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391 |
---|---|
한자 | 地域革新- |
영어의미역 | Regional Renovation Center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준현 |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대학교와 기업 간의 기술 혁신을 위한 산학 협력 기관.
[개설]
1994년 2월 교육부는 지역 협력 연구 센터 육성 계획에 따라 지역 협력 연구 센터[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설립을 추진하였다. 1995년 12월 통상산업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술 하부 구조 확충 5개년 계획에 따라 지역 기술 혁신 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을 추진하였다. 2005년 7월 지역 혁신 센터 사업 요령 개정에 따라 지역 기술 혁신 센터 사업과 지역 협력 연구 센터 사업을 연계 및 통합하여 2006년 11월 지역 혁신 센터[RIC, Regional Innovation Center] 사업으로 전환하였다.
전국 102개 센터 중에 부산광역시에는 동의대학교의 블루바이오 소재개발 및 실용화지원 지역혁신센터와 전자세라믹 지역혁신센터, 동아대학교의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와 신소형재 가공청정 공정개발 지역혁신센터, 동서대학교의 유비쿼터스 어플라이언스 지역혁신센터와 첨단아케이드게임 지역혁신센터 등 6개의 지역 혁신 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블루바이오 소재개발 및 실용화지원 지역혁신센터]
블루바이오 소재개발 및 실용화지원 지역혁신센터[동의대학교]는 부산광역시의 바이오산업을 고부가가치 블루 바이오산업[해양 생명 과학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산바이오기업협회의 정기 간행물 발간 사업의 공동 발행 기관인 부산BT지원기관협의회를 주관하고 있으며 제품의 홍보와 연구 개발 기술 소개, 수출 기업의 마케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참여 기업과 협력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하고 있으며, 제품 홍보나 전시용 공간 제공과 기업의 애로 사항 상담 등의 종합적인 서비스 지원도 하고 있다.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동아대학교]는 국내에서 유일한 밸브 전문 기술 연구 기관으로서, 산업용 밸브는 물론 고기능성 밸브[초저온, 고온, 고압, 마이크로 밸브 등]의 설계, 해석 등의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인정기구[KOLAS] 국제 공인 인증 시험 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며, 조선, 철강, 기계 산업이 발달한 부산광역시의 입지 조건과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밸브 시장을 고려하여 부산 지역을 세계적인 밸브 생산 기지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밸브 관련 각종 시험 검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연구 개발을 통한 제품 개발 관련 기술 지원 및 전문 인력 양성 지원, 산업 동향 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도 하고 있다.
[전자세라믹 지역혁신센터]
전자세라믹 지역혁신센터[동의대학교]는 부산 지역의 특성화 산업에 반도체 공정 기술을 접목시켜 고급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여 수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인적·물적 협력 체제의 구축과 함께 사업 추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첨단 고가 기자재를 바탕으로 성장, 가공, 분석의 전 과정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소형재 가공청정 공정개발 지역혁신센터]
신소형재 가공청정 공정개발 지역혁신센터[동아대학교]는 2002년 7월 설립되어 부산·경상남도 지역의 전통 사업인 기계, 부품 소재 관련 산업 기업체들을 지원하였다. 2006년 5월 지역 혁신 센터로 사업을 전환하였다. 소형재(素形材) 관련 제조업체를 지원하기 위하여 신뢰성 분석 지원 장비, 시제품 제작 장비, 설계 해석 지원 장비 등을 구축하고 있으며, 신소형재 기술 박람회를 개최하여 수요자와 공급자 간 기술 상거래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술 지원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여 효과적이고 집중적인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최첨단 고가 장비를 이용하여 저렴하고 신속하게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신소형재 회원사 제도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업체들을 지원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어플라이언스 지역혁신센터]
유비쿼터스 어플라이언스 지역혁신센터[동서대학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신기술 적용 지원 및 산학 연관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시행하여 가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비접촉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생활에서 응용 및 적용 가능한 지원 시스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 홈 분야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RFID Tag 제작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용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값싼 RFID Tag의 신속한 제공 및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첨단아케이드게임 지역혁신센터]
첨단아케이드게임 지역혁신센터[동서대학교]는 영상, IT[Information Technology], 기계 부품 산업을 기반으로 하여 아케이드 게임 글로벌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역 산업 활성화에서 더 나아가 아케이드 게임의 글로벌 전문 인력 양성과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기술 개발 및 스타 기업 육성 사업, 국제 게임 기기 인증 사업,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활동과 각종 기능성 게임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게임과 교육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