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859 |
---|---|
한자 | 釜山藝術大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Arts College |
이칭/별칭 | 부산예대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못골번영로71번길 74[대연동 155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병철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인내천(人乃天) 정신과 성(誠), 경(敬), 신(信)을 교훈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문화 예술의 창달과 국가 사회 발전은 물론 세계화에 기여할 유능한 전문 예술인을 양성한다’이다.
[변천]
1993년 11월 18일에 부산예술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11일에 개교하였다. 1998년 11월 23일에 부산문화예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2003년 9월 1일에 부산예술대학으로, 2012년 7월 3일에 부산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12년 11월 20일에 제8대 안원철 총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예술대학교는 개인의 특성과 재능을 찾아내어 훌륭한 능력으로 키워 낼 수 있는 현장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 예술인 출신의 교수진을 바탕으로 뛰어난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실기 위주의 교과 과정과 최적의 교육 환경을 통하여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적응력을 키우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1년 7월 4일에 러시아 St. Petersboug Theater Arts Academy와 국제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다. 2003년에는 부산남구청과 학관 협정을 체결하여 주민들을 위한 무용 강습 및 생활 체육, 레크리에이션 강좌를 지원하였고, 2004년에는 한국댄스스포츠지도자협회와 산학 협력을 체결하였다. 2008년 1월에 남경예술대학 실용 음악과 및 무용과 학생들과 교수들이 부산예술대학교 기숙사에 체류하면서 약 3개월간 전공 관련 수업 및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부산예술대학교 실용 음악과 학생들과 교수들도 동년 7월에 남경예술대학의 초청을 받아 교육 과정을 서로 공유하였다.
2009년 7월과 2010년 7월에는 중국청년교류협회 주관으로 동북사범대학, 소흥월수외국어대학 등의 학생과 교수 40여 명이 1개월간 한국어 연수 및 문화 체험의 과정을 이수하였다. 2012년 8월에 모스코바대학 한국어 전공 학생들이 1개월간 한국어 연수 및 문화 체험의 과정을 이수하였으며, 다국적 다문화 중심의 예술 대학으로 나아가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안관성/작곡 김광순]
황령산 품에 안긴 부산예술대학/ 태평양 바라보며 우람히 솟았다/ 겨레의 예술 문화 꽃피울 학도들/ 으뜸의 빛을 찾아 여기에 모였다/ 배달의 선인들이 밝혀 온 슬기와/ 세계의 거장들이 이룩한 자취를/ 성·경·신 정신으로 배우고 닦으며/ 내일에 웅비하려 오늘을 익힌다.
[현황]
2012년 기준 대학 행정 기관은 대학 본부와 부속 기관, 부설 연구소, 산학 협력단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대학 본부는 1실 3처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은 총 9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76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전임 교원 25명, 조교 9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9명이 근무하고 있다. 대학 학과로는 실용 음악과, 연극과, 실용 무용과, 뷰티 토탈 디자인과, 이벤트 연출과, 사회 체육과, 사회 복지 상담과, 한국 음악과, 통합 예술 치료과가 있으며, 부설 연구소로 동학 연구소가 있다. 부속 기관으로는 산학 협력단, 국제 언어 교육 센터, 원곡 예술관, 경인 미술관, 학보사, 문제 수석관, 예술 정보 센터, 도서관, 방송국 등이 있다. 교지 면적은 3만 8612㎡, 건물 총면적은 1만 569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