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527 |
---|---|
한자 | 龍川里 |
영어의미역 | Yongcheon-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용천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성격 | 법정리 |
---|---|
면적 | 12.18㎢ |
가구수 | 189가구 |
인구(남, 여) | 309명[남 165명|여 144명] |
개설 시기/일시 | 1789년 - 기장현 동면 용천리 |
변천 시기/일시 | 1895년 - 기장현 동면 용천리에서 기장군 동면 용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기장군이 폐군되면서 동래군 일광면 용천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3년 - 동래군 일광면 용천리에서 양산군 일광면 용천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양산군 일광면 용천리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로 개편 |
법정리 | 용천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용천리(龍川里)의 옛 이름은 취정동(鷲井洞)이다. 이는 이곳을 흐르는 취정천(鷲井川)[일광천 상류 부분의 명칭]에서 비롯되었다. 용천은 취정천의 옛 이름인 미리내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미리내를 한자로 표기하면 미리 용(龍), 내 천(川)이 되어 붙여진 지명이라고 전하는 바가 있고, 다음으로는 그 근처에서 가장 큰 강을 의미하는 큰 내 또는 으뜸 내를 의미하는 머리내[頭川]가 발음이 비슷한 미리내[龍川]로 표기되어 전해진 것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용천리는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동면 용천리로 나타난다. 1895년 기장군 동면 용천동이 되었다가, 1914년 기장군이 폐지되면서 동래군 일광면 용천리가 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양산군에 병합되면서 양산군 일광면에 속하였다가,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자연 환경]
용천리는 북쪽에 달음산[588m]과 월음산[425m], 북서쪽에 함박산[458m]과 천마산[417m], 서쪽에 아홉산[360m]이 있어 이들 산지가 북서쪽을 에워싸고 있다. 이 산기슭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모여 용천 소류지를 이루면서 동쪽으로 흐른다. 하천이 형성한 산간 분지에 평지가 발달하였고, 일광천 상류의 계곡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2.17㎢이며, 인구는 187가구에 총 323명으로 남자가 171명, 여자가 152명이다. 법정리인 용천리에는 행정리인 산수곡, 회룡, 대리, 상곡이 있다. 용천리는 일광읍의 서쪽에 위치해 북으로는 정관읍 달산리, 서로는 철마면 웅천리와 연구리, 남으로는 기장읍 만화리, 동으로는 원리·청광리·화전리·횡계리와 접한다. 남쪽에 철마면 이곡 마을로 이어지는 구실재가 있었으나, 현재는 국도 제21호선이 연결하고 있다. 자연 마을로는 대리 마을, 산수곡 마을, 상곡 마을, 회룡 마을이 있다.
대리 마을은 용천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대부분 논농사를 생업으로 하고 있다. 산수곡 마을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동래부 전투 때 순절한 이청춘(李靑春)을 초혼하여 안장한 묘역이 있다. 상곡 마을은 용천리의 상류 계곡에 있는 마을로 전원주택이 들어서 있다. 법정리인 용천리는 행정리로는 산수곡·대리·회룡·상곡으로 나누어져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2.11.17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4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2.18㎢이며, 인구는 169가구에 총 299명으로 남자가 166명, 여자가 133명이다 |
2020.07.09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2.18㎢이며, 인구는 194가구에 총 341명으로 남자가 194명, 여자가 147명이다 |
2019.05.0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