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691 |
---|---|
한자 | 世亞製鋼 |
영어공식명칭 | SeAh Steel Corpor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었던 철강업체.
[변천]
1960년 10월 19일에 부산시 남구 감만동에서 부산철관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65년 3월에 전선관, 일반 배관용 탄소 강관의 한국 공업 규격 KS 표시 허가를 획득하였다. 1967년 8월에 우리나라 최초로 강관을 수출하였으며, 1969년 5월 13일에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 상장을 하였다. 1970년 8월 10일에 서울 공장을 가동하였고, 1971년 8월 1일에 본사를 서울특별시로 이전하였다. 1973년 10월에 스파이랄 용접 강관 생산을 개시하였다. 1975년 2월 27일에는 부산철관공업에서 부산파이프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8년 10월 19일에 포항 제1 공장을 준공하였다. 1979년 3월 21일에는 미국석유협회규격[API] 표시 허가를 획득하였다[케이싱 및 튜빙 5A, 고압 송유관 5LX, 일반 송유관 5L]. 1980년 8월 2일에 포항 제2 공장을 준공하였다. 1981년 3월 11일에 노르웨이선급협회로부터 DNV 표시 허가를 획득하였다[보일러 및 선박용 강관]. 같은 해 12월 22일에 금탑 산업 훈장과 1억 불 수출의 탑을 받았다. 1983년 1월 25일에 포항 제3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그해 6월 13일에 일본 공업 규격[JIS] 표시 승인을 획득하였다. 1985년 1월 1일에는 스웨덴 에코파이프(ECOPIPE) 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국내 최초로 단열 이중관을 생산하였다. 그해 1월 21일에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3가 40-153번지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1년 7월 1일에 포항 LD-80 대경관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993년 1월 19일에 포항 공장이 ISO 9000 품질 보증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다. 1995년 1월 3일에는 삼미종합특수강 스테인리스 공장을 인수하였다. 1996년 1월 1일에 부산파이프에서 세아제강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그해 5월 15일에는 서울 공장을 창원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1997년 8월 21일에 ISO 14000 환경 경영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고, 같은 해 11월 20일에 포항 대구 경강관 설비를 준공하였다. 1998년 5월 1일에 칼라 강판 생산 설비를 군산 공장에 설치하였으며, 2000년 10월 1일에 본사를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 1가 10번지로 이전하였다.
2001년 7월 1일에 기업을 제조 부문[세아제강]과 투자 부문[세아홀딩스]으로 분할하였다. 2003년 1월 1일에 광주 영업소를 신설하였으며, 2005년 9월 1일에 군산 아연도 강판 공장을 준공하였다. 2006년 4월 3일에는 신ERP[새로미] 시스템을 가동하였다. 2008년 2월 1일에 대구 영업소를 신설하였고, 그해 12월 2일에 3억 불 수출의 탑을 받았다. 2009년 2월 19일에는 군산 강관 제2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그해 11월 30일에 4억 불 수출의 탑 및 은탑 산업 훈장을 받았다. 2010년 5월에는 강관 누적 생산량 2,000만 톤을 달성하였다.
2011년 1월 1일에 판재 공장 No.2 CCL을 가동하였고, 그해 4월 5일에 SeAH Steel UAE 해외 법인 공장을 준공하였다. 2012년 3월 21일에 SPP강관을 인수하여 세아스틸파이프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9월 21일에는 동국알앤에스[포항 공장] 자산을 인수하였다. 그해 12월 5일에 5억 불 수출의 탑을 받았으며, 2013년 1월 1일에 본점 소재지를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414번지로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세아제강은 주요 사업으로 강관 제조, 판재 제조 및 강관, 판재 도매 등 세 개의 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강관과 판재이며, 주로 건축용 자재로 사용된다. 강관 제품에는 SRM[Stretching Reducing Mill, 단접 강관] 파이프, 강관 말뚝, 컬럼각관, 구조용 강관, 배관용 강관, 송유관 및 유정용 강관, 보일러 및 열 교환기용 강관, 전선관, 재료관 등이 있다. 스테인리스 강관 제품에는 티타늄튜브와 스테인리스 강관이 있다. 강판 제품에는 아연 도금 강판이 있으며, 컬러 강판 제품에 폴르에스터/고 내후성 수지 강판, 가전용 수지 강판, 불소 수지 강판, 조립 금속용 컬러 강판, 컬러 알루미늄판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본사와 경상북도 포항시의 기술 연구소를 포함하여 포항 공장, 군산 강관 공장, 창원 특수관 공장, 순천 공장, 군산 판재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포항 공장과 군산 강관 공장은 탄소 강관을, 창원 특수관 공장은 STS 및 Ti 등의 특수관을, 순천 공장은 탄소 강관과 STS 강관을, 군산 판재 공장은 아연 도강판 및 컬러 강판 제품을 생산한다. 기술 연구소는 철강 제품의 신기술, 신재료 연구, 신제품 개발, 제조 신기술 및 공정 설비 연구, 용접 및 자동화 계측 연구 등을 통하여 고부가 가치 제품 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단위 공정별 자동화 비율을 높이고 있다.
[현황]
세아제강은 기업 집단 세아에 속해 있다. 총 23개의 국내 계열 회사 중 세아제강을 포함하여 세아홀딩스, 세아베스틸, 세아특수강은 2013년 12월 현재 한국거래소 유가 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 2013년 9월 30일 기준 세아제강의 임원에는 회장[미등기 임원] 1명, 대표 이사 사장 1명, 대표 이사 부사장 1명, 부사장 1명, 사외 이사 2명, 감사 2명, 상무 이사 5명[미등기 임원], 이사 11명[미등기 임원]이 있다. 직원 수는 총 954명이다. 2012년 12월 기준 자본금은 300억 원이고, 매출액은 1조 9,129억 4,400만 원이다.
2013년 3월 기준 조직은 대표 이사 아래 윤리 실천 사무국이 있으며, 경영 기획 본부와 영업 본부, 판재 사업 본부, 기술 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 기획 본부는 기획 담당, 관리 담당, 구매 담당으로 나뉘며, 기획 담당에는 경영 혁신팀과 경영 기획팀이 있다. 관리 담당에는 인사 운영팀과 회계팀, 자금팀이 있다. 구매 담당에는 구매팀과 자재팀, 생산 계획팀이 있다.
영업 본부에는 강관 영업 담당과 부산 영업소, STS 영업 담당, 해외 영업 담당이 있다. 강관 영업 담당에는 판매 기획팀과 대리점팀, 실수요 1팀, 실수요 2팀, 특판팀, 광주 영업팀, 대구 영업팀이 있다. 부산 영업소에는 부산 대리점팀과 부산 실수요팀이 있다. STS 영업 담당에는 부산 STS 영업팀과 STS 수출팀, STS 내수팀이 있으며, 해외 영업 담당에는 수출 1팀과 수출 2팀, 수출 3팀이 있다. 판재 사업 본부에는 판재 영업 담당이 있으며, 컬러 강판 영업팀과 아연 도강판 영업팀, 부산 판재 영업팀이 있다.
국내 사업장으로는 본사와 포항 공장, 창원 특수관 공장, 군산 판재 공장, 군산 강관 공장, 순천 공장, 부산 영업소, 광주 영업소, 대구 영업소가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414번지 세아타워에 있으며, 회사 관리 및 제품 판매, 구매를 전담하고 있다. 해외 사업장 중 종속 회사로는 SeAH Steel Americ, Inc., State Pipe&Supply, Inc., SeAH Steel California, SeAH Steel Vina Corp., SeAH Japan Co., Ltd., SeAH Stee UAE, LLC.가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시에서 부산철관공업으로 설립된 세아제강은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기업이었다. 1971년에 본사를 서울특별시로 이전하였지만 여전히 주요 공장은 부산 지역에 있었다. 2013년 현재는 포항 공장과 창원 공장이 중심이다. 2012년에 5억 불 수출의 탑을 받은 기업으로 부산 지역에서 출발하였다는 것으로 만족하기에는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