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397
한자 釜山纖維-産業聯合會
영어공식명칭 Busan Federation of Textile & Fashion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57[우동 1457] 부산디자인진흥원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섬유업 단체
전화 051-744-6321
홈페이지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http://www.fashioncity.or.kr)
설립 시기/일시 1996년 10월 22일연표보기 - 설립 허가 취득
이전 시기/일시 1998년 6월 17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363-14에서 금정구 부곡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7년 4월 10일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서 해운대구 우동 1457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8월 13일 - 발기인 총회 및 창립총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9월 8일 - 사무실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2월 1일 - 회원 업체 공개 모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월 25일 - 부산섬유패션진흥원의 건립[안] 발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4월 24일 - 부산 섬유 패션 산업의 기업 간 전자 상거래 사업 설명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5월 1일 - 섬유 패션 산업체 전자 상거래 구축을 위한 사무소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7월 13일 - 사단 법인 설립 허가 등록처를 부산광역시에서 산업자원부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5월 8일 - 모직물진흥원[부산디자인진흥원] 건축 설계 실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7월 1일 - 경남직물공업협동조합을 특별 회원 단체로 영입
최초 설립지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363-14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
현 소재지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57[우동 1457] 부산디자인진흥원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섬유 패션 산업 관련 단체.

[설립 목적]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는 침체된 부산 경제와 부산 섬유 패션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여 정책 개발 등의 제반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부산 지역을 동북아 섬유 패션의 기점 도시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 9개의 섬유 패션 관련 단체가 모여 설립하였다.

[변천]

1996년 8월 13일 발기인 총회 및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96년 9월 8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363-14번지에 사무실을 개소하고, 10월 22일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의 설립 허가를 취득하였다. 1996년 12월 1일 회원 업체를 공개 모집하였다. 1997년 1월 자문 기구인 정책전문위원회가 12명의 위원으로 발족하였다. 1998년 6월 17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363-14번지에서 금정구 부곡동으로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1999년 1월 25일 부산섬유패션진흥원의 건립[안]을 발간하였다.

2000년 4월 24일 부산 섬유 패션 산업의 기업 간 전자 상거래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2000년 5월 1일 섬유 패션 산업체 전자 상거래 구축을 위한 사무소를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내에 개설하였다. 2001년 7월 13일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가 설립 허가 등록처를 부산광역시에서 산업자원부로 이관하였다. 2003년 5월 8일 모직물진흥원[부산디자인진흥원] 건축 설계를 하였다. 2003년 7월 1일 경남직물공업협동조합을 특별 회원 단체로 영입하였다. 2007년 4월 10일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서 해운대구 우동 1457번지 부산디자인진흥원 내로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는 섬유 패션 산업 활성화에 대한 제반 정책 사항을 자문 및 지원하며, 지역 전략적 육성 산업의 기반이나 환경을 조성하며, 섬유 패션 상품에 대한 기획력 및 영업 활동을 강화하고, 기술 기반을 강화하며 생산 구조를 합리화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산·학·관·연 협력을 통한 연구 개발 체제를 확립하고, 산업 내 인력을 양성하고 수급 체제를 강화하며, 관련 종사자에 대한 연수와 교육 제도를 확립하여 해당 산업 내 인적 자원을 육성시키고자 한다.

동북아의 섬유 산업 중심 도시로 나아가기 위하여 국제화·개방화의 기반을 확충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확립하며, 부산광역시나 정부 기관의 정책 지원 및 건의 활동을 전개한다. 부산섬유패션진흥원을 건립하고 정책 싱크 탱크를 지원하며, 기타 섬유 패션 산업 연합회를 운영하고, 국제 공동 사업의 추진과 부산 섬유 패션 산업의 홍보, 세미나 및 토론회 등을 개최하여 부산 섬유 패션 산업의 저변을 보다 확대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부산 국제 섬유 패션 전시회, 섬유 패션 대축제[텍스타일 및 패션 디자인 대전, 전통 의상 공모전, 브랜드 패션쇼] 등을 개최하여 부산 지역의 섬유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는 고문, 이사회, 21C부산섬유패션산업발전위원회와 정책자문위원회, 분과위원회의 3개 위원회와 사무국, 니트분과·염색분과·직물분과·패션분과·소모/방모분과·재단/재봉분과·산학협력분과의 7개 분과가 있다. 일반 회원·단체 회원·특별 회원으로 구성된 회원 업체로 조직되어 있다. 일반 회원 업체의 수는 30개이며, 단체 회원 업체는 부산니트공업협동조합·부산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부산직물공업협동조합·경남직물공업협동조합 등 334개, 특별 회원 39개가 가입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 속에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세계 경제 동향 및 패션 경향 등의 정보와 업계 소식을 제공하여 부산 지역 섬유 패션 산업의 경쟁력강화에 일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http://www.fashioncity.or.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9.04 기관명 현행화 부산디자인센터 -> 부산디자인진흥원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