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637 |
---|---|
한자 | 南區 |
영어의미역 | Nam-g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성격 | 행정 구역 |
---|---|
면적 | 26.82㎢ |
가구수 | 117,821가구 |
인구(남, 여) | 267,422명[남 130,654명|여 136,768명] |
개설 시기/일시 | 1975년 - 부산직할시 남구 개설 |
변천 시기/일시 | 1980년 - 재송동 일부가 남구에 통합 |
변천 시기/일시 | 1982년 - 범일동 일부가 남구 문현동에 흡수 |
변천 시기/일시 | 1987년 - 동래구 연산동 일부가 남구로 편입, 남구 망미동 일부가 연산동에 흡수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광역시 남구의 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이 수영구로 분구, 부산직할시 남구에서 부산광역시 남구로 개편 |
행정 구역 | 남구 - 부산광역시 남구 |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명칭 유래]
남구(南區)는 동래부의 읍성이 있던 읍내면 남쪽에 있어 조선 후기 남촌면(南村面)으로 불렸다. 1951년 구제(區制)가 시행되며 옛 지명을 따와 남구가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남구 지역은 삼한 시대에는 변한, 삼국 시대에는 대증현, 통일 신라 시대에는 동래군에 속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양주군에 편입되어 있었고, 조선 초에는 동래진에 소속되었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남촌면(南村面) 상단(上端)[숭정리·동부리·서부리·북문외리·남문외리·축산리·감포리·칠포리]과 하단(下端)[포이포리·남천리·대연리·석포리·분포리·용당리·감만리·우암리]에 속하였다.
『경상남도 동래부 가호안(慶尙南道機張郡家戶案)』[1904]에는 남상면(南上面)[구락동·북외동·남외동·서일동·서이동·서삼동·동일동·동이동·동삼동·감포동·덕민동·평민동·호암동·남천동]과 남하면(南下面)[대연동·용소동·지곡동·당곡동·용호동·용당동·감만동]이 기록되어 있다.
1910년 부산부 남면(南面)[남상면 대부분과 남하면 일부 포함]과 용주면(龍珠面)[남하면 일부]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남구에 속한 지역은 동래부 용주면[대연리와 남천리 일대]과 서면[용당리·감만리·우암리·문현리 일대], 남면[현재의 수영구 일대]으로 분할되었다. 1936년[부산부 출장소 설치 직전의 행정 구역]에는 서면[문현동·대연동·우암동·용호동·용당동·감만동]과 남면[남수동·광안동·남천동·망미동·민락동]에 속하였다.
1936년 문현리·대연리·용당리·용호리·우암리·감만리가 속한 부산진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42년 동래군의 수영과 해운대 일부가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수영출장소가 설치되며 남천동·수영동·광안동·민락동 등을 관할하였다. 1949년 부산부가 폐지되고 부산시가 되었으며, 1953년 부산진출장소에서 분리되어 대연동·용호동·용당동·감만동·남천동·우암동을 관할하는 대연출장소가 설치되었고, 수영출장소에서 해운대출장소[우동·중동·좌동 관할]가 분리되며 수영동·광안동·민락동 관할로 수영출장소 구역이 축소되었다.
1957년 구제 시행으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와 동래구 수영출장소가 되었고, 1963년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73년 부산진구 대연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고, 1975년 대연출장소 및 수영출장소가 폐지되며 부산진구 문현동을 합해 남구가 신설되었다. 1976년 우암동이 우암 1동과 우암 2동으로 분동되고, 1979년 감만동이 감만 1동과 감만 2동으로, 수영동이 수영동과 망미동으로 분동되며 광안동 일부가 망미동에 편입되었다.
1980년 망미동과 이웃한 재송동 일부가 남구에 편입되었고, 1982년 법정동 명칭 변경 및 경계 조정으로 범일동 일부가 문현동에 흡수되고, 적기동 1가는 문현동에 흡수 폐지되며, 적기동 2·4가는 우암동에 흡수 폐지, 적기동 5가는 감만동에 흡수 폐지, 남천동과 광안동의 일부는 대연동에 편입, 망미동 일부는 수영동에 편입되며 행정동 조정도 함께 이루어져 용호 1동이 용호 1동과 용호 3동으로, 망미동이 망미 1동과 망미 2동으로, 광안 2동이 광안 2동과 광안 4동으로 분동되었다.
1983년 용호 2동이 용호 2동과 용호 4동으로, 남천동이 남천 1동과 남천 2동으로 분동되었고, 1987년 동래구 연산동 일부가 남구로 편입되는 동시에 망미동 일부가 연산동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부산진구 범천동 일부가 남구 문현동으로 편입되는 행정 구역 조정이 있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승격하였고, 법정동 경계 조정으로 민락동 일부가 수영동에 편입되었으며, 남구의 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이 수영구로 분구되어 나갔다. 1999년 행정 구역 경계 조정으로 남구 대연 3동 일부를 남천 1동에, 남천 1동 일부를 남구 대연 3동에 편입하였다.
[자연 환경]
남구는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하고 남해와 동해를 나누는 분기점인 오륙도를 포함하고 있다. 황령산 자락이 해안선으로 이어지는 배산임해의 입지 공간을 가지고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26.82㎢이며, 인구는 11만 8,427가구에 총 26만 899명으로 남자가 12만 7,288명, 여자가 13만 3,611명이다. 개청 당시 31.16㎢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인 경계 조정 등으로 34.44㎢로 늘어났다가, 수영구와 분구가 되면서 24.5㎢로 조정되었다가 해안 매립 등으로 현재의 면적을 유지하고 있다.
남구는 부산의 남쪽 끝에 위치하여 북쪽으로 부산진구, 동쪽으로 수영구, 서쪽으로 동구와 접해 있다. 관내에는 부산의 상징이자 국가 지정 명승인 오륙도와 천혜의 해안 절경으로 유명한 이기대 도시 자연공원, 신선대 유원지 등이 소재하고 있다. 또한, 부경대학교, 경성대학교 등 5개 대학과 57개의 교육 시설을 비롯하여 부산 문화 회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세계에서 유일한 유엔 기념 공원 및 평화 공원 등이 있어서 부산의 교육,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세계 5대 컨테이너항의 중심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항만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1995년 황령산과 대남 로터리를 경계로 수영구와 분구됨에 따라 20개 동으로 조정되었다가 행정 구역 간소화로 1999년 문현 2동과 문현 5동이 문현 2동으로 통합되어 현재 19개 동이 있다. 구의 상징물로는 구화인 목련, 구목인 은행나무, 구조인 비둘기가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8.01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8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8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26.82㎢이며, 인구는 11만 7,876가구에 총 27만 3,144명으로 남자가 13만 3,785명, 여자가 13만 9,359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26.82㎢이며, 인구는 11만 7,397가구에 총 28만 852명으로 남자가 13만 7,667명, 여자가 14만 3,185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