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66 |
---|---|
한자 | 地域協力硏究-事業 |
영어의미역 | Project for Regional Cooperative Studies Center[RRC]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호범 |
제정 시기/일시 | 2000년 1월 21일 - 지역 기술 혁신 센터 사업 설치 운영 요령 |
---|---|
개정 시기/일시 | 2002년 9월 5일 - 지역 기술 혁신 센터 사업 설치 운영 요령 |
개정 시기/일시 | 2005년 5월 20일 - 지역 기술 혁신 센터 사업 운영 요령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4년 2월 - 지역 협력 연구 센터 육성 계획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5년 12월 - 기술 하부 구조 확충 5개년 계획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3월 - 지역협력연구센터와 지역기술혁신센터를 지역혁신센터로 전환 |
관할 지역 | 지역 협력 연구 센터 사업 - 부산광역시 |
[정의]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 연구 센터 설치 및 연구 지원 사업.
[개설]
부산광역시에 있는 대학의 연구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의 과학 기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연구 센터의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제정 경위 및 목적]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 중에서 부산 지역 중점 육성 분야와 부합되면서 연구 개발 자원을 잘 조직한 연구 센터를 선정하여 장기적인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를 통해 부산 지역 산업 및 경제 발전을 위한 과학 기술 수요를 해결하는 핵심적인 연구 조직으로 육성하여 지역 발전과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지역 기술 혁신 센터 사업 운영 요령」[산업자원부 고시 제2005-56호, 2005. 5. 20, 일부 개정]이 있다.
[내용]
서울을 제외한 각 시도의 대학원이 설치된 대학에 지역 경제 발전과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특성화 연구 센터의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이 센터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가 중점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주요 산업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분야를 연구하도록 하고 있다. 1996년 부산대학교 환경기술·산업연구센터가 지정되어 2002년 9월까지 총사업비 101억 7300만 원으로 환경 관련 사업체의 미래 지향적인 기술 개발을 하였다. 지역 기술 혁신 센터(TIC)인 부산경남자동차테크노센터는 부산대학교에서 주관하여 총사업비 105억 3400만 원을 투입하여 자동차 관련 산업의 산학 협동 연구 및 기술 인력의 교육 훈련, 관련 기술 정보의 수집, 유통의 촉진 등을 통해 자동차 산업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2001년에 종료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지능형 통합항만관리 연구센터[동아대학교]는 항만 물류 기업체의 애로 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을 육성 지원하는 사업으로 3년 단위로 평가하여 최장 9년까지 Matching Fund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었으나 종료되었다. 전자세라믹스 연구센터[혹은 전자세라믹 지역혁신센터]는 IT[정보 통신]·전기·전자 부품 산업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자 세라믹스와 관련된 원천 기술 및 응용 기술을 확보하고 산·학·연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으로 2001년 6월에 동의대학교에서 개소하였다.
신소형재 가공청정 공정개발 연구센터[혹은 신소형재 가공청정 공정개발 지역혁신센터]는 교통 기관 및 산업용 기계 부품에 사용되는 신소형재의 청정 제조 기술 혁신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함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2002년 6월에 동아대학교에서 개소하였다. 친환경 첨단에너지기계 연구센터는 친환경 첨단 에너지 절약형 기계 기술에 관한 최근의 지식 기반 환경과 신기술을 기계 공학 분야에 접목함으로써,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여 이 분야의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고 환경 친화적 지역 특화 산업을 발전시키고자 2003년 6월에 부경대학교에서 개소했으나 사업이 중단되었다.
유비쿼터스 컴퓨터그래픽스 응용 지역기술혁신센터[혹은 유비쿼터스 어플라이언스 지역혁신센터]는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응용하여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중소기업들에게 첨단 장비, 기술 지원, 연구 개발 등을 집중 지원하여 기계 및 부품, 게임 및 영상 등 기반 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2003년 9월 동서대학교에서 개소하였다. 블루바이오 소재개발 및 실용화지원 지역혁신센터는 미래 신성장 동력인 생명 과학 산업 분야에 있어서 부산 지역의 일차 바이오산업을 고부가 가치 블루 바이오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출발하였다. 2008년에 동의대학교에서 출범하였고, 첨단 비아오 기술과 명품 브랜드 특산 식품의 개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소재 개발과 실용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기업의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 지원, 효능 평가 분석에 필요한 기술과 장비를 제공하고 있다.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동아대학교]는 국내 유일의 밸브 전문 기술 연구 기관으로 초저온 밸브, 고온 고압 밸브, 마이크로 밸브 등과 같은 고부가 가치, 고기능성 특수 밸브에 대한 가중 해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제품 설계와 해석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인정기구[KOLAS] 국제 공인 시험 기관 구축이 예정돼 있으며,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하고 납품이나 수출에 필요한 인증 획득을 지원할 예정이다.
첨단아케이드게임 지역혁신센터[동서대학교]는 부산광역시의 전략 산업인 영상, IT, 기계 부품 산업을 기반으로 지역 중소기업 중심의 첨단 아케이드 게임 글로벌화를 지원하고 있다. 개발된 제품의 특허 기술 등을 투자 유치, 기술 평가, 신용 대출 자금, 금융 서비스 등과의 연계 지원을 통해 게임 관련 기업의 육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벤처 기업과 중소기업 및 신기술 창업자에 대한 공간, 장비, 기술, 경영, 특허 출원, 투자 알선 등의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아케이드 게임의 글로벌 전문 인력 양성과 네트워크 구축에도 주력하고 있다.
2011년 현재 부산 지역 지역 혁신 센터의 주요 실적을 보면 총사업비는 79억 7000여 만 원이었고, 장비를 활용한 기업 수는 355개사, 건수는 1만 2376건이었다. 공동 연구가 49건 진행되었고, 특허 출원은 48건, 이중에서 특허 등록은 17건이었다. 논문은 모두 99편이 발표되었고, 그중 29편은 SCI급 논문이다. 창업 지원이 27건, 기술 이전이 32건 이었고, 개발 기술의 사업화는 47건에 이르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변천]
지역 협력 연구 센터[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은 지식경제부의 ‘기술 하부 구조 확충 5개년 계획[1995년 12월]’ 및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역 협력 연구 센터 육성 계획[1994년 2월]’에 의거 지역 기술 혁신 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와 함께 추진되었다. 2005년 7월부터 지역 혁신 센터 사업 요령이 개정되어 TIC와 RRC를 통합하여 지역 혁신 센터[RIC: Regional Innovation Center]로 확대·개편되었다.
[의의와 평가]
‘지역 협력 연구 센터’는 부산 지역의 전략 산업과 연관되는 연구를 수행하고, 그 연구 결과를 관련 지역 산업에 공급함은 물론 산업체 종사자에 대한 교육과 훈련 실시, 산업 현장의 기술지도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연구 수행에 참여한 대학원생들을 배출시켜 관련 부산 지역 산업체 인력으로 공급함으로써 부산 지역 산업 육성에 기여함은 물론 부산 지역 대학의 연구 활성화와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