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731
한자 -釜山
영어공식명칭 Air Busan
이칭/별칭 에어부산주식회사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황령대로 24[범천동 853-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식회사|정기항공 운송업체
설립자 신정택
전화 051-410-0800
홈페이지 에어부산(http://www.airbusan.com/)
설립 시기/일시 2007년 8월 1일연표보기 - 부산국제항공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08년 2월 12일연표보기 - 부산국제항공에서 에어부산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 11일 - 정기 항공 운송 사업 면허 취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1월 - 서비스 혁신 부문 최우수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5월 - 대한민국 명품 브랜드 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9월 - 한국 서비스 품질 우수 기업 인증
최초 설립지 에어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황령대로 24지도보기
현 소재지 에어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황령대로 2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본사를 둔 항공사.

[설립 목적]

에어부산은 부산 지역의 항공 산업 발전, 부산 지역민의 항공편 이용 편의 증진, 지역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2007년 7월 부산항공설립추진위원회가 발족하였다. 2007년 8월 1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부산국제항공[납입 자본금 50억 4000만 원]으로 설립되었다. 2008년 2월 부산광역시와 아시아나항공과 투자 협약을 체결하였다. 2008년 2월 12일 에어부산으로 개칭하였다. 2008년 4월 항공기 도입 협약[B737 5대]을 체결하였다. 2008년 5월 부산광역시 주주 참여가 확정되었다.

2008년 6월 11일 정기 항공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2008년 9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부산 공항 서비스 지점,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에 김포 공항 서비스 지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 2동에 제주 공항 서비스 지점을 설치하였다.

2008년 10월 항공기 1, 2호기, 11월 항공기 3호기를 도입하였다[B737-500]. 2009년 3월 항공기 4호기를 도입하였다[B737-400]. 2007년 4월 항공기 5호기[B737-400]를 도입하고, 벡스코부산광역시 교육청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2007년 6월 스포츠 구단 부산아이파크[아이파크 스포츠]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9월 제주상공회의소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2009년 11월 고객 만족 경영 대상 서비스 혁신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 2월 항공기 6호기[B737-400]를 도입하고, 2010년 5월 2010 대한민국 명품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 1월 항공기 7호기[A321-200]를 도입하고, 2월 부산화교협회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2011년 9월 한국 서비스 품질 우수 기업 인증을 획득하였다. 2011년 12월 2011년 안전 우수 항공사로 선정되어 국토해양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2012년 3월 대한적십자사와 사회 공헌 제휴를 맺었다. 2012년 7월 지식경제부 및 지자체 공동 주관 우리 지역 일하기 좋은 기업에 선정되었다. 2012년 11월 일본 2012년 항공사 만족도 조사 종합 순위 5위, 저비용 항공사 1위를 달성하였다. 2012년 12월 항공기 9호기를 도입하였다[A320-200]. 2013년 4월 항공기 10호기를 도입하였다[A321-200].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에어부산은 2008년 10월 27일 부산~김포 노선 첫 취항 후 4년간 7만 4,159회 운항하며 84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였다. 취항 노선은 국내 3개와 국제 9개 등 모두 12개 노선이다.

국내 3개 노선은 서울~부산, 서울~제주, 제주~부산 등이며, 국제 9개 노선은 부산~시안, 부산~칭다오, 부산~마카오, 부산~홍콩, 부산~세부, 부산~타이베이, 부산~후쿠오카, 부산~오사카, 부산~도쿄 노선 등이다.

2012년 10월 현재 부산~제주, 부산~타이베이, 부산~세부 3개 노선에서 1위의 시장 점유율을 점하고 있다. 부산~칭다오 노선은 2012년 6월 52.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였고, 부산~김포 노선은 50%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현황]

경영진으로 대표 이사 1명, 경영 실권자 1명, 감사 1명, 사내 이사 6명 등이 있다.

자본금은 500억 원으로 변화가 없다. 2008년 매출액은 58억여 원에 불과하였지만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2012년 현재 2207억여 원이다. 상시 종업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2년 현재 425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에어부산은 부산 지역 상공인과 부산광역시가 합작으로 설립하여 성공한 대표적인 저가 항공사로 평가받고 있다. 부산 지역의 항공 이용 편의는 물론이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