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631 |
---|---|
한자 | 戡蠻洞 |
영어의미역 | Gamman-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3.55㎢ |
가구수 | 9,449가구 |
인구(남, 여) | 19,878명[남 10,003명|여 9,875명] |
개설 시기/일시 | 1740년 - 남촌면 하단 감만리 개설 |
변천 시기/일시 | 1904년 - 동래군 남하면 감만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부산부 서면 감만리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6년 - 부산부 서면 감만리에서 부산부 부산진출장소 감만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3년 - 부산시 대연출장소 감만동 개설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대연출장소 감만동에서 부산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감만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에서 부산직할시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부산직할시 감만동에서 부산직할시 남구 감만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남구 감만동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으로 개편 |
법정동 | 감만동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감만동(戡蠻洞)은 감만포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다. 감만포에는 조선 초부터 수군 진영이 있었는데, 왜인[오랑캐]이 수시로 부산 앞바다에 쳐들어 와서 문제를 일으키자 수군을 주둔시켜 오랑캐를 이긴다는 뜻으로 감만(戡蠻)이라 하였다. 일설에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왜적을 이곳으로 유인해 전멸시켜 감만이란 이름이 생겼다고도 하나 임진왜란 이전부터 있었던 지명으로 보인다.
[형성 및 변천]
감만동에는 조선 전기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되었다가, 태종 때 울산 개운포로 옮겨졌으며, 1635년(인조 13) 다시 감만포에 수군영이 주둔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은 변화를 통해 볼 때 조선 초부터 마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동명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남촌면 하단 감만리로 처음 확인되며, 『경상남도 동래부 가호안(慶尙南道機張郡家戶案)』[1904]에는 동래군 남하면(南下面) 감만동이 있었다. 1910년 동래부가 폐지되며 부산부에 속하게 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부 서면 감만리가 있었다. 1936년 부산진출장소 감만리가 되었고, 1949년 부산부가 폐지되며 부산시가 되었으며, 1953년 대연출장소 감만동이 된다.
1957년에는 구제(區制) 시행으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가 되었고,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73년 대연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으며, 1975년 남구가 신설되었다. 1979년 행정동 조정으로 감만동이 감만 1동과 감만 2동으로 분동되었다. 1982년 법정동 명칭 변경 및 경계 조정으로 적기동 5가는 감만동에 흡수 폐지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으로 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자연 환경]
감만동은 북쪽으로 샘물터산, 남동쪽으로 홍곡산이 접해 있으며, 남서쪽으로 남해안과 접한 배산임수 지형이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3.55㎢이며, 인구는 7,346가구에 총 1만 5,347명으로 남자가 7,695명, 여자가 7,652명이다. 법정동인 감만동은 행정동 감만 1동과 감만 2동으로 나누어져 있다. 자연 마을로는 감만 마을, 모래구찌 마을, 적기 마을이 있었다. 감만동은 부산광역시 남구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북쪽은 우암동, 동쪽은 대연동 및 용당동과 접하여 있다. 샘물터산과 혹곡산 사이를 동서로 관통하는 석포로를 중심으로 시가지가 발달해 있고, 바다와 접한 서쪽은 크고 작은 기업이 위치해 있다. 산지의 경사지에 발달한 시가지는 광복 이후 일본에서 귀환한 동포와 6·25 전쟁 당시 피난민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8.02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3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8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3.55㎢이며, 인구는 9천 732가구에 총 2만 1,060명으로 남자가 1만 620명, 여자가 1만 440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3.55㎢이며, 인구는 9천 890가구에 총 2만 2,223명으로 남자가 1만 1,224명, 여자가 1만 999명이다. |
2019.09.25 | [자연환경] 오자 수정 | 혹곡산->홍곡산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