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0687 |
---|---|
한자 | 釜山科學技術協議會生活科學敎室 |
영어의미역 | Daily Science Class at the Foundation for Busan Science and Technology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209번길 26[전포동 68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성수 |
[정의]
부산광역시의 주민 자치 센터를 중심으로 열리는 과학 문화 프로그램
[연원 및 개최 경위]
생활 과학 교실은 2003년 9월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3동사무소에서 최초로 개설되었으며, 2004년부터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부산 지역의 경우에는 2004년 9월 6일에 권양숙 대통령 영부인과 오명 과학기술부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부산특별시 사상구 학장동 생활 과학 교실 개소식이 열렸다.
21세기 과학 기술 시대에 부응하는 국가적 프로젝트인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과 부산광역시 역점 사업인 ‘과학 문화 도시-부산’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민들 모두가 쉽게 과학 기술에 접근하여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국가적 프로그램 및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지역의 청소년과 주민들의 과학 문화에 대한 인식 고취, 과학의 생활화, 주민 밀착형 과학 프로그램 운영으로 과학 꿈나무를 육성하고 주민의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만들었다.
[행사 내용]
부산 지역의 주민 자치 센터 생활 과학 교실 70개소에서 1,500여 명이 수강하고 있다. 교육 기간은 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과정이며 6개월 단위로 접수한다. 교육 내용은 교실별 연 40회 체험 수업을 한다. 기초 과학 및 수학, 녹색 성장, 과학 드라마 등 창의 체험 프로그램 38개, 야외 특별 프로그램 2회[2월 KTX 타고 대전 과학 캠프, 8월 가족 천체 캠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사진은 원활한 실험 실습수업 진행 및 학생 지도 효율성을 위해 2인 1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 강사는 이공계 석사급 및 박사급 전임 강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강의]와 보조 강사 과학 문화 해설사[실험 지도 보조 및 학생 관리 등]로 되어 있다.
[현황]
부산 지역의 생활 과학 교실은 부산과학기술협의회의 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4년 5개소에서 시작해 2013년에는 70여 개소로 확대되었다. 다음은 2013년도 생활 과학 교실 운영 현황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