여) 507명[남 250명|여 257명]
개설 시기/일시 1895년 - 기장군 동면 동백동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일광면 동백리가 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통합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가 됨
법정리 동백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동백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에 있는 법정리.

[명칭 유래]

동백(冬柏)이라는 이름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서 확인되는 동백포(冬栢浦)에 인접해서 붙여진 지명이라고도 하고, 이곳에 있던 동백정[옛날에 송씨와 남씨가 정착하여 마을 입구에 세웠다는 정자]에서 비롯되었다고도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동백리(冬柏里)는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서는 기장현 동면 청광리에 속하였으며, 1895년(고종 32) 동래부(東萊府) 기장군 동면 동백동이 되었다가 1914년 동래군으로 귀속되며 일광면 동백리가 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면서 양산군 일광면에 속하였다가,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로 편입되면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일광면의 동쪽 중앙에 위치하여 북으로는 신평리, 남으로는 이천리, 서로는 청광리와 접한다. 서쪽에는 월음산[425m]에서 뻗은 저산성 산지가 분포하며, 동쪽은 동해안과 접해 있다. 서쪽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동백천을 이루어 바다로 유입된다. 하천이 바다로 유입되는 유역에 평지가 발달하여 농경지와 주거지로 이용된다. 해안에는 소규모의 사빈 해안이 발달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2.21㎢이며, 인구는 231가구에 총 452명으로 남자가 219명, 여자가 233명이다. 동백리는 법정리와 행정리가 일치한다. 동쪽에는 동백항과 동백 방파제, 물양장이 축조되어 있다. 동백항은 지방 어항으로 지정 관리되며, 시설 관리자는 기장군수이다. 남쪽의 저산성 산지는 대부분 골프장으로 개발되어 있으며, 동쪽 해안을 따라 일광로가 있다. 동남쪽에는 부경대학교 수산해양과학연구단지가 있으며, 자연 마을로 동백 마을온정 마을이 있다. 마을을 둘러싼 거물산(巨勿山)은 조선 시대에 조선용 목재를 조달하는 봉산(封山)[나라에서 나무 베는 것을 금지하던 산]이었다. 수산 관련 연구소 입지가 예정되어 있고, 생태 공원이 주변에 들어서면서 많은 지역 변화가 예상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1.23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4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인구는 248가구에 총 508명으로 남자가 246명, 여자가 262명이다
2020.07.09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인구는 194가구에 총 345명으로 남자가 166명, 여자가 179명이다. 동백리는 법정리와 행정리가 일치한다. 동백항은 지방 어항으로 지정 관리되며, 시설 관리자는 기장군수이다.
2019.05.09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