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99 |
---|---|
한자 | 新平洞 |
영어의미역 | Sinpyeo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신평(新平)은 신평(新坪)이라 쓰이기도 하였다. ‘새로운 평지’라는 뜻으로 서쪽에 접한 낙동강 하구의 충적지에 제방을 쌓아 새로 농경지를 조성하면서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된다.
[형성 및 변천]
신평동에는 1세기경의 패총이 있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게 한다. 관내 다대진과 관련된 망후 마을[다대진의 후망소(後望所)로 기능하였다고도 하고 임경업(林慶業) 장군의 조카인 임중생이 피난 와서 살았던 마을이라고도 한다]이 있어 조선 시대부터 있었던 마을임을 알 수 하지만, 기록상에서는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사하면 관내에 신평동이 있다는 기록으로 처음 확인된다. 1910년 부산부 사하면이 되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사하면 신평동이 되었다. 942년 부산부에 편입되며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1년 부산시 서부출장소 사하지소에 속하게 되고, 1957년 서구 사하출장소 신평동이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75년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고, 1983년 서구에서 분구되어 사하구 신평동이 되었다. 1992년 9월 신평동을 신평 1동, 신평 2동으로 분동하였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사하구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북으로는 하단동·당리동·괴정동, 동으로는 구평동, 남으로는 장림동, 동으로는 낙동강을 경계로 하단동의 을숙도와 접한다. 북쪽으로 독산, 독뫼 등으로 불리는 동매산이 있고, 동쪽은 금티산이 있다. 서쪽에는 낙동강 하구에 접해 있으며, 하천 주변은 매립되어 넓은 평지가 발달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4.3㎢이며, 인구는 1만 5,432가구에 총 3만 2,776명으로 남자가 1만 6,587명, 여자가 1만 6,189명이다. 서쪽 낙동강변으로는 신평 대로가 통과하며, 을숙도 대교를 통해 동의 서쪽에 위치한 을숙도를 지나 강서구 명지동과 연결된다. 관내에는 부산 도시 철도 1호선의 종점역인 신평역이 있고 사하경찰서와 사하소방서 등 주요 공공 기관이 있고, 신평장림산업단지관리공단을 중심으로 한 신평·장림 공업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자연 마을로는 신평 마을·동매 마을·망후 마을·모래구찌 마을·배고개 마을 등이 있었으며, 행정동으로는 신평 1동과 신평 2동이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09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2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4.3㎢이며, 인구는 1만 5,163가구에 총 3만 4,490명으로 남자가 1만 7,639명, 여자가 1만 6,851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4.3㎢이며, 인구는 1만 5,122가구에 총 3만 5,333명으로 남자가 1만 8,166명, 여자가 1만 7,167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