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평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44
한자 新平驛
영어의미역 Sinpyeong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신평동 64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292-6955
준공 시기/일시 1990년 7월 24일연표보기 - 착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4년 6월 23일연표보기 - 개통
최초 설립지 신평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신평동 646]지도보기
현 소재지 신평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신평동 6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의 출발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 산맥과 황령 산맥 사이의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하여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서면·연산동·동래 등에 심각한 교통난을 유발함으로써 도시 철도 개통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남북 축으로 이루어진 부산의 지리적 여건과 교통량이 가장 많은 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신평역도시 철도 1호선의 출발역으로 부산의 최남단인 다대동과 신평·장림 지역뿐 아니라 인근의 명지·녹산까지 연결하는 거점 역할을 하고자, 1990년 7월 24일 서대신동~신평 간 6.4㎞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 1호선 4단계 구간의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1994년 6월 23일에 개통되었다.

[변천]

현재는 도시 철도 1호선 연장 다대 구간이 건설되고 있으며, 완공 이후에는 기종착역 기능의 일부를 넘길 예정이다.

[구성]

신평역은 총 8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상 1층과 지하 1층 모두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 1층은 승강장이고 지하 1층은 대합실이다. 역에는 환승 주차장, 휠체어 리프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에는 매표소, 역무실, 매점, 남녀화장실, 공중전화기 등이 있다.

[현황]

신평역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이 역의 연간 승차 인원은 359만 3395명이고, 일평균 승차 인원은 9,845명이다. 반면 연간 하차 인원은 323만 9841명이고, 일평균 하차 인원은 8,876명이다. 승차 인원 기준으로 도시 철도 1호선 34개 역 중에서 21위를 차지했다.

역 주변에는 부산 패션 칼라 산업 단지, 부산교통공사 신평차량사업소, 신평·장림 일반 산업 단지, 부산 염색 공단, 사하구보건소, 신남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하남중학교 등이 있다. 인근에는 을숙도을숙도 대교가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린다. 그 동안 생명 지킴이 대시민 체험 행사, 레일 위의 작은 음악회 등의 행사가 있었고, 2012년 올해에는 유니세프 홍보 캠페인, 결손 가정 어린이 및 무의탁 노인 돕기 캠페인 등의 행사가 열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