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821
한자 大宇-
영어공식명칭 Daewoo Bus Corporation
이칭/별칭 대우버스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 74-1[전포동 188-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조업체
전화 051-520-5125
홈페이지 대우버스(http://www.daewoobus.co.kr)
설립 시기/일시 1955년 2월연표보기 - 신진공업사로 설립
이전 시기/일시 2003년 4월 -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199-17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88-9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8년 1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88-9번지에서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65년연표보기 - 신진공업사에서 신진자동차공업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1년연표보기 - 신진자동차공업에서 GM코리아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6년연표보기 - GM코리아에서 새한자동차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3년연표보기 - 새한자동차에서 대우자동차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2년 8월연표보기 - 대우자동차에서 대우버스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0년 - 부산시 부산진구에 신진공업사 부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 새나라자동차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8년 9월 - 국영 한국기계공업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6년 - GM코리아의 신진 자동차 보유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8년 - 대우그룹에 편입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4월 - 영안컨소시엄과 매각 본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6월 - 코스타리카 법인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 베트남 법인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 중국 상하이 법인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 1억 불 수출의 탑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월 - 카자흐스탄 법인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0월 - 파키스탄 법인 설립
최초 설립지 대우버스 -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199-17
주소 변경 이력 대우버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88-9
주소 변경 이력 대우버스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당동 254-6
현 소재지 대우버스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당동 254-6
현 소재지 대우버스 동래 공장 -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단로 50번길 31[금사동 75-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었던 자동차 제조업체.

[변천]

1955년 2월에 UNKRA[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유엔 한국부흥기관] 계획에 따라 김창원과 김재원이 대우버스의 전신인 신진공업사를 설립하였다. 1960년에 부산시 부산진구에 신진공업사 부산 공장을 준공하였다. 1965년에는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해 신진자동차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종합 자동차 회사로 도약한 신진자동차공업은 1968년 9월에 국영 한국기계공업을 인수해 생산 규모를 확장해 나갔으며, 일본 토요타자동차와 합작해 버스, 트럭은 물론 퍼블리카, 코로나, 크라운 등 승용차를 생산, 판매해 국내 자동차 전문 메이커로 성장하였다. 1971년에 토요타자동차가 철수하면서 미국 제너럴 모터스[GM]를 새로운 파트너로 삼아 1대 1 비율로 지분을 출자한 GM코리아(GM KOREA)[GMK]를 설립하였다.

1973년에 오일 쇼크로 인한 판매 부진으로 경영이 부실화되어 1976년에 GM코리아의 신진 자동차 보유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게 되었고, 회사 명칭이 ‘새한자동차’로 바뀌게 되었다. 1978년에 대우그룹에 편입되어 1983년에 대우자동차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9년에는 대우그룹의 구조 조정에 이어 워크아웃이 결정되면서 2000년 11월에 최종 부도 사태를 맞았다.

2002년 8월에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에서 정리 회사 대우자동차의 버스 사업 관련 자산 및 부채를 인수하여 대우버스가 설립되었다. 2003년 4월에는 영안 컨소시엄[영안모자]과 매각 본계약을 체결하면서 영안 계열사로 편입하였고, 본점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으로 이전하였다. 2005년 6월에 코스타리카 법인을 설립하였고, 그해 11월에는 베트남 법인을, 같은 해 12월에는 중국 상하이[上海]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6년 12월에 1억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2007년 1월에는 카자흐스탄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8년 1월에 본점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으로 이전하였으며, 그해 10월에 파키스탄 법인을 설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우버스는 버스의 설계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며, 한국 공장의 경우 연간 6,000대 이상의 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 공장에서 주로 생산되는 버스는 전장 9m 이상의 중대형 버스로, 시내버스와 시외버스, 관광버스, 일반 및 우등 고속버스 등을 공급하고 있다. 대우버스 기술연구소에서는 자체 기술력으로 천연가스 버스와 초저상 버스 등을 개발하였으며, 자체 섀시 설계 및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해외 사업자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사업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현황]

2012년 12월 기준 대우버스의 자본금은 351억 5800만 원이며, 매출액은 4056억 7100만 원이다. 상시 종업 수는 1,000명이다. 경영진으로 공동 대표 이사 2명과 사내 이사 1명, 감사 1명이 있다. 대우버스의 최상위 지배 회사는 자일자동차[구 대우버스글로벌]이다. 회사의 종속 회사는 Daewoo Bus Costarica S.A, Vietnam Daewoo Bus Co., Ltd., 자일자동차판매[구, 대우자동차판매] 및 코래드이다.

국내 사업장으로 자일자동차와 대우버스 울산 공장, 대우버스 동래 공장, 출고 사무소, 그리고 본사가 있다. 자일자동차는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 202-1번지에 있다. 대우버스 울산 공장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길천리 1-26번지에 있으며, 대지 면적은 7만 3847㎡, 생산 능력은 연간 7,000대이다. 대우버스 동래 공장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75-11번지에 있으며, 대지 면적은 3만 1797㎡, 생산 능력은 연간 2,000대이다. 출고 사무소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길천리 길천 산업 단지에 있다. 본사는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도당동에 있다.

대우버스가 직접 투자한 6개국 7개소의 현지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해외 생산 법인으로 중국 계림 법인[Guilin Daewoo Bus Co., Ltd.], 중국 상하이 법인[Shanhai Wanxing Automobile Co., Ltd.], 베트남[Vietnam Daewoo Bus Co., Ltd.], 코스타리카[Daewoo Bus Costa Rica S.A.], 카작[Daewoo Bus KAZAKhasta LLC], 타이완[Master Transportaion Bus Manufacturing Co., Ltd.], 파키스탄[Daewoo PAK Motors[PVT.] Ltd.]가 있다.

[의의와 평가]

대우버스는 1963년에 최초의 국산 승용차 ‘신성호’를 개발, 생산한 것을 비롯하여 50여 년 동안 버스만을 생산하여 왔다. 기술과 경험이 축적된 버스 전문 생산 기업으로 국가 산업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 김태현, 『부산 기업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04)
  • 대우버스(http://www.daewoobus.co.kr)
  • 부산인적자원개발원(http://bhrdi.or.kr)
  • 영안모자(http://www.youngan.co.kr)
  • 코참비즈(http://www.korchambiz.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