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38 |
---|---|
한자 | 韓國土地住宅公社釜山蔚山地域本部 |
영어공식명칭 |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Busan Branch |
이칭/별칭 | LH 부산울산지역본부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24[초량동 119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희완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속 지역 본부.
[설립 목적]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부산, 울산 지역 내 토지의 취득·개발·비축·공급, 도시의 개발·정비, 주택의 건설·공급·관리 업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안정과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대한주택공사법」에 근거하여 1962년 7월 1일 대한주택공사 부산사무소로 개소하여 1974년 10월 1일 대한주택공사 부산지사로 승격되었다. 1977년 토지금고[한국토지공사 전신] 부산지사가 개설되어, 1979년 한국토지공사 부산지사가 되었다. 1980년 1월 5일 대한주택공사 부산지사는 부산 지역을 포함한 경상남도를 관할하는 대한주택공사 경상남도지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4년 1월 15일 대한주택공사 경상남도지사 관할 구역에서 부산 지역이 분리되었다.
2004년 1월 한국토지공사 부산지사는 한국토지공사 부산울산지사로, 2005년 1월에는 한국토지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로 개칭되었다. 2009년 4월 한국토지주택공사법이 의결된 이후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통합되었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09년 10월 1일 공식 출범한 후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가 개설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일원을 관할 구역으로 하며 주거 안정, 도시 개발, 국토 관리, 연구 기술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주거 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택 공급 사업, 주거 복지 사업, 택지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주거 복지 사업으로 주거 수준이 열악한 저소득층 등을 대상으로 이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서 매입 임대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도시 개발을 위해서는 공공 기관 지방 이전과 혁신 도시 건설 사업, 신도시 건설 사업을 펴고 있다. 또 주거 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정비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을 개량하여 도시 환경 및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정비 사업을 펴고 있다. 그리고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도시 개발을 위한 도시 개발 사업, 공사의 택지 개발 노하우와 민간 부문의 아이디어를 결합한 공공-민간 합동형 복합 단지 개발을 위한 PF(Project Financing)[프로젝트를 통해 자금 조달] 사업, 1개소 이상의 집중된 에너지 생산 시설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다수 사용자에게 일괄 공급하는 집단 에너지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국토 관리를 위해 토지 가격 안정을 위한 국가 차원의 토지 수급 관리 시스템인 토지 은행을 운용하고 있으며, 국토·주택 공간 정보를 전산화하여 각종 정책 등에 활용하는 사업인 국토·주택 정보화 사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경제 자유 구역 사업, 산업·물류 단지 건설은 물론 국가·지자체·공기업 등이 의뢰한 사업들을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연구 활동, 품질 시험, 안전 진단, 중소기업 지원 사업, 문화재 조사 사업, 건축물 인증서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황]
2012년 12월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1명의 본부장을 비롯하여 총 172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2012년 10월 기준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정관면 달산리 일대에 국민 임대 아파트를 공급하였다.
[의의와 평가]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부산 지역 주거 생활의 향상 및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