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876 |
---|---|
한자 | 駕洛農業協同組合 |
영어공식명칭 | Garak Nonghyup |
영어의미역 | Garak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
이칭/별칭 | 가락농협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대로 1459[죽림동 73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이근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설립 목적]
가락농업협동조합(駕洛農業協同組合)은 조합원의 농산물 가격·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와 유통 혁신을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자금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농업인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70년 3월 18일 8개의 리(里), 동(洞) 단위 농업 협동조합이 합병하여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죽림리[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가락농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1974년 4월 30일 가락농업협동조합 대사분소를 개설하였으며, 대사분소는 1978월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인해 강동농업협동조합[구 부산직할시 북구 강동동]으로 가락농업협동조합에서 분할되었다. 1989년 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가락농업협동조합이 부산직할시 농업협동조합으로 편입되었다. 1996년 10월 23일 종합 청사가 준공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가락농업협동조합의 주요 사업은 네 가지이다. 첫째, 농산물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산지와 소비지를 잇는 유통을 조직화·규모화하는 것이다. 둘째, 고품질·안전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다. 셋째, 상호 금융 안정성 제고와 업무 영역 확대를 추진하는 것이다. 넷째,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복지 사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주요 활동 사항으로 농업인 조합원의 농업인 안전 공제 가입 무상 지원, 황금 벼 계약 재배 농가 및 관내 벼농사 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영농 자재 무상 지원, 자체 수매분[일반 벼, 황금 벼] 환원 사업[관내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포당 일정 금액 지원] 등이 있다.
[현황]
2012년 9월 30일 현재 조합장 1명, 이사 6명, 감사 1명의 임원이 있다. 직원은 일반 관리직 15명, 여성 복지직 1명, 경매직 1명 등 일반직 17명과 기능직 5명이 있다. 조합원은 1,147명이 있고 준조합원은 5,187명이 있다. 가락농업협동조합의 특산품인 ‘가락 황금 쌀’, ‘샛별처럼 빛나는 쌀’ 을 판매하는 하나로 마트를 운영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563번지에 미곡 종합 처리장을 두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가락농업협동조합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역의 농업인을 위한 여러 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해 왔으며, 나아가 부산 지역 주민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 생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