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58
한자 埠頭
영어의미역 Wharf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혜영

[정의]

선박이 접안하여 여객과 화물이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부산광역시의 항만 시설.

[개설]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항구로서, 국내외 해상 운송과 육상 운송을 연결하는 여러 부두가 있다. 부두는 선박이 육지에 접안하여 여객 및 화물을 싣고 내리는 시설을 갖춘 구역으로, 안벽과 잔교 등의 선박 계류 시설과 화물 하역 시설, 화물 조작 처리 시설, 화물 보관 창고 등의 보관 시설, 야적장, 임항 교통 시설, 화물 유통 판매 시설 등의 항만 시설을 필요로 한다. 부두의 규모는 항만을 이용할 화물이나 여객의 종류와 수, 하역 형태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용도에 따라서 전용 부두, 잡화 부두, 전문 부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전문 부두에는 석탄이나 유류, 광석, 곡물, 여객, 컨테이너 부두가 있다. 부산항은 2012년 현재 물동량 기준 세계 5위의 컨테이너 항만으로서, 컨테이너 부두는 해상 컨테이너 수송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시설이다.

[컨테이너 부두]

1978년 컨테이너 부두인 자성대 부두가 개장하였다. 이어 부산항 3단계 개발 사업에 따라 1991년 6월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되었으며, 1998년 5월에는 부산항 제4단계 개발 사업에 의거하여 감만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되었다.

부산항의 컨테이너 부두는 자성대[한국허치슨], 신선대[대한통운], 감만[SBTC, BGCT], 신감만[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 우암[우암터미널], 신항 1-1[부산신항국제터미널], 신항 1-2[부산신항만], 신항 2-1[한진해운신항만], 신항 2-2 터미널[현대부산신항만], 신항 2-3 터미널[비엔씨티] 등 총 10개의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 선석 규모가 가장 큰 터미널은 신항 1-1, 신항 1-2 터미널의 부산 신항 1단계 부두 5만 톤급 9척으로 부산신항만이 운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신항 2-1, 신항 2-2 터미널의 부산 신항 2단계 부두 5만 톤급 4척, 2만 톤급 4척으로 한진해운과 현대부산이 운영하고 있다. 신항 컨테이너 부두 다음으로 규모가 큰 것은 북항 신선대 부두로 5만 톤급 5척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한통운이 주요 운영사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TOC 부두]

TOC[Terminal Operation Company, 부두 운영 회사] 부두는 부두 운영 회사 제도에 따라 운영되는 부두를 일컫는 것으로서, 단위 부두별로 선석과 하역 시설, 보관 시설 등을 민간에 임대하여 전용으로 사용하게 하는, 항만 민영화의 한 형태이다. 2013년 3월 기준 부산의 TOC 부두로는 북항 제7 부두, 감천 중앙 부두, 신항 다목적 부두 등 3 부두가 있다.

북항 제7 부두는 인터지스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1만 5000톤급 1선, 1만 톤급 1선, 5,000톤급 2선이 접안 가능하다. 감천 중앙 부두는 동진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3만 톤급 2선, 5,000톤급 1선, 1,000톤급 1선이 접안할 수 있으며 TOC 부두 중에서 가장 선석 규모가 크다. 신항 다목적 부두는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세방기업과 동부건설]에 의해 운영되고, 2만 톤급 2척이 접안 가능하다. 2000년 1월부터 감천 중앙 부두의 화물 관리권이 부두관리협회에서 부두 운영 회사로 이관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일반 부두]

북항의 일반 부두로는 연안 여객 부두, 국제 여객 부두, 크루즈 부두, 제1 부두, 제2 부두, 관공선 부두, 양곡 부두, 제8 부두, 연합 부두, 동명 부두, 용호 부두가 있다. 북항 일반 부두는 컨테이너선 이외의 잡화 등을 취급하는 일반 화물선이 화물을 하역하는 부두이나 부산항의 물동량 증가로 인한 시설 부족으로 일반 부두 역시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하였다. 부산 신항 건설 이후, 일반 부두의 컨테이너 화물 처리량은 감소하였다. 연안 여객 부두와 국제 여객 부두는 1978년에 개장하였으며, 공용 부두이다. 국제 여객 부두의 경우, 여객과 컨테이너 화물을 주로 취급하였다. 국제 크루즈 부두는 여객을 위해 설립된 부두로서 2007년에 개시하였다. 제1 부두와 제2 부두는 각각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1912년, 1927년에 건설되었으며 컨테이너 및 잡화를 취급하였다.

부산광역시 중구와 동구 일대의 연안 및 국제 여객 부두와 제1·2 부두는 신항 건설에 따라 기존의 노후화된 재래 부두를 국제 해양 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북항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북항 양곡 부두는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위치한 제4 부두로서, 고려사일로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제8 부두는 군용 부두로 사용되었던 8 부두의 관리 운영권이 부산항만공사로 이관됨에 따라 85, 86번 선석 시설 개선 공사를 마무리한 이후, 소형 화물선 3척을 수용하는 공용 부두로 용도를 전용하였다. 현재 8 부두는 컨테이너 및 잡화를 취급하는 공용 부두이자 국방부 관할의 군수품을 취급하는 부두이다. 연합 부두는 철재를 취급하는 부두이며, 동명 부두는 유류 및 모래를 취급하고 있다. 1990년 운영 개시한 용호 부두는 위험물과 냉동 어획물을 취급하는 공용 부두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감천항 일반 부두부산항의 화물 수요 증가에 따라 북항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1979년 정부와 민간이 공동 투자하여 다목적 항만으로서 개발되었다. 감천항 일반 부두에는 감천 제1 부두~감천 제7 부두, 관공선 부두, 다대 부두가 있다. 감천 제1 부두는 잡화 및 어획물을 취급하고, 감천 제2 부두는 시멘트와 철재, 골재 및 모래, 잡화, 어획물 등을 취급한다. 감천 제3 부두는 냉동 어획물과 철재, 잡화 등을 취급하며, 감천 제4 부두는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으로 부산감천항수산물시장 외 2개사가 운영하고 있다. 감천 제5·6·7 부두 역시 고철과 철재, 시멘트, 어획물, 잡화 등을 취급하는 부두이며, 다대 부두는 잡화를 처리하고 수리 선박들이 대기하는 부두이다.

[신항]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 적체 현상을 해결하고, 동북아 국제 물류 중심 항만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1995년에서 2020년까지 16조 6823억 원을 들여 부산 신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2010년까지 신항 1~4 부두를 건설하여 18선석을 확보했으며, 2011년에서 2015년까지 남컨 2~3단계와 다목적 부두 및 일반 부두 건설로 7선석을 확보하고자 한다.

신항 건설에 따라 항만 기능이 저하된 북항을 친수 공간 및 국제 해양 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2007년에서 2020년까지 북항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북항 1~4 부두 및 중앙 부두, 여객 부두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선박의 안전성 확보 및 감천항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2011년에서 2015년까지 감천항 일반 부두 재정비 사업을 추진하여 부두 운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7.08.18 [컨테이너 부두] 일부 수정 1978년 우리나라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인 자성대 부두가 개장하였다. ->1978년 컨테이너 부두인 자성대 부두가 개장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