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237 |
---|---|
한자 | 東亞大學校 |
영어의미역 | Dong-a University |
이칭/별칭 | 동아대,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37[하단동 84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배병욱 |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동아대학교는 ‘홍익인간’이라는 건학 이념 아래 ‘심오한 학술 이론과 그 응용 방법을 연구·교육하고 사회에 봉사하며, 자주정신과 민주 시민으로서의 품격을 함양함으로써 민족의 번영과 복지 사회 실현 및 인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대학 이념으로 삼고 있다. 또 ‘자유·진리·정의’라는 교시 아래 ‘새로운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자유로이 탐구하고 민주 시민의 자질을 길러 고도 산업 사회 및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고, 국가 및 인류 사회의 발전과 정의 실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도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교육 목표는 ‘첫째, 물질 만능 풍조와 인간 소외를 극복하고 인간다운 삶과 문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인간 존중의 가치관을 확립한다, 둘째, 사회와 역사에 대한 통찰력을 갖고 민족의 자존과 번영에 이바지하는 자세를 기른다, 셋째, 자율과 책임을 바탕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품성을 기른다, 넷째, 자연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고 환경 친화적 태도를 기른다, 다섯째, 세계화 시대를 이끌 수 있는 국제적 식견과 외국어 구사 능력을 기른다, 여섯째,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정보 처리 능력을 기른다, 일곱째, 고도 산업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게 한다, 여덟째, 개방적인 산학 협동체제의 구축을 통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게 한다’
이다.
[변천]
동아대학교는 해방 직후 김길창(金吉昌), 정기원(鄭基元) 등 남선대학설립기성회에 의해 설립된 남조선대학과 남조선법문학원의 후신으로, 이들을 인수한 정재환(鄭在煥)의 동아대학설립기성회에 의해 1946년 11월 1일에 동구 수정동 1-21번지에서 설립되었다. 1947년 12월 30일에 문교부로부터 동아학숙(東亞學塾)의 설립 허가와 동아대학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당시 규모는 법학부와 문리학부 등 2개 학부 5개 학과였다.
1949년 4월 1일에 교사를 동구 범일동 365번지로 이전하였으며,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하여 다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로 옮겼는데, 이곳이 현재의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가 되었다. 1959년에 종합 대학으로 승격되어 동아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초대 총장에 정재환이 취임하였다. 1985년에 사하구 하단동 840번지에 승학캠퍼스를 준공하고 대학 본부를 이전하였다. 1990년에 동아대학교병원을 개원하였고, 2003년 3월에는 서구 부민동 2가 1번지에 부민캠퍼스를 신설하였다.
[교육 활동]
동아대학교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 교육 역량 강화 사업’ 지원 대학에 2008년부터 2012년까지 4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2010년에는 동아대학교 의료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부산·울산 권역 심뇌혈관 질환 센터’로 최종 선정되었다. 2009년에는 법학 전문 대학원을 개설하였으며, 부산대학교·영남대학교·원광대학교·조선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등 국내 대학뿐만 아니라, 미국·베네수엘라·호주·캐나다·뉴질랜드·중국·일본 등 국외 여러 나라들의 주요 대학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아세아 동반도 구덕산 기슭에/ 자유의 문을 열어 올바른 얼로/ 새로운 태양을 솟구치련다/ 잇닿은 태평양 바라보면서/ 진리에 투철하고 정의에 굳세어라/ 우리의 대학교 동아대학교.
2. 교목: 소나무이다.
3. 교화: 목련이다.
4. 교상: 표범이다.
5. 심볼 마크: 건학 이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즉, 방패 형상은 중세 이후 상아탑으로 상징되는 대학을 수호한다는 의미와 대학이 학문 탐구의 길에 앞장선다는 뜻을 나타낸다. 방패 윗부분은 학문의 전당인 대학의 ‘대(大)’ 자를 도안화한 것이며, 가운데의 ‘U’는 ‘University’의 머리글자로 종합 대학을 나타낸다. ‘ㄷ’과 ‘ㅇ’은 각각 ‘동아’의 머리글자로 세계 속의 대학교로 부상, 발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짙은 바다색은 교색으로 태평양을 향한 진취적 기상과 학문 연구의 의지 및 희망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현황]
2010년 전기까지의 동아대학교 학위 수여자 현황은 총 15만 9550명이며, 구체적으로는 학부가 14만 5683명, 대학원 석사가 7,806명, 대학원 박사가 2,241명, 초급 대학이 2,751명, 임시 중등 교원 양성소가 1,069명이다. 2012년 기준 동아대학교는 10개 대학원[일반 대학원, 동북아국제전문대학원, 의학 전문 대학원, 법학 전문 대학원, 경영 대학원, 교육 대학원, 산업 정보 대학원, 사회 복지 대학원, 법무 대학원, 예술 대학원], 12개 단과 대학[인문 과학 대학, 자연 과학 대학, 생활 과학 대학, 법과 대학, 사회 과학 대학, 경영 대학, 생명 자원 과학 대학, 공과 대학, 건축·디자인·패션 대학, 스포츠 과학 대학, 예술 대학, 의과 대학], 2개 학부[석당 인재 학부, 국제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부속 기관으로는 도서관·정보 전산원·국제 교류원·체육부·복지 시설 관리부·박물관·석당학술원·한림 생활관·교양 교육원·공학 교육 혁신 센터·다우미디어센터·출판부·보건 진료소·평생 교육원 등이 있고, 부설 연구 기관으로 동아시아 연구원·의과학 연구원·환경 문제 연구소·경영 문제 연구소·스포츠 과학 연구소·기초 과학 연구소·독일학 연구소·법학 연구소·건설 기술 연구소·해양 자원 연구소·관광 레저 연구소·생산 기술 연구소·생활 과학 연구소·정보 기술 연구소·지능형 통합항만관리 연구센터·영어 교육 연구소·교육 연구소·동아항노화연구소·그린 에너지 기기 연구소·국제 통상 연구소·맑스엥겔스연구소·전력 기기 융합 설계 연구 센터·융합 디자인 연구소·지식 서비스 컨설팅 연구소·천연물 신약 개발 연구 센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