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140 |
---|---|
영어의미역 | Dongmae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동매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표용수 |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마을 동쪽에 있는 동매산[210m]을 독뫼[獨山], 동뫼, 비봉산이라고도 부른다. 이 동매산 부근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동매 마을이라 불렀다. ‘동매’라는 지명은 동쪽의 산[뫼]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동매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10년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서평리에서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14년 3월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사하면 신평동에 편입되었다. 1942년 10월 부산부 사하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 직할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75년 10월 부산직할시 직할 사하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83년 12월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하였다. 1992년 9월 신평동이 신평 1동, 신평 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동매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동매 마을은 동매산 서쪽 사면에 위치해 있었다. 마을의 서쪽은 낙동강이 남해로 유입하는 하구이다.
[현황]
동매 마을은 신남초등학교에서 현대 아파트까지에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현재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주택지가 조성되어 옛 마을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신평 시장, 신평 성불사, 새생명장로교회 등이 있다. 마을 북쪽으로 사하구 하단동, 동쪽으로 동매산 정상을 경계로 괴정 4동과 접하고, 서쪽에는 도시 철도 2호선 신평역과 신평 차량 기지창이 위치하며, 남쪽으로 신평·장림 일반 산업 단지가 자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