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550 |
---|---|
한자 | 日光邑 |
영어의미역 | Ilgwang-eup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속하는 법정읍.
[명칭 유래]
일광읍(日光邑)의 명칭은 기장읍과의 경계를 이루는 일광산에서 비롯되었다. 일광산의 아침 햇살을 가장 먼저 받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일광읍 지역은 좌천리 고분군 100기 등이 존재해 선사 시대부터의 오랜 거주 역사를 알 수 있다. 현재의 일광면 지역은 조선 전기 기장현에 속하였다가, 1599년(선조 32) 기장현이 폐지되며 동래현 동면과 울산군 중북면이 되었다. 1617년(광해군 9) 동래현 동면이 기장현으로 환속되고, 1681년(숙종 7) 울산군에 중북면이 다시 기장현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동래부(東萊府) 기장군의 동면과 중북면이 되었다가, 1914년 기장군이 폐지되면서 동면의 이천동·이동동·조전동·후동·학리동·청광동·동백동·화전동·횡계동·용천동 10개 동과 중북면의 문동동·문중동·칠암동·신평동·원동 5개 동을 합쳐 동래군 일광면이 되었다. 이때 조전동과 후동을 합해 삼성리로 개편하였다. 1973년 동래군이 양산군에 병합되면서 양산군 일광면에 속하였다가,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東部出張所)가 설치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로 편입되면서 기장군이 다시 설치되어 일광면이 되었다. 2022년 일광읍으로 승격되었다.
[자연 환경]
일광읍은 동쪽으로 동해에 연해 있고, 서부는 100m 이하의 구릉 지대로 달음산[586m]·천마산(天馬山)·아홉산[360m]·일광산 등이 있다. 서쪽의 산지 계곡에서 흘러내린 지류들이 동쪽으로 유입하며 면의 중앙부를 북쪽에서 동남쪽으로 흐르는 일광천에 합류해 동해로 흘러든다. 일광천 및 소하천 유역에는 소규모 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동남쪽 해안가에는 일광 해수욕장이 있으며, 기포 마을에서는 양질의 검은 바둑돌이 생산된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35.77㎢이며, 인구는 1만 2,758가구에 총 29,676명으로 남자가 14,607명, 여자가 15,069명이다. 일광읍은 기장군의 동쪽 끝 중앙에 위치한다. 서쪽은 철마면, 북쪽은 정관읍과 장안읍, 남쪽은 기장읍에 접한다.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 제한 구역에 속해 있으며, 논농사와 더불어 임야가 70% 이상을 차지해 구릉지를 중심으로 한 축산업도 이루어진다. 동쪽 해안과 하천 연안을 따라 어획과 양식업 등의 어업이 발달해 있다. 교통은 면의 동쪽에 남북으로 거제~울산 간 국도 제14호선과 동해 남부선이 통과하며, 동쪽 해변을 따라서 송정~덕하 간 지방도 제1019호선이 통과한다.
삼성리(三聖里)의 일광 해수욕장과 동백리(冬栢里)의 동백 해안은 관광 명승지로 관광 및 피서객이 많이 찾는다. 삼성리·학리(鶴里)·이천리(伊川里)·동백리·신평리(新平里)·칠암리(七巖里)·문중리(文中里)·문동리(文東里)·원리(院里)·청광리(靑光里)·화전리(花田里)·용천리(龍川里)·횡계리(橫溪里) 등 13개 법정리가 있다. 면 소재지는 삼성리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2.11.16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4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35.77㎢이며, 인구는 9,576가구에 총 22,549명으로 남자가 11,245명, 여자가 11,304명이다 |
2020.07.09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35.8㎢이며, 인구는 4,381가구에 총 8,668명으로 남자가 4,448명, 여자가 4,220명이다 |
2019.05.0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