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290
한자 自動車-製造業
영어의미역 Automobile and Trailer Manufacturing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완성 차량, 자동차용 엔진, 자동차 차체 및 트레일러, 자동차용 부품 등을 제조하는 업종.

[사업체와 종사자]

부산 지역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1999년 139개사에서 2001년에는 182개사로 증가했으나 2003년에는 151개사로 감소하였다. 2003년 이후로 다시 증가하여 2007년에 200개사에 이르렀지만 2009년 현재는 172개사이다. 종사자 수의 추이도 기본적으로는 사업체 수의 추이와 유사하였다. 1999년 7,439명, 2001년 1만 209명, 2004년 9,498명, 2007년 1만 1,345명이었으며 2009년 현재는 9,418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출하액]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출하액 추이를 보면 다소의 기복을 포함했지만 2008년까지 증가 경향을 보여 왔다. 1999년 7942억 2,400만 원에서 2008년에는 5조 3864억 4500만 원에 이르고 있다. 2009년 현재는 4조 9110억 3800만 원이다. 부가 가치의 경향도 기본적으로 증가 경향을 보여 왔지만, 그 증가가 출하액의 증가에는 못 미쳐 양자의 격차가 확대되어 왔다. 2009년 현재 1조 5528억 2,100만 원이다. 이는 부가 가치율에서도 확인된다. 2000년의 47.5%를 정점으로 감소한 이후에 35% 전후를 기록해 왔고, 2007년 이후로 더욱 감소하여 2009년 현재는 31.6%를 기록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전국 대비 비율]

부산 지역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사업체의 경우 비율이 경향적으로 하락해 왔다. 2001년의 7.4%를 정점으로 감소하여 2009년 현재 5.7%이다. 종사자 수 비율과 급여액 변화도 기본적으로 사업체 수 비율의 변화 경향과 유사하였다. 다만 종사자 수의 비율이 사업체 수의 비율보다 낮고, 급여액의 비율은 종사자 수의 비율보다 더 낮다. 2009년 현재 종사자 수의 비율은 3.8%이고, 급여액의 비율은 2.86%이다. 부가 가치의 비율은 다소의 기복을 포함했지만 증가하였다. 1999년 1.6%에서 2009년 현재 4.4%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여전히 사업체 수의 비율보다 낮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사업체당 지표를 전국과 비교해 보면 종업원 평균 임금이 전국과 비슷한 수준에서 하락하여 80% 수준에서 변동하고 있다. 사업체당 종사자 수도 전국의 60% 수준이다. 사업체당 생산액과 사업체당 부가 가치의 변화 경향을 보면 다소의 변동을 포함하고 있지만 증가하고 있다. 1999년에는 전국의 20% 수준에 불과했지만 2009년 현재 사업체당 생산액은 76.1%, 사업체당 부가 가치는 77.4%에 이르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내 비율]

부산 지역 제조업에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사업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4% 전후로 낮다. 종사자 수의 비율은 사업체 수의 비율보다 높고, 변화 경향은 사업체 수의 변화 경향과 유사하였다. 사업체 수의 비율은 2007년이 5.0%로 가장 높았고, 2009년 현재는 4.5%이다. 종사자 수의 비율은 2007년에 8.6%였고, 2009년 현재는 7.5%이다. 급여액의 비율 변화 역시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의 변화 경향과 유사하였다. 다만 변동성이 좀 더 컸고, 종사자 수의 비율에 비해 높았다.

부가 가치의 비율도 2004년의 극심한 비율 하락을 예외로 하면 2007년까지 증가하였다. 2007년에 15.9%까지 비율이 증가했다가 이후로 감소하여 2009년 현재 12.4%이다. 전체적으로 사업체 수의 비율에 비해 종사자 수의 비율이 높고, 급여액이 종사자 수의 비율에 비해 높다. 또 다른 부문과 달리 부가 가치의 비율이 사업체의 비율에 비해 현저히 높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 국가 통계 포털(http://kosis.kr)
  • 통계청(http://kost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