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342 |
---|---|
한자 | 釜山港埠頭管理 |
영어공식명칭 | Busan Port Pier Management Corp.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로 122[중앙동 6가 8] 연안 여객 터미널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연정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6가에 있는 부두 관리 업체.
[설립 목적]
부산항부두관리(釜山港埠頭管理)는 부산항 공용 부두의 수출입 화물, 부산항 여객 터미널 등 항만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와 항만 운영 관련 사업을 수행하여 부산 지역의 항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69년 5월 부산항부두관리협회가 창설되었다. 2002년 2월 부산항부두관리협회에서 부산항부두관리공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8년 1월 정부의 경영 혁신 추진 계획에 따라 항만 경비 보안 업무를 부산항보안공사로 이관하였다. 2009년 6월 30일 부산항부두관리공사를 폐지하고, 7월 1일 부산항부두관리 주식회사로 새롭게 발족하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항부두관리는 제1 부두, 제2 부두, 5 물량장, 관공선 부두, 제8 부두, 용호 부두, 감천 2 부두, 감천 6 부두, 감천 7 부두 등 부산항 공용 부두 수출입 화물을 관리한다. 국제 여객 터미널과 연안 여객 터미널, 국제 크루즈 여객 터미널 등의 부산항 여객 터미널을 관리 운영하고 있다. 또한 부산 신항 지원 건물·배후 물류 시설 관리와 부산 신항 철송장 인력 운영,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시설물 청소 용역, 북항 우암 철도 청원선 관리, 감만 시민 부두 관리, 부산 신항 셔틀버스 운영 위탁 관리 등 부산항만 내 시설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항부두관리는 감사, 경영지원실, 전략팀·국제터미널관리팀·연안터미널관리팀·크루즈터미널관리팀·화물관리팀·시설관리팀의 6개의 관리 팀과 신항사업소와 총무부·재무회계부·기획부·전략부·1부두관리부·철도청원선관리부·관리부의 총 7개의 부로 편제되어 있다. 자회사로 부산항 3개의 여객 터미널의 환경 미화 업무를 담당하는 클린포트가 있으며, 출자 회사로 신항 배후 물류 시설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산 신항LMS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항부두관리는 부산항부두관리협회로 출범한 이후 40여 년간 부산항 수출입 화물 관리 및 경비 보안 업무를 수행하여 부산항만 발전에 기여해 왔다. 부산항부두관리공사에서 부산항부두관리로 민영화한 이후에 부산항부두관리가 부산항 여객 터미널 3곳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인건비가 증가하고 터미널 운영에 다소 혼란이 야기되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