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748 |
---|---|
한자 | 韓國去來所 |
영어공식명칭 | Korea Exchange |
이칭/별칭 | KRX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문현동 122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준현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금융 기관.
[설립 목적]
한국거래소는 「자본 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73조에 의거하여 증권 및 장내 파생 상품의 공정한 가격 형성과 매매, 그 밖의 거래 안정성 및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53년 대한증권업협회가 출범하였고, 그해 3월 3일에 증권 시장이 개장하였다. 1956년 2월에 영단제(營團制) 대한증권거래소가 설립되었는데, 대한증권거래소는 1962년 4월에 주식회사제 대한증권거래소로 전환되었으며, 1963년 5월에 「증권거래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공영제 한국증권거래소로 전환되었다. 1988년 3월에 회원제 한국증권거래소로 전환하였고, 그해 3월 3일부터 전산 매매를 개시하였다. 1992년 1월 3일에 외국인의 국내 주식 직접 투자를 허용하였으며, 1996년 5월 3일에 주가 지수 선물 시장이 개설되었다. 같은 해 5월 17일에 코스닥증권시장[유가 증권 시장에서 매매 거래 중개 업무 영위]이 설립되었다.
1997년 1월 3일에 코스닥 지수를 발표하였으며, 같은 해 7월 7일에 주가 지수 옵션 시장이 개설되었다. 1998년 10월 12일에는 코스닥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99년 2월 6일에는 한국선물거래소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3월에 국채 전문 유통 시장이 개설되었고, 그해 9월에 국채 선물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0년 7월에 신주 인수 증권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2년 1월 28일에는 개별 주식 옵션 시장이 개설되었고, 그해 2월에 환매 조건부 채권 매매 시장이, 같은 해 10월에는 상장 지수 펀드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3년 4월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 지수 펀드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4년 1월 29일에 「한국 증권 선물 거래소법」[법률 제7112호]이 제정 및 공포되었으며, 이에 따라 2005년 1월 27일에 한국증권거래소와 코스닥증권시장·한국선물거래소·코스닥위원회 등 4개 기관이 합병되어 국내 증권 및 파생 상품의 통합 거래소인 한국증권선물거래소가 출범하게 되었다.
같은 해 6월 1일에 KRX 100 지수[Korea Exchange 100 Index, 유가 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대표 100종목으로 구성]를 발표하였다. 그해 11월 7일에는 스타 지수 선물 시장[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종목 중에서 시장 대표성, 유동성 및 재무 건전성이 우량한 30개 종목을 구성 종목으로 하는 스타 지수를 거래하는 시장]을 개설하였다. 동년 12월 1일에 주식 워런트 시장[특정 대상물을 사전에 정한 미래의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 또는 팔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증권을 거래하는 시장]을 개설하였다.
2006년 1월 2일에는 유동성 공급자[LP, Liquidity Provider] 제도를 도입하였고, 그해 5월 26일에 엔·유로 선물 시장[환율 변동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엔화, 유로화를 거래 대상으로 하는 선물 거래 시장]을 개설하였다. 2007년 8월 17일에 외국 기업이 최초 상장하고, 그해 10월 10일에는 해외 ETF[Exchange Traded Fund, 특정 지수 및 자산 가격의 움직임에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상품]를 최초 상장하였다. 2008년 4월에 KRX북경사무소를 설립하였고, 그해 5월에 10년 국채 선물 시장과 주식 선물 시장을, 동년 7월에는 돈육 선물 시장을 개설하였다.
2009년 2월 4일에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서 한국거래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7월 29일에는 「자본 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고, 국고채 ETF를 최초 상장하였다. 동년 9월 21일에 한국 증시가 FTSE 선진국 지수[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FTSE그룹이 작성해 발표하는 지수]에 편입하였다. 그해 11월 16일에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시카고거래소그룹, 세계 최대 파생 상품 거래소] 연계 코스피 200선물 글로벌 시장을 개설하였다.
2010년 8월 30일에는 Eurex[유럽파생상품거래소, 유럽 최대의 파생 상품 거래소] 연계 코스피 200옵션 글로벌 시장을 개설하였고, 그해 9월에 미니 금 선물 시장을 개설하였다. 2011년에는 라오스거래소와 캄보디아거래소를 설립하였으며, 2012년 3월 30일에 석유 전자 상거래 시장을 개설하였다. 2014년 10월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거래소는 거래소 정관 제2조에 의거하여 유가 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 파생 상품 시장의 개설 및 운영에 관한 업무와 증권 및 장내 파생 상품의 매매에 관한 업무, 증권 매매 거래 및 파생 상품 거래에 따른 청산과 결제에 관한 업무, 증권 상장과 관련된 업무, 장내 파생 상품 매매 유형과 품목 결정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상장 법인 신고·공시에 관한 업무, 증권 경매 업무, 거래소에서 매매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쟁 자율 조정에 관한 업무, 시장 정보의 제공과 판매, 시장과 관련된 전산 시스템 개발과 운영, 외국 거래소 및 증권 파생 상품 관련 시장과 제휴나 협력 체결, 그 외에 법령에 따라 부여된 업무나 수반되는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현황]
한국거래소는 이사회 산하 감사 위원회·유가증권시장 위원회·코스닥시장위원회·파생 상품 시장 위원회·보수 위원회·리스크 관리 위원회 6위원회와 시장 감시 위원회, 경영 지원 본부·유가증권시장본부·코스닥시장본부·파생상품시장본부·시장 감시 본부의 5본부와 소속 부서, 팀으로 조직되어 있다.
경영 지원 본부와 파생상품시장본부는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의 본사에 있으며, 유가증권시장본부와 코스닥시장본부, 시장 감시 위원회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의 서울 사옥에 있다. 사무소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에 한국거래소 대구사무소,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한국거래소 광주사무소가 있다. 2012년 4분기 현재 임직원 714명이 근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거래소는 증권 및 파생 상품 등 증권 관련 거래를 운영하는 거래소로서, 기업의 직접 자금 조달의 통로를 제공하며 국민들의 금융 자산 운용 수단 거래의 통로를 제공하는 우리나라 자본 시장의 핵심적인 기관이다. 부산광역시가 국제적인 금융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 한국거래소가 지역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