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980 |
---|---|
한자 | 韓國銀行釜山本部 |
영어공식명칭 | The Bank of Korea, Busan Branch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25[문현동 123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수진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한국은행 소속 지역 본부.
[설립 목적]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부산 지역에서 효율적인 통화 신용 정책의 수립과 진행을 통해 물가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1950년 6월 12일 부산시 중구 대청동 1가 44번지에 한국은행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1950년 8월 22일부터 1953년 8월 8일까지 6·25 전쟁으로 2회에 걸쳐 본부를 수용하였다. 1964년 9월 1일 대지 3,471㎡[1,050평], 건물 면적 6,185㎡[1,871평] 규모의 은행 건물을 신축하였다. 1969년 1월 27일 총무과, 업무과, 출납과 등 ‘과’ 제도를 도입하였다. 1975년 7월 1일 마산지점이 개점함에 따라 관할 지역이 부산직할시, 경상남도 전역에서 부산직할시, 경상남도 일부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1977년 4월 1일 외환관리과가 신설되었다. 1980년 5월 27일 울산지점 개점으로 인하여 관할 지역이 부산직할시, 김해군, 양산군, 밀양군 등으로 축소되었다. 1983년 1월 10일 여수신 업무 및 국고 업무의 온라인이 가동되었다. 1986년 6월 26일 은행감독실, 1987년 2월 3일 기획조사과, 1988년 3월 5일 화폐정사과가 각각 신설되었다. 1991년 7월 1일 관할 지역 중 밀양군을 마산지점으로 이관하였다.
1991년 9월 12일 미발행 화폐 임치 보관점을 설치하였다[동래구, 사상구]. 1996년 3월 11일 외환업무과를 폐지하였다. 1997년 9월 1일 사상분실을 폐쇄하였다. 1998년 4월 1일 은행감독실이 신설 은행감독원으로 귀속됨에 따라 지점 조직에서 은행감독실이 분리되었다. 1998년 5월 14일 업무과와 출납과가 업무과로 통합되었다. 1999년 5월 17일 발권과를 신설하고 화폐정사과를 화폐관리과로 개칭하였다. 1999년 7월 1일 동래분실을 폐쇄하였다.
2002년 1월 10일 한국은행 부산지점에서 한국은행 부산본부로 개칭하였다. 2002년 5월 22일 ‘과’ 조직을 ‘팀’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2003년 4월 2일 기획조사팀을 기획조사실로 확대 개편하고 기획조사실 내에 기획홍보팀과 경제조사팀을 신설하였다. 2010년 3월 2일 업무팀과 발권팀을 업무팀으로 통합하였다. 2011년 3월 4일 기획조사실을 기획조사부로 개칭하였다. 2013년 7월 22일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으로 신축 이전하고 ‘화폐 전시관’을 신설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중소기업 자금 지원, 지역 경제 조사 연구, 화폐의 발행·환수 및 경제 교육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를 관할 구역으로 한다. 기획조사부에서는 지역 경제 및 금융에 관한 각종 통계를 작성하고 조사 연구 활동을 수행하는 한편, 지역 사회에 금융 경제 정보를 제공한다.
업무팀에서는 은행을 통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정부를 대신하여 국가의 돈을 관리하는 한편, 환전 영업자 관리 및 기업의 외국 기업과의 거래를 지원하고,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화폐를 발행하거나 환수함으로써 실물 경제 활동에 필요한 적정 규모의 화폐를 공급한다. 화폐관리팀에서는 은행을 통하여 환수된 화폐를 사용 화폐와 손상 화폐로 구분하여 손상 화폐를 폐기한다. 총무팀에서는 부산본부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지원하는 총무 업무를 수행한다.
[현황]
한국은행 부산본부의 조직은 총무팀, 기획조사부[기획홍보팀, 경제조사팀], 업무팀, 회폐관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9월 기준 65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대지 면적 8,118㎡, 연면적 9,988㎡의 규모이다.
[의의와 평가]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지역 경제 현안에 관한 조사 연구 강화를 통하여 부산 지역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지역 내 행사 및 사회봉사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또한 본부 내 자원봉사 단체 활동, 매월 무료 급식 봉사 활동, 사회 복지 시설 지원, 독거노인 및 장애인 등 지원, 소외 계층 대상 경제 교육 활동 등의 사회 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