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0682 |
---|---|
한자 | 釜山地方氣像廳 |
영어의미역 | Busan Region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237번길 117[명륜동 577] |
시대 | 근대/개항기,현대/현대 |
집필자 | 송성수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기상청 소속 기관.
[설립 목적]
부산지방기상청은 부산·경상남도·경상북도 지역의 기상을 체계적으로 관측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04년 3월 일본기상대 임시측우소 부산측후소로 발족되어, 1905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부산시 중구 대청동에 위치한 부산측후소의 현재 건물은 1934년 1월 지상 4층 규모로 개축했다. 1939년 7월 조선총독부 기상대 부산측우소가 되어 일제 패전 시까지 유지되었다.
정부 수립 후 1948년 8월 국립중앙기상대 부산측우소로 개칭하였다가, 1970년 직제가 변경되어 소속 기관인 대구, 울산, 진주 등지가 부산측우소에 소속되었다. 이때 지금의 소속 기상대인 상주 또는 거창 등지가 각각 대구, 진주의 분실로 있어 함께 이전되었다. 1992년 부산지방기상청으로 승격하였다. 2002년 부산지방기상청은 옛 동래세무서 자리인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으로 이전하였다. 기존 건물은 부산지방기상청 대청동 기상관측소가 되었고,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1호[2001년 10월 17일 지정]로 지정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을 비롯한 영남 지방의 기후 관측, 기상 정보 통신, 예보, 해양 기상, 연구 개발, 기상 정보 서비스를 하고 있다. 영남 지방의 기후와 그 변화를 관측하며, 기상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기상대·관측소↔부산지방기상청↔본청으로 초고속 기상 정보 통신망을 구성하여 실시간 자료를 수집 처리 분배하고, 수집된 기상 자료를 통하여 국지 예보를 생산하고 집중 호우, 돌풍 등의 위험 기상을 실시간으로 알리고 감시하고 있다.
부산지방기상청은 경상남북도 지역의 국지 예보 기술 개발을 위하여 국립기상연구소 등 유관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예보 기술 개발을 위한 각종 발표회와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국지 예보 기술 및 새로운 기상 관련 지식의 활발한 공유를 위하여 매년 예·특보 관련 기상 기술집 및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그리고 기상 업무 발전과 기상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위하여 1998년 이후 경상남북도 지방의 5개 대학과 학·관 협약을 체결하고 과학 기술 인력 양성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절강성 기상국과 양해 각서를 체결[1998년]하고, 매년 예보 기술, 기후 분야, 레이더 운영 등 상호 관심 분야에 대해 대표단 방문과 전문가 교류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세계 기상 통신망과 연결되어 세계 기상 자료를 교환하고 있다. 해양 기상 관측을 위하여 해양 기상 관측선인 기상 1호와 부이 2개소, 등표 2개소, 파고계 1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부산지방기상청은 지역 기후 정보 서비스를 하고 있다. 지역의 기후 변화 대응과 정책 결정,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 최소화를 위하여 ‘지역 기후 변화 정보’와 다음 달의 기상 특성, 기상재해 유형 정보 등을 제공하는 ‘로컬 기상재해 정보’를 생산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그리고 기상 민원 서비스를 하고 있다. 산업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날씨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어 기상 자료는 건축, 토목,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과거의 기상 자료에 대해 기상 현상 증명 및 자료 제공 서비스를 하고 있다. 또 기상청은 131 일기 예보 안내 전화와 연계하여 131 기상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황]
부산지방기상청에는 기획 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가 있다. 그 산하에 대구기상지청, 안동기상대, 울산기상대, 창원기상대가 있다. 관할 지역은 부산·경상남도·경상북도 일대가 포함된다.
[의의와 평가]
부산을 비롯한 영남 일대의 기상 관측과 예보를 통하여 시민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