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88
한자 北港再開發
영어의미역 Redevelopment of Bukhang
분야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항만 재개발 사업
관련인물/단체 부산광역시|부산항만공사
발생|시작 시기/일시 2005년 12월 1일연표보기 - 부산항[북항] 재개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시행
발단 시기/일시 2004년 12월 1일 - 재래 부두 재개발 연구 용역 시행
전개 시기/일시 2007년 4월 1일 - 「항만 및 그 주변 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
전개 시기/일시 2007년 10월 4일 - 제1차[2007~2016] 항만 재개발 기본 계획 고시
전개 시기/일시 2008년 5월 19일 - 사업 계획 수립 및 사업 구역 지정 고시
전개 시기/일시 2008년 12월 29일 - 재개발 사업[1-1단계] 공사 착수
전개 시기/일시 2009년 2월 23일 - 1-1단계 외곽 시설 축조 공사 착공[정부]
전개 시기/일시 2011년 1월 31일 - 1-2단계 부지 조성 공사 착공[BPA]
전개 시기/일시 2011년 5월 30일 - 건설 사업 관리 착수
전개 시기/일시 2011년 8월 3일 - 1-2단계 접안 시설 및 연결 잔교 축조 공사 착공[정부]
전개 시기/일시 2012년 5월 25일 - 부산항[북항] 재개발 사업 실시 계획[변경] 승인
전개 시기/일시 2012년 6월 20일 - 부산시 도시디자인위원회 심의 조건부 승인
전개 시기/일시 2012년 8월 29일 - 도시 계획 시설[항만] 사업 실시 계획 인가 고시
전개 시기/일시 2012년 10월 16일 - 건축 허가[부산광역시 동구청]
전개 시기/일시 2012년 10월 26일 - 부산항 국제 여객 터미널 건립 공사 수정 계약 체결 및 기공식
전개 시기/일시 2015년 1월 16일 - 부산항 국제 여객 터미널 준공
발생|시작 장소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종결 장소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정의]

부산 시민들에게 친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산항[북항]을 재개발하는 사업.

[개설]

북항 재개발 사업은 부산항 재래 부두를 국제 해양 관광 거점이자 친환경 워터프런트(waterfront)[도시의 해안가, 부둣가]로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프로젝트이다. 부산광역시 중구와 동구 일대[연안 및 국제 여객 부두, 중앙, 1~4부두 일원] 152만 7247㎡[46만 2000평]를 중심으로 1단계 사업[2008~2016년]을 추진하고 있으며 5, 6부두 일원을 중심으로 2단계 사업[2016~2019년 이후]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 기간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예정되어 있다. 해당 사업 시행자는 부산항만공사이며, 총 사업비는 8조 5190억 원[기반 시설 2조 390억 원, 상부 시설 6조 4800억 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역사적 배경]

부산항은 입지적으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하고 있으며, 한국의 동·남해안 관광 벨트의 중심축에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해양 항만의 거점지이다. 부산항 주변에 남포동, 광복동, 자갈치 시장 등 상업 지구가 발달되어 있으며, 2020년 부산시 도시 기본 계획에 상업 용지로 반영되어 있어 개발 잠재력이 우수한 지역이다.

북항 재개발 사업을 통하여 부산 신항만 개장과 관련한 부산항 항만 기능을 재편하고, 태평양과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국제적인 관문 도시로서 위상을 정립할 계획이다. 또한 부산 시민들에게 친수 공간 제공 및 세계적인 워터프런트를 조성하여 국제 해양 관광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부산항과 주변 지역을 연계 개발하여 부산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부산 재창조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 북항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경과]

북항 재개발은 2004년 재래 부두 재개발 연구 용역 사업을 기점으로, 2006년 북항 마스터플랜의 수립과 시민 설명회 등을 거쳐 2007년 6월 관련 법령인 「항만 및 그 주변 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7년 10월 제1차 항만 재개발 기본 기획 계획이 고시되었으며, 2007년 11월 부산항만공사를 사업 시행자로 선정하였다. 2008년 5월 북항 재개발 사업 계획을 고시하고, 같은 해 11월 북항 재개발 사업[1-1 단계] 실시 계획에 대해 승인 및 고시하였다. 2009년 2월 1-1 단계 외곽 호안 축조 공사를 착공하였으며, 2011년 1월에는 1-2 단계 부지 조성 공사[국제 여객 터미널 건립 부지]를 착공하였다.

부산항 국제 여객 터미널 건립 사업은 북항 재개발 사업의 핵심 시설 건립 사업으로서 부지 조성 공사와 여객 터미널 건립 사업으로 나누어 추진되고 있다. 부지 조성 공사는 2011년 1월 31일부터 2014년 10월 11일까지 시행되었고, 공사비는 297억 4000만 원이 소요되었다. 시공사는 현대건설과 협성건업사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부산항 국제 여객 터미널 건립 공사는 2012년 10월 착공하여 2015년 1월에 준공하였다. 북항의 3·4부두 일대에 총사업비 2343억 원을 들여 연면적 9만3000㎡에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되었다. 국제여객터미널동[7만8802㎡]과 게이트·경비초소[815㎡], 갱웨이[8669㎡], 보세 화물창고[3045㎡], 면세품 인도장[2600㎡] 등을 갖추고 있다. 10만 톤급 크루즈선박이 접안하는 1선석을 비롯해 2만 톤급 국제여객선 5선석, 500 톤급 8선석 등 부두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2020년 이전의 북항 재개발 사업은 친수형 복합 기능을 개발하고 친수 공간의 확보 및 국제 해양 관광 거점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며, 2020년 이후 2단계[자성대 부두] 사업은 성장 위주의 상업형 개발, 국제 상업과 국제 교류 및 업무의 조성, 동천과 연계한 워터프런트 조성을 기본 추진 방향으로 한다. 2013년 2월 기준으로 국제 여객 터미널 건설 공사 진척 및 달성률은 94.25%이며, 전체 계획의 8.35%, 전체 실적의 7.87% 정도가 이루어졌다.

[의의와 평가]

북항 재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경우, 국제적인 해양 관광·문화 도시로의 거점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 도시 기능과 항만 기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새로운 개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침체된 부산 원도심 상권의 기능을 회복하여 막대한 경제적 유발 효과를 거두어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참고문헌]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http://bpainfo.smartpmis.com)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