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62
한자 金曜日-科學-
영어의미역 Science Touch on Friday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행사/행사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209번길 26[전포동 68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행사시기/일시 매주 금요일
전화 051-501-6342
홈페이지 금요일에 과학 터치(http://www.sciencetouch.net)
시작 시기/일시 2007년 5월 11일연표보기 - 시작
행사 장소 궁리 마루[부산과학기술협의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09번길 26[전포동 682]지도보기
주관 단체 부산과학기술협의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09번길 26[전포동 68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의 궁리 마루에서 매주 금요일 개최되는 과학 대중 강연.

[연원 및 개최 경위]

금요일에 과학 터치는 국민의 세금으로 수행되는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 21세기 프론티어 연구 개발 사업, 원천 기술 개발 사업, 국가 지정 연구실 사업, 우수 연구 센터 사업의 연구 결과를 국민들에게 되돌려 주기 위해서 연구 과제 책임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과학 지식 나눔의 장이다.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며 최신 연구 성과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고 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2006년 12월에 과학 터치 태스크포스가 구성되었고, 서울[2007년 2월 23일], 부산[2007년 5월 11일], 대전[2007년 5월 18일], 광주[2007년 10월 19일], 대구[2009년 1월 9일]의 순서로 금요일에 과학 터치가 시작되었다.

[현황]

부산에서는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30분부터 2시간 동안 부산과학기술협의회가 운영하는 궁리 마루에서 금요일에 과학 터치가 실시되고 있다. 구성은 도입 강연과 본 강연으로 진행되며 국가 연구 개발 사업 연구원들이 하나의 주제에 대해 강의한다. 2013년 강연 일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월 4일 김성만[경성대학교]이 빛을 이용한 무선 통신, 1월 11일 신성우[한양대학교]가 지속 가능 건축·도시, 1월 18일 김진곤[포항공과대학교]이 고분자를 조립하여 만드는 신기능 나노 물질, 1월 25일 최영현[동의대학교]이 암세포 자살시키기를 강의한다. 2월 1일 최원용[포항공과대학교]이 태양 에너지의 화학적 전환 응용 연구, 2월 15일 유영현[동아대학교]이 세포 발전소와 세포 죽음, 2월 22일 정해영[부산대학교]이 노화의 비밀과 건강 장수를 강의한다.

3월 8일 손명현[연세대학교]이 천식에 걸리면 왜 숨이 찰까요?, 3월 15일 유청종[포항공과대학교]이 X-선 레이저, 3월 22일 이상준[포항공과대학교]이 생명 유지의 비밀: 생체 유동 현상, 3월 29일 강건욱[서울대학교]이 약? 독? 약물의 이해를 강의한다. 4월 5일 박일흥[성균관대학교]이 우주의 끝을 찾아서, 4월 12일 이주운[한국원자력연구원]이 방사선과 미래 식품, 4월 19일 배성한[한국과학기술원]이 우리 주변의 수학, 4월 26일 정택동[서울대학교]이 전기 화학의 르네상스를 강의한다.

5월 3일 한정호[충북대학교]가 외계 행성을 찾아서, 5월 10일 한동욱[건국대학교]이 21세기 연금술: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5월 24일 천정희[서울대학교]가 미래 암호 기술: 수학으로 만드는 사이버 세상의 질서, 5월 31일 박건식[서울대학교]이 T-ray를 이용한 의료 영상 연구를 강의한다. 6월 14일 박재훈[포항공과대학교]이 밝은 빛 방사광을 이용한 물질 연구, 6월 21일 곽종영[동아대학교]이 세포 간 네트워크 측정 나노 기술, 6월 28일 김재호[부산대학교]가 내 몸 안에 줄기세포를 강의한다.

7월 5일 김상국[서울대학교]이 스핀을 이용한 정보 소자, 7월 12일 민도식[부산대학교]이 염증이 뭐길래?, 7월 19일 노용영[한밭대학교]이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미래와 전망, 7월 26일 권일근[경희대학교]이 생체 조직 재생 의학의 공학적 접근을 강의한다. 8월 9일 김준[고려대학교]이 미생물과 우리 몸, 8월 16일 이후종[포항공과대학교]이 겉과 속이 다른 물질-위상 부도체, 8월 23일 김정수[부경대학교]가 심해 우주로의 여행, 8월 30일 신재국[인제대학교]이 맞춤 약물 치료-21세기 첨단 의료 기술의 이해를 강의한다.

9월 6일 전호환[부산대학교]이 석유 해저 채굴 공학과 과학, 9월 13일 최희철[포항공과대학교]이 탄소 나노 구조체의 화학적 조작 및 미래 기술 응용, 9월 27일 정재준[부산대학교]이 에너지와 원자력을 강의한다. 10월 11일 문한섭[부산대학교]이 느린 빛, 빠른 빛, 정지한 빛, 10월 18일 신동민[연세대학교]이 사람 몸에서 칼슘은 무슨 일을 하는가?, 10월 25일 장익수[부산대학교]가 물리학자의 눈으로 본 단백질 엉김과 치매를 강의한다.

11월 1일 정헌택[울산대학교]이 내 몸 속에 가스가, 11월 8일 한진[인제대학교]이 뛰어놀자, 신나게!, 11월 15일 황인규[서울대학교]가 대화를 통한 세균의 사회생활, 11월 22일 이지오[한국과학기술원]가 단백질 이야기, 11월 29일 오세종[부산대학교]이 지구 온난화와 항공기 개발, 12월 6일 양영[숙명여자대학교]이 스트레스와 질병, 12월 13일 윤홍덕[서울대학교]이 에너지와 종양 줄기세포를 강의한다.

[참고문헌]
  • 금요일에 과학 터치(http://www.sciencetouch.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