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446
한자 韓國海洋水産硏修院
영어공식명칭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이칭/별칭 한국어업기술훈련소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67[동삼동 1125-5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 기관
전화 051-620-5710
홈페이지 한국해양수산연수원(http://www.seaman.or.kr/)
설립 시기/일시 1998년 1월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7월 - 한국원양어업기술훈련소 창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8년 7월 - 한국어업기술훈련소 재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6월 - 국립부산선원학교 부설 한국해기연수원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1월 - 한국어업기술훈련소와 한국해기연수원을 통합하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발족
최초 설립지 한국원양어업기술훈련소 - 부산광역시
주소 변경 이력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125-56지도보기
현 소재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67[동삼동 1125-56]지도보기
관련 기관/단체 용당 캠퍼스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56번길 93[용당동 90-8]지도보기
분원 인천사무소 - 인천광역시 남구 주안동 130-3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해양 수산 전문 인력 교육 기관.

[설립 목적]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법」 제1조 해양 수산 인력의 교육·기술 훈련 등에 관한 업무 수행으로 해양·수산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65년 7월 한국 정부와 유엔 개발 계획[UNDP]의 공동 사업[어업 기술 훈련 사업 기본 협정]으로 한국원양어업기술훈련소를 창설하였다. 1978년 협정 기간 만료에 따라 1978년 7월 한국어업기술훈련소를 재설립하였다. 1983년 6월 국립부산선원학교 부설 한국해기연수원을 설립하였다. 1998년 1월 1일 「한국해양수산연수원법」[법률 제5364호]에 따라 한국어업기술훈련소와 한국해기연수원을 통합하여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을 발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해양 수산 종사자의 가치 증진을 위해 교육 훈련 연구 개발 자격 검정, 해양 수산 관련 종사자의 교육과 훈련, 선원 정책 수행을 위한 정부 지원 업무, 해양 수산 기술 교육에 관한 국제 교류 증진을 위한 사업, 정부로부터 수탁한 해기사 국가 기술 자격 검정, 해운과 항만 및 어업 기술의 연구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황]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하부 조직으로 교육연구처, 항해훈련처, 신성장교육처, 경영지원처, 시험관리실 등을 두고 있다. 교육연구처는 교육기획팀, 고객지원팀, 운항교육팀, 기관교육팀 등을 두고 있으며, 그 가운데 교육기획팀은 인천사무소에 있다. 항해훈련처는 선박운영팀과 양성교육팀 등으로, 신성장교육처는 해양플랜트교육팀과 인적자원개발팀 등으로 각각의 업무를 분할하고 있다. 경영지원처는 전략기획팀, 경영지원팀, 계약관리팀 등을 두고 있으며, 시험관리실에는 시험운영팀이 있다. 원장 직속으로 감사 평가단과 부설 기관인 선박운항기술연구소를 두고 있다.

2013년 기준, 임원으로 기관장 1명[상임], 이사 9명[비상임], 감사 1명[비상임]이 있으며, 직원은 정원 143명에 현원 132명이 있고, 비정규직 9명 등이 종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국가적 인재를 육성하는 전문 교육을 지향하며, 교육 선진화를 통한 국제적 기준의 교육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해* 소형 선박 면허 시험 일정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사전은 부산 지역의 향토 문화를 소개하는 사전으로 해당 기관과 관련이 없습니다. 문의는 기관으로 직접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9.12.2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