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84
한자 都市鐵道
영어의미역 Busan Urban Railwa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남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5년 7월 19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1호선 노포~범내골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5월 15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1호선 범내골~중앙동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2월 28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1호선 중앙동~서대신동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4년 6월 23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1호선 서대신동~신평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6월 30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2호선 서면~호포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2년 8월 29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2호선 서면~장산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월 10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2호선 호포~양산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28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3호선 수영~대저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30일연표보기 - 도시 철도 3호선 전 구간 개통

[정의]

부산광역시의 도시 교통권역 내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운영되는 궤도 교통 시설.

[개설]

도시 철도는 지하철로도 불려지는 궤도 교통수단으로 대도시의 교통난 완화를 위해 건설되었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이루어진 급속한 산업화·도시화로 서울·부산 등의 교통난이 급증하자 1970년대 건설을 시작해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으로 도시 철도의 역사가 시작된다. 1970년대 후반에는 부산 지역에서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도시 철도가 계획되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도시 철도를 건립하게 된다.

[발달 배경]

1979년경 부산 지역의 교통은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 개항기를 지나 6·25 전쟁을 거치며 유입된 인구와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의 결과, 급속한 인구 증가를 경험하며 주택과 공장들의 시설이 난립하게 된다. 특히 부산은 금정 산맥과 황령 산맥이 동쪽과 서쪽에서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시가지의 발달이 2개의 산맥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남북으로 길게 형성된 시가지는 교통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서면·연산동·동래 등의 결절지에 심각한 교통난을 유발한다. 또한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자동차의 급증, 경제 성장이 예측됨에 따라 새로운 교통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부산의 도시 철도는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먼저 교통량이 가장 많은 남북축의 중앙 대로를 따라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고, 동서 방향의 도시권 확장에 맞추어 동서축의 2호선이 건설되었다. 또한 1·2호선의 개통 이후 주변과 기존 노선을 연결하는 3·4호선이 개통되며 부산 전역으로 도시 철도 노선이 연결되었다. 도시 철도는 부산의 주 간선 도로와 함께 부산 교통의 대동맥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변천]

도시 철도 1호선은 1979년 10월 기본 계획이 수립되어, 1981년 6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1단계 공사 구간인 노포~범내골의 구간이 1985년 7월 19일에 개통해 부산 도시 철도의 역사를 시작하였고, 범내골~중앙동의 2단계 구간은 1987년 5월 15일에 개통하였다. 중앙동~서대신동의 3단계 구간이 1990년 2월 28일에, 서대신동~신평의 4단계 구간이 1994년 6월 23일에 개통함으로써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도시 철도 2호선해운대 신시가지의 건설과 사상 공단과 화명·양산 지구의 발전으로 인해 동서 간 교통축이 요구됨으로써 1991년 5월에 기본 계획을 확정하였다. 서면~호포의 1단계 구간이 1991년 11월 28일 착공하여 1999년 6월 30일에 개통하였다. 서면~장산의 2단계 구간은 2002년 1월 16일에 광안역까지 개통되고 동년 8월 29일에 장산까지 개통되었으며, 호포~양산의 3단계 구간은 2008년 1월 10일에 개통해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도시 철도 3호선은 1996년 2월에 건설 기본 계획이 확정되고, 1997년 11월 25일에 1단계 수영~대저 구간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 11월 28일 개통되었고, 2단계 미남~안평 구간은 2003년 12월 3일에 착공되었다. 3호선의 2단계 구간은 2009년 11월에 3호선에서 분리되어 4호선 구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11년 3월 30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1년 4호선까지 개통된 부산 도시 철도는 현재 1호선과 2호선의 구간 연장과 각 노선 간을 연결하는 지선 등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으로 부산 전역과 김해, 양산 등의 도시권으로 연결되는 도시 철도 노선을 통해 광역 도시의 교통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용 현황]

부산광역시의 교통 현황을 2009년 기준으로 보면, 수단별 1일 수송 분담률은 승용차의 수송 분담률이 29.9%로 가장 높고, 버스가 27.3%, 도시 철도가 13.9%로 나타난다. 전체의 3위를 차지하는 도시 철도는 2004년부터의 수단별 수송량 증가율로 보면 연평균 6.2%로 전체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부산 도시 철도는 4개 노선 109.5㎞가 운행되고 있다. 1호선은 총 사업비 9,752억원이 소요되었으며, 노포동역에서 신평역까지의 32.5㎞에 34개소의 역과 차량 기지 2개소를 갖추고 있다. 2호선은 총 사업비 2조 8,553억원이 소요되었으며, 양산역에서 장산역까지의 46㎞에 42개소의 역과 차량 기지 1개소, 회차 시설 1개소를 갖추고 있으며, 서면역에서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3호선은 총 사업비 1조 7,395억원이 소요되었으며, 수영역에서 대저역까지의 18.3㎞에 17개소의 역과 차량 기지 1개소를 갖추고 있다. 3호선은 수영역덕천역에서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연산역에서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4호선은 총 사업비 1조 2,616억원이 소요되었으며, 미남역에서 안평역까지의 12.7㎞에 14개소의 역과 차량 기지 1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미남역에서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동래역에서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부산 도시 철도 4개 노선은 1년 365일 운행 중이며, 1호선의 1일 운행 횟수는 평일 364회, 토요일 344회, 휴일 328회이다. 2호선의 1일 운행 횟수는 평일 345회, 토요일 327회, 휴일 301회이다. 3호선의 1일 운행 횟수는 평일 320회, 토요일 300회, 휴일 284회이며, 4호선의 1일 운행 횟수는 평일 310회, 토요일 296회, 휴일 278회이다. 2010년 도시 철도 수송 인원은 1호선 일 평균 41만 3,000명, 2호선 일 평균 26만 4,000명, 3호선 7만 5,000명에 이르며, 연간 운수 수입은 1호선 총 1,003억 1,000만원, 2호선 697억 2,600만원, 3호선 179억 2,400만원에 이른다. 전체 노선 중 1호선의 이용객 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노선 계획]

1. 도시 철도 노선 연장 건설

2013년 현재 부산 도시 철도 1호선은 신평 차량 기지~장림동~다대포 해수욕장까지의 다대 구간 총 연장 7.98㎞에 정거장 6개소와 회차 시설 1개소의 건설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5년 9월 예비 타당성 조사 결과 사업성을 인증 받고, 2009년 11월부터 착공해 2016년 11월 완공 예정으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2. 도시 철도 노선 계획

1) 부산 도시 철도 사상~하단선

2호선 사상역과 1호선 하단역 간의 총 연장 6.90㎞에 정거장 6개소와 차량 기지 1개소의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사상~하단선이 완공되면 낙동강변을 따라 양산에서 다대 지역까지 노선이 연결됨으로써 양산과 화명 지구의 주거 기능이 더욱 향상되고 부산 대도시권의 연결성의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양산선

1호선 노포역과 경상남도 양산시 삼성동 북정역을 연결하는 총 연장 14.1㎞에 정거장 7개소와 차량 기지 1개소의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양산시는 경상남도에 속하지만 부산권에 포함되는 권역으로 공장과 주거지 등이 집중하며 급성장하고 있는 도시이다. 기존의 2호선으로 연결되는 부산~양산 간의 노선이 양산 지역 주민들의 실제 생활권과 동떨어지는 부분이 있다는 문제 제기와 서부산권뿐 아니라 남북 축으로의 연결도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도시 철도 1호선의 연장 노선이 계획되었다. 양산선은 2013년 기본 계획안을 확정 고시 신청하여 진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