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629
한자 釜山施設公團
영어공식명칭 Busan InfraStructure Corporation
이칭/별칭 BISCO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174[연지동 340-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세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지방 공기업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851-7500
홈페이지 부산시설공단(http://www.bisco.or.kr)
설립 시기/일시 1992년 2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주차관리공단으로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98년 1월 20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서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주차관리공단에서 부산광역시 주차관리공단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8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주차관리공단에서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0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부산시설공단으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2015년 5월 4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부산진구 연지동으로 이전
최초 설립지 부산직할시 주차관리공단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 20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000 시청 청사 25층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시설공단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시설공단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174[연지동 340-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공공 시설물 관리 공기업.

[설립 목적]

부산시설공단은 「부산시설공단 설치 조례」[조례 제4633호]에 의거, 공공의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시민의 복리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92년 2월 1일 부산직할시 주차관리공단으로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에서 설립되었다.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주차관리공단으로 변경하였고, 1998년 1월 1일 확대·개편[어린이 대공원, 금강 공원, 태종대 유원지, 터널 청소 업무 인수]과 함께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으로 변경하였다. 1998년 1월 20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하였고, 2010년 1월 1일 부산시설공단[BISCO: Busan InfraStructure Corporation]으로 변경하였다. 2015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으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내의 주요 공원 및 유원지, 도로와 교량 시설, 문화·체육 시설, 공영 주차장과 자갈치 시장, 지하도 상가 등 도시의 주요 기반 시설물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 또는 그 외 공공 단체가 위탁하는 사업과 부산광역시의회의 의결을 거쳐 부산광역시장이 정하는 시설물에 대한 관리 사업, 그리고 이상의 모든 시설의 청소 및 부대사업 등도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8년 현재 이사장[김영수] 아래, 청렴감사실, 안전기술실, 경영본부, 운영본부 등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으며 600여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관리하고 있는 시설은 공원·유원지[중앙 공원, 어린이 대공원, 금강 공원, 태종대 유원지, 용두산 공원, 부산시민공원], 교통 시설[광안대로, 남항 대교, 도시 고속 도로, 터널·지하 차도, 공영 주차장], 상가 시설[자갈치 시장, 지하도 상가], 장사 시설[영락 공원, 추모 공원], 체육 시설[한마음 스포츠 센터] 등이며 2005년 1월 1일 스포츠단으로 제일화재팀을 인수하여 발족한 부산시설공단 핸드볼팀을 운영하고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1.15 지역 및 현황 업데이트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174(연지동) [현황] 전체 업데이트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