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69 |
---|---|
한자 | 釜山港中央埠頭 |
영어의미역 | Busan Harbor: The central wharf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이연정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부두.
[건립 경위]
1876년 개항 이후에 일제가 전쟁 수행 및 대륙 침략을 목적으로 시행한 부산 제3기 축항 공사를 통해 부산항 중앙 부두(釜山港中央埠頭)가 건설되었다. 1906년 부두 축조 공사를 시작하였다. 1936년 1월부터 1945년 8월까지 조선총독부가 주관한 부산 제3기 축항 공사를 통해 해면 약 71만 743㎡를 매립하고, 부산항 제3 부두·부산항 제4 부두, 북방파제와 함께 부산항 중앙 부두를 축조하였다.
[변천]
8·15 광복 이후에 부산항 제2단계 개발 사업을 시행하여 노후화된 부산항 제3 부두·부산항 제4 부두 및 부산항 중앙 부두를 개수하였다. 부산항 제2단계 개발 사업 부산항 중앙 부두 개수 공사는 부산항 제3 부두 공사와 함께 미륭건설에 의해 1981년 8월 13일에 착공하여, 1983년 2월 8일에 준공하였다. 부산항 중앙 부두는 1944년에 건설된 이후에 장기 사용에 따라 시설이 노후화되어 개수 공사를 통해 기존 시설을 철거하고, 총공사비 26억 2700만 원으로 안벽 646m를 개수하고 부두부지 4만 8690㎡를 전면 재포장하여 8,000톤급 선박 4척이 접안할 수 있고 연간 70억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춘 현대식 부두로 개축하였다. 이외에 7동의 운영 건물을 건설하였다.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되는 북항 재개발 사업 부지에 포함되어 2010년 1월 20일에 부지 조성 공사가 착공되었다.
[구성]
부산항 중앙 부두의 총면적은 5만 1976㎡, 안벽 길이는 646m이다. 1만 톤급 선박 3척이 동시 접안 가능하며, 잡화 73만 6000톤, 컨테이너 18만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s, 20ft 컨테이너 박스 1개를 나타내는 단위]의 하역이 가능하였다.
[현황]
부산항 중앙 부두는 부산항 제1 부두~부산항 제4 부두, 부산 국제 여객 부두·부산 연안 여객 부두와 함께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에 따라 부산 북항을 시민 친수 공간 및 국제 해양 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고 있다. 부산항 중앙 부두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북항 재개발 사업 제1단계 개발 대상지로 신항 다목적 부두를 건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