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방직공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676
한자 釜山紡織工業
영어공식명칭 Busan Textile Co., Ltd.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29번길 25[신평동 650-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직조업체
설립자 이원갑[1953년, 해방 이후 실질적인 설립자]
전화 051-292-0131
홈페이지 부산방직공업(http://www.busantex.co.kr)
설립 시기/일시 1934년 5월연표보기 - 제국제마 부산 제포 공장으로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93년 5월 - 부산시 부산진구 가야동 50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 29번길 25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49년 12월연표보기 - 제국제마 부산 제포 공장에서 부산방직공사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3년 3월 31일 - 부산방직공사에서 부산방직공사[주식회사]로 개편
개칭 시기/일시 1964년 2월연표보기 - 부산방직공사에서 부산방직공업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2년 2월 - 모직물 가공 설비 확충하여 방모직물 일관 작업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5년 5월 - IWS Wool Mark 사용권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4년 3월 3일 - 조세의 날 석탑 산업 훈장 수훈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4년 11월 1일 - 부산방직공업 마산 공장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7월 31일 - 부산방직공업 양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5월 - 부산방직공업 신평 공장 신축 완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3월 - 코스닥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6월 - 부산방직공업 양산 공장, 부산방직공업 마산 공장 한국토지공사에 매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 의류 사업부 신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 회장 이동건 국민 훈장 무궁화장 수훈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 방글라데시 가먼트 공장 가동
최초 설립지 제국제마 부산 제포 공장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50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방직공업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 29번길 25[신평동 650-4]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방직공업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 29번길 25[신평동 650-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섬유 관련 제조업체.

[설립 목적]

부산방직공업은 일제 강점기에 제포(製鞄) 공장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방직공업은 일본 도쿄[東京]에 본점을 둔 제국제마(帝國製麻) 부산 제포 공장(釜山制布工場)으로 1934년 5월에 설립되었다. 당시의 위치는 부산시 부산진구 가야동이었으며, 공장장은 장야직차랑(長野直次郞)이었다. 1949년 12월에 부산방직공사로 개칭하였으며, 1953년 3월 31일에 자본금 5억 환으로 법인체를 설립하여 부산방직공사[주식회사]로 개칭하였다. 이후 1962년 2월에 모직물 가공 설비를 확충하여 방모직물 일관 작업을 시작하였다. 1964년 2월에는 부산방직공업으로 개칭하였다. 1975년 5월에 IWS[International Wool Secretariat, 국제양모사무국] Wool Mark 사용권을 획득하였다.

1984년 3월 3일에 조세의 날 석탑 산업 훈장을 받았고, 그해 11월 1일에 부산방직공업 마산 공장[방모기 5대]을 설립하였다. 1990년 7월 31일에는 부산방직공업 양산 공장[방적, 제직 공정]을 준공하였으며, 1993년 5월에 부산방직공업 신평 공장을 신축 완료하고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5년 3월에 코스닥에 등록하였으며, 그해 6월에 부산방직공업 양산 공장과 부산방직공업 마산 공장을 한국토지공사에 매각하였다. 2010년 3월에는 회장 이동건이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2011년 3월에 방글라데시에 가먼트(Garment)[의류] 공장을 가동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방직공업은 모직물 직조업을 주요 업종으로 하여 순모와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모헤어, 카멜 등의 특수 모직물 및 기타 소모, 방모 직물을 생산하고 있다. ‘비비 퀸텍스’는 60년 전통의 상표이다. 모직물 생산을 위한 자체 생산 설비와 생산 공정 인원을 독립시켜 소사장제를 시행하고 있다. 방적 및 제직은 외주를 통해 원가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1996년부터는 의류 사업부를 신설하여 고품질 의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의류 부문은 방글라데시 등 현지 임가공을 통해 남성복과 여성복, 니트(Knit), 다운재킷(Down jacket) 등을 생산하여 국내 판매 및 일본 수출을 병행하고 있다.

[현황]

2013년 3월 기준 부산방직공업의 임원으로는 대표 이사 2명, 이사 4명, 사외 이사 1명, 감사 1명이 있다. 조직은 그룹 대표 이사 아래 영업 총괄과 직물 제조, 지원 부문으로 나뉜다. 영업 총괄에는 직물 영업팀과 유니폼팀, 글로벌 영업팀, 글로벌 패션 개발팀, 어패럴팀, 중국 법인이 있다. 직물 제조에는 직물 제조팀과 글로벌 소재 개발 1팀, 글로벌 소재 개발 2팀이 있다.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생산의 61.4%가 직물이고, 의류가 24.6%, 원단이 10.1%, 기타가 0.9%이다. 의류는 2011년을 기준으로 하여 80.4%가 수출이고, 직물은 반대로 75.9%가 내수이다.

자본금은 40억 원으로 변화가 없으며, 매출액은 2006년에 377억여 원에서 감소하여 2009년에는 245억여 원까지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다. 2012년 현재 매출액은 441억여 원이다. 종사자 수는 2002년도에 201명이었으며, 2006년부터 급속히 감소하여 2009년에는 38명으로 가장 적었다. 이후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2012년 현재는 51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2016년 4월 27일 ㈜부방과 합병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방직공업은 주로 원단을 생산하는 부산 지역의 기업으로, 일반 소비자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다. 하지만 8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진 기업이다. 그만큼 시대의 변화를 잘 극복하였다는 의미이다. 부산 지역에서 진정한 의미의 100년 기업 출현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 김태현, 『부산 기업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04)
  • 부산방직공업(http://www.busantex.co.kr)
  • 부산산업기술정보망 e-Biz Mall(http://www.bizmall.or.kr)
  • 부산 기업 솔루션(http://business.busan.go.kr)
  • MK 기업 정보(http://cominfo.mk.co.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2.25 [현황]수정 2016년 부방과의 합병 내용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