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85
한자 資源-
영어의미역 Resource Energy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상목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생활 폐기물의 소각 처리 및 소각열의 에너지 자원화 시설.

[개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소각장[Incineration Plant]은 단순히 쓰레기를 태워서 감량하고 폐열 등을 회수하지 않는다. 반면, 자원 에너지 센터는 생활 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소각 처리하고 소각열을 회수하여 자원화 하는 시설로 쓰레기 반입, 쓰레기 소각, 폐열 보일러, 열 공급, 대기 오염 방지 시설[오염 물질 제거 시설] 등 여러 공정을 거쳐 법정 기준 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굴뚝을 통하여 오염 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상태는 환경부에서 굴뚝 자동 측정 시스템[TMS, Tele-Monitoring System]을 통하여 24시간 상시 감시하고 있고, 전광판 및 부산환경공단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다.

다이옥신(Dioxin) 등의 대기 오염 물질 저감을 위하여 쓰레기를 균질화 및 균일화하여 쓰레기 연소 과정에서의 다이옥신류 생성을 억제하는 등 대기 오염 방지 시설을 통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대기 오염 방지 시설은 자원 에너지 센터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기 집진 장치, 습식 세정 장치, 백 필터(bag filter)[여과 집진 장치], 촉매탑[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법, 질소 산화물 저감 설비] 등의 첨단 방지 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부산환경공단 다대사업소[다대자원에너지센터], 부산환경공단 명지사업소[명지자원에너지센터], 부산환경공단 정관사업소[정관자원에너지센터],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해운대자원에너지센터]가 있다. 이들 자원 에너지 센터는 「폐기물 처리 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22조[주민 지원 기금에 의한 주변 영향 지역의 지원] 규정에 의거 주변 영향 지역 주민의 소득 향상 및 복리 증진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부산환경공단 다대사업소[다대자원에너지센터]]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3년 8월 31일 착공하고 1995년 8월 30일 준공하여 운영을 개시하였다. 부지 면적은 1만 1,402㎡[소각장 9,029㎡, 수영장 2,022㎡, 공원 351㎡]이다. 소각장의 처리 용량은 160톤/일이며 부지 면적 9,029㎡, 건축 면적 6,073㎡[지하 2층, 지상 6층]이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서구, 중구 전역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쓰레기를 소각한다. 소각 폐열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 생산과 함께 인근 아파트에 난방 열원을 공급한다.

[부산환경공단 명지사업소[명지자원에너지센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8년 2월 부지 조성 후 2003년 10월에 준공하여 운영을 개시하였다. 부지 면적은 2만 8779㎡이고 건물 면적은 1만 7912㎡이다. 소각장의 처리 용량은 340톤/일[170톤/일×2기]이다. 부산광역시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남구, 북구, 강서구, 사상구 등 7개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쓰레기를 소각한다. 소각 폐열을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에 열원을 무상 공급하며 인근 삼성전기, 르노삼성, 녹산염색사업협동조합 등의 사업체에 증기를 판매한다.

[부산환경공단 정관사업소[정관자원에너지센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에 위치하고 있다. 2006년 10월 30일 소각 처리장을 착공하고 2008년 9월 30일 준공하여 운영을 개시하였다. 처리 용량은 50톤/일이며 처리 형식은 유동상식(流動床式)[fluidized bed: 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 소각로에 연속적으로 투입, 고열의 모래가 이를 소각하는 방식]이다. 부지 면적은 1만 3406㎡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정관 신도시, 정관 일반 산업 단지 포함]의 생활 폐기물과 정관 일반 산업 단지 배출 시설계 폐기물[폐섬유, 폐지, 폐목재, 폐소각재 등]을 처리한다.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해운대자원에너지센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4년 6월 소각장 및 하수 처리장으로 설립하여, 1996년 9월 소각 시설 1호기를 준공하고, 1997년 6월 소각 시설 2호기를 준공하여 운영하고 있다. 소각 처리 시설의 처리 용량은 340톤/일[2기]이며 처리 공법은 연속 연소식 스토카형이다. 부산광역시 6개 구, 군[해운대구, 기장군, 수영구,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의 가연성 쓰레기를 소각한다. 쓰레기 소각 후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연간 1만 8738㎿h전력을 생산한다. 1만 7000㎿h는 자체 시설 가동에 사용하고 1,378㎿h는 한국전력거래소에 판매하여 매년 13억 원의 전력비 절감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전력 생산 후 폐열은 지역난방으로 보내어 해운대 신시가지 아파트에 공급하는 등 부산 지역 온실 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