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져 내려온 신앙. 민간 신앙은 일반 종교처럼 교리나 교단이 체계화된 것이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예전부터 전승되어 오는 신앙을 말한다. 민간 신앙에는 크게 마을 단위로 그해 마을과 각 가정이 사고 없이 무사하고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는 공동 제의로서의 마을 신앙[당산제], 각 집안에서 집안의 평안과 풍요 및 자손의 번영을 위...
무속 신앙
-
부산에서 행해지는 죽은 이를 천도하는 동해안 세습무의 굿. 오구굿은 전형적인 사령제(死靈祭)로서 죽은 영혼들을 저승 세계로 안전하게 도착하게 해 주는 굿이며, 오귀굿이나 오구자리라고도 한다. 전통적으로 오구굿의 형식과 내용은 강원도[북부형], 경상북도[중부형], 경상남도[남부형]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경상남도 형은 울산과 부산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열린다. 원래 부...
-
부산광역시 기장지역에서 행해지는 죽은 사람의 혼을 천도하는 위령굿. 「부산 기장 오구굿(釜山 機張 오구굿)」은 부산 기장지역에서 강원도 강릉, 속초에 이르기까지 동해안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위령굿(천도제)의 하나이다. 같은 권역 내 마을지킴이 노릇과 풍농 풍어를 비는 마을굿, 고을굿인「동해안별신굿(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과는 그 목적이나 기능을 다른, 죽은 사람의 혼을 천도하...
가신 신앙
-
부산 지역에서 아이의 잉태와 출산 및 양육을 관장하는 삼신할미에게 올리는 개인 의례. 산신제(産神祭)는 아들을 얻으려고 지성을 드릴 때나, 아이 출산 후 삼칠일에 아이의 안전 및 무병 성장을 기원하며 삼신할미에게 개인적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삼신 모시기, 제왕 모시기 등이라고도 한다. 산신(産神)[삼신]은 기자(祈子)의 대상 신이며, 동시에 아이의 출산과 양육을 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역에서 가정마다 집을 지키고 보호해 주는 성주를 모시는 의례. 성주 모시기는 집안의 여러 신을 통솔하면서 가내의 평안과 부귀를 관장하는 가장 웃어른 가택신을 섬기는 의례이다. 이를 ‘성주 밥 올린다’, ‘성주 불 켠다’ 등이라고도 한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는 성주를 가옥의 중심에 좌정해 있는 남성 신으로 인식하고 있다. 보통 성주의 신체는 접은 한지...
-
부산 지역에서 집안의 재복(財福)을 주는 일을 맡은 신에게 베푸는 개인 제사. 업(業)은 가택신 중 하나로 창고에 머물며 그 집 재물의 증감을 관장하고 재물을 수호해 주는 신이다. 통상 업은 살아 있는 동물이 업신으로 여겨지는데, 부산 지역에서는 집안에 상주하는 두꺼비나 구렁이를 ‘업장군(業將軍)’이라 여겨 두꺼비는 ‘두지업’ 구렁이는 ‘진대업’이라 칭한다. 부자가 되기...
-
부산 지역에서 음력 2월에 바람을 관장하는 영동할미에게 올리는 의례. 영동할미제는 음력 2월 1일과 그믐에 바람신인 영동할미에게 가족의 안녕과 소원 성취 및 풍농을 기원하며 개인적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제석할매 바람 올리기’, ‘이월할만네 바람 올리기’, ‘이월할망제’, ‘장독할미제’, ‘할맘네 바람 올리기’, ‘영동할멈제’, ‘제석할미제’, ‘이월 제석할미제’ 등이라고도...
-
부산 지역에서 칠성신을 모시고 안가 태평을 기원하는 개인 의례. 칠성제는 금정구 금성동 산성 마을에서 설날, 정월 대보름, 추석, 자녀의 생일에 칠성신(七星神)을 대상으로 삼아 가정의 복락을 기원하며 개인적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칠성신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고 육체를 보존케 해줄 뿐만 아니라 가정의 평안과 복록을 관장하는 신(神)으로 숭상되고 있다. 칠성 신앙은 조왕 신...
마을 신앙
-
부산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당산제는 마을 주민의 안과태평과 산물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당산신에게 일정한 시간과 절차를 통하여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이를 지역에 따라 ‘동제’라고도 한다. 당산제는 대체로 정초나 1월 14일 밤 자정 무렵에 올리는 것이 통례인데, 보통 마을과 관련이 있는 당산에서 마을 주민 전체를 위해서 거...
-
부산 지역에서 자연 마을의 단위 주민들이 베푸는 공동 제의의 신. 당산신(堂山神)은 자연 마을을 외부의 재액으로부터 지켜 주며, 마을에 풍요를 보장해 주는 신이다. 당산신은 마을의 공동 제의인 당제[당산제]의 중심 신으로, 산신과는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나 중세에 산을 천신과의 교류처로 생각하여 신성시하였으며, 상고 시대에는 산신을 여신으로, 부권(夫權) 시대에는...
-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물과 바다를 맡아 다스리는 신. 용왕은 부산 지역의 민간에서 바다를 비롯한 마을의 우물과 샘물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마을 신앙과 가정 신앙에서 기우, 풍어, 풍년, 무사 항해 등을 기원하는 신이다. 수신(水神)의 상징적인 존재인 용(龍)을 지칭하는 용왕은 권역별로 존재하는 사해용왕으로 인식되고 있다. 동해안 별신굿에서의 용신은 동해를 관장...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가야1동 당산제는 매년 정월 대보름에 가야1동의 주택 단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당산제각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예전에는 가야1동 마을 유지들이 모여 조직한 ‘당산계’를 주축으로 제를 올렸는데, 마을 공동으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3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가야3동 당산제는 마을 주민들이 음력 10월 15일 오전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3동 산406-145번지에 있는 가야3동 산신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가야3동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는 알 수 없다. 제당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감전1동 당산제는 마을 주민들이 매년 음력 12월 14일 오전 11시 무렵에 서감전 할매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주는 음력 11월 말에 마을의 유지들이 모여 선정한다. 제의에 드는 경비는 마을의 40세 이상의 중·장년층들이 조직...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감전동 당산제는 1년 1회 음력 12월 15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산11-2번지에 있는 고석 할매와 할배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감전동 당산제에서 모시는 할머니를 ‘고석 할매’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40...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감천1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10월 초순에 산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천마산 신령에게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관은 마을의 노인들이 선정하며, 제의 경비는 관내의 기업체로부터 찬조금을 얻어 마련한다. 감천1동 산제당은 1934년에 건립되었...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1동 하당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감천1동 하당 당산제는 음력 10월 초순 무렵에 감천초등학교 앞에 있는 하당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의 최초 건립 연대는 미상이나 현 제당의 건립 연대는 2006년경으로 추정된다. 제당이 노후하여 다시...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감천2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을 기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2동 13-19번지에 있는 산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창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감천2동 산제당’이라고도 한다. 언제부터 당산제를 지냈는지는 모르나 바위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감천2동 옥녀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을 기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2동 93-1번지에 있는 옥녀 당산에서 1년에 1회 동네의 안녕과 해상에서의 무사고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의 최초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현재의 제당은 1971년 건립한 것이다. 제당...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대사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강동동 대사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10시 무렵에 대사리 화훼 단지 안에 있는 할배 당산[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246번지]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강동동 대사리 할배 당산제’라고도 한다. 강동동 대사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북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강동동 북정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1254-6번지에 있는 북정 당산[북정 마을 서북변]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덕도산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약 200여 년 전 낙동강 대홍수 때 물...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상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강동동 상곡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시(子時)[23~01시]를 기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상곡마을 348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강동동 상곡 당산제는 산신령과 제당 신령을 함께 모시고 있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수봉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강동동 수봉도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자정을 기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4230-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흉사 예방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수봉도 할배 당산제’라고도 한다. 옛날 낙동강에 홍수가 났을 때 팽나무 3그...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중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강동동 중곡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 오전 11시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3718번지에 있는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중곡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당산제는 약 180년 전에 제당을 세우고 지내기...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중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강동동 중덕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294-13번지에 있는 중덕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농작물의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100년 전에 건립했다고도 함]. 원래 당산나...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거제2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 오전 11시에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2동 80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거평 당산’이라고도 한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1962년이다. 옛날에는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 무렵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고촌리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에 마을 동쪽 산자락에 있는 할매 제당과 마을 입구의 소나무 아래에 있는 할배 제당 등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할매 제당은 1956년이고, 당...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4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광안4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5일 오전 7시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4동 1170-6번지에 위치한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 건립 연대는 1862년이고, 1961년에 재건, 1963년에 이축,...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괘법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12월 2일 낮 12시에 산신 할배당과 당산 할매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창날 당산’이라고도 한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1972년이다. 괘법의 지명이 창포→ 창법→ 창날→ 동괘→ 괘법으로 변하...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1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괘법동 하강선대 당산제는 음력 12월 1일 밤 자정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1동 712-1번지에 있는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예전에 배가 드나들었던 포구인 덕포(德浦)에는 2곳의 당산이 있다. 사상초등학교 뒤에 있...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1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괴정동 당산제는 매년 양력 5월 7일 정오에 괴정1동의 괴정성당 밑에 있는 산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괴정동 산제당’이라고도 한다. 당산제의 연원은 약 6백여 년 전이며, 제당이 건립된 것은 1915년이다. 제사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구랑동 봉화 당산제는 음력 정월 보름 오전 10시경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 14-3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공동의 제사였다. 2~3년에 1번 정도 지냈지만 특별한 행사가 있으면 제를 올리기도 했다. 연원은 알 수 없으나, 전설에 의하면 원래 제당과...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2동 두실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구서동 두실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5일에 두실 마을 있는 법해사[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2동 1013-4번지] 서쪽 500m 지점의 산기슭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구서동 두실 당산제를 지내는 제당...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 본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구칠리 본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 무렵에 마을 주민들이 협동하여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 산75-1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본동 마을의 당산 신은 당산 할배신, 당산 할매신이다. 당...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상신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구칠리 상신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 경에 마을의 동북쪽 산 중턱에 위치한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위하여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모시는 신체는 ‘Y’자형의 나무이다. 당산제의 제관은 마을 회의에서 선정하며, 당산제에 드는 경비는 마을의 각...
-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구평동 당산제는 음력 10월 14일 자정을 기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 산 52번지에 있는 천지 할배 당산과 산신당에서 동네의 안녕을, 구평동 442-6번지에 있는 천지 할매 당산에서 풍어와 무사고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언제부터 구평동 당산제를 시작하였는지 알...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 대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구포1동 대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을 기하여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 46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대리 당산[금강빌라 동쪽의 산기슭]에서 1년에 1회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당산 나무로 팽나무를 모시게 된 연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구포2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1일 낮 12시[정오]에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2동 741-3번지에 있는 천제당과 최씨 할매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공동의 제사였다. 현재 당산은 남아 있으나 구포2동 당산제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구포2동 당산제의 연...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공창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금곡동 공창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79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제당에서 1년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제주는 정초에 동회를 열어 선정했으나 지금은 사찰에 부탁하여 주지가 와서 지낸...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동원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금곡동 동원 마을에 당산 신앙이 형성된 시기에 대해서는 전하는 바 없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할 무렵부터 당산제를 모셔 온 것으로 여기고 있다. 한편, 진압 장군제(鎭壓將軍祭)의 연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련 설화가 구전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 마을에 호열...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화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금곡동 화정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금곡동에 있는 화방사 주지가 제관의 자격으로 참가하여 마을 대표 1명과 함께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금곡동 화정 당산제를 위한 제의 경비는 마을에서 갹출을 하여 마련한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금천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금사동 금천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오후 5시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산 54-5번지에 위치한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처음 금천 마을이 형성될 무렵에는 마을 밑에서 제당 없이 금사동 금천 당산제를 지냈으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공해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금성동 공해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산69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고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제당은 1972년에 건립한 것이다. 제당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죽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금성동 죽전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6시 해질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35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금성동 죽전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는 알 수가 없다. 현재의 제당은 197...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중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금성동 중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6시 해질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산28-2번지에 있는 중리 고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중리 고당 당산제’라고도 한다. 금성동 중리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는 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기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기룡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768-1번지에 있는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이를 ‘기룡리 당산 할매제’라고도 한다. 기룡리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는 알 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하근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기룡리 하근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31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옛날 하근 마을에 이씨 할머니와 박씨 할아버지가 최초로 터를 잡고 살았다. 두 사람이...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길천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산22-5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길천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이를 ‘길천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길천리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부민2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11시에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 94-216번지에 있는 천마산(天馬山) 할배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이를 ‘남부민2동 천마산 할배 당산제’라고도 한다. 남부민2동 당산제가 언제부...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3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남부민3동 당산제는 음력 시월 초하루나 초이틀 중에 좋은 날을 택하여 초저녁 무렵에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3동 151-5번지 천마산(天馬山)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공동의 제사였다. 이를 ‘남부민3동 천마산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언제부...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부민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 611번지에 있는 남산 고당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이를 ‘남산 고당 할매제’라고도 한다. 남부민동 당산제가 언제부터 행해졌는지는 알 수 없으...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천동 당산제는 매년 10월 2일 오전 10시에 금련산 산자락에 위치한 천신각(天神閣)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후직선녀, 천왕상제, 마고선녀 등에게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제관은 남천동의 몇 개 지역 단체에서 선정하며, 제의 경비는 어촌계에서...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내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내리 내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과 유월 14일 정오에 할배 당산과 할매 당산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제관은 이장이 맡아서 한다. 당산제에 드는 경비는 마을의 각 가정에서 걷는다. 내동(...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소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내리 소정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4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소정 마을의 옛 이름은 ‘솔정’이다. 집과 논밭으로 개척되기 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오신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내리 오신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과 6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산141-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 등에게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오신 마...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대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노포동 대룡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밤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69-1번지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노포동 대룡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는 알 수 없다. 노포동 대룡 당산은 대룡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녹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녹산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오전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474번지에 위치한 녹산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녹산동 당산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는 알 수 없다. 옛날에 마을의 한 노인이 다른 곳에서 영석(靈石)...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산양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녹산동 산양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732번지에 있는 산양사 경내의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녹산동 산양 당산제를 언제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다. 새마을 운동 당시 제당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성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녹산동 성산 당산제는 음력 4월 7일 오전 10시에 당산 할배인 사자 바위와 당산 할매인 소나무 밑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무당을 불러와서 제의를 치르며, 녹산동 성산 당산제에 드는 경비는 마을의 각 가정으로부터 추렴한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눌차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일 새벽[할매 당산제]과 1월 2일 자정[할배 당산제]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산15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할매 제당과 할배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눌차동은 내눌 마을, 외눌 마을, 정거 마...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다대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번지에 있는 주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서산성황대신, 북산성황대신, 동산성황대신 등에게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옛날에는 노인들이 모여 제관을 선정하였으나 지금은 무속인이 제의를 맡아서...
-
다대동 홍치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41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1970년 7월 조사에 따르면 제당 건립 연대는 1943년[昭和十八年癸未九月初九日戊戌時立柱上樑]이다. 제당은 건물 면적이 2.5㎡[0.7평, 앞면 165㎝, 옆면 150㎝...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달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달산리 달산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439번지의 달산 제당에서 21세기 초까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달산 할배 당산의 제당은 1931년에 건립되었고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4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화합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당감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4동 710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주민의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당감동 영숙사(永肅祠)와 어모장군단(禦侮將軍壇)’이라고도 한다. 영숙...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당리동 당산제는 음력 삼월 삼짇날 새벽 4~5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316-1번지의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당리 제석 할매당’이라고도 한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옛날에는 기우제를 지내던...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 당사 마을에서 마을의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당사리 당사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 305-1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1995년이다. 당사 마을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라리 사라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345-2번지에 있는 사라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평안과 풍요, 무사 형통 등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대라리 사라 당산제를 지내고 있는 제당은 1956년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원마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대라리 원마 당산제는 2007년 이전까지,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69-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1979년에 건립한 마을 제당은 2007년에 철거되었고, 대라리 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변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밤 10시 무렵 산신 제당, 골매기 할매당, 용왕당 등에서 지내고, 음력 6월 14일과 10월 14일 밤 10시 무렵 해룡사에 위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정월의 제의는 마을의 안과태평과 풍어를 미리 축원하는 제사이며, 6월의 제...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5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연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열사흘이나 열나흘 중 택일한 날 오전 10에 못골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무사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못골 당산제’라고도 한다. 대연동 당산제를 지내는 제당을 건립한 연대는 미상이다. 1964년 토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당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1동 당리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328-21번지에 있는 당리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동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리 마을이 형성된 뒤에 낙동강 제방 너머에 있던 강기슭에 제당을 건립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1동 대지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5일 새벽 5시에 대지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4개 마을[대지중촌 마을, 중리 1구 마을, 중리2구 마을, 대지하리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을의 형성과 더불어 제당이 있었다고 정확히는 알 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출두 번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1동 번덕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416번지에 있는 번덕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동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원래 출두리에는 세 개의 마을[당리 마을·신촌 마을·번덕 마을]이 함께 당산 할배·당산 할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사덕 상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1동 상리 당산제는 음력 1월 2일 밤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277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사덕 상리 당산제’라고도 한다. 대저1동 상리 당산제를 지내는 제당은 8...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평강 대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1동 평강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356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태평,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평강 대리 마을은 국도 제14호선에서 평강천을 따라 비행장 후문으로 가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금호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금호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9일 10시에 금호 마을에 있는 할배 제당[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3354번지], 할매 제당[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3869번지], 정자 제당[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3909번지]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덕두 본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덕두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에 덕두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덕두 당산의 제당은 100여 년 전에 마을의 평안과 풍작을 기원하여 건립하였으며, 1990년에 보수하였다. 제당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맥도리 동자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맥도리 동자 당산제는 매년 음력 섣달그믐 오후 5시~6시 무렵에 동자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동협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대저2동 맥도리에 속한 동자 마을과 장협 마을이 1978년에 합하여 동협 마을이...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본맥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본맥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이튿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4443번지에 있는 본맥도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대저2동 본맥도 당산제를 지내는 제당은 1850년 무렵에 마을의 안녕...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사두 마을과 용두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사두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5일 새벽에 사두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대저2동 사두 당산제에 대해서 2005년 현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제당은 대지 24.9...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울만리 설만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설만 당산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 오전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541번지에 있는 설만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매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대저2동 설만 당산제를 지내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맥도리 송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송백 당산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6044번지에 있는 송백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1895년 무렵에 제당을 건립하였는데, 현재 남아 있는 제당은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소덕리 신소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신소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1883번지에 있는 신소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매[왕씨 부인, 금씨 부인]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은 30여 년 전에 중건...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입소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저2동 입소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오전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337-12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울만리 입소 마을은 공군 비행장의 서쪽과 설만 마을의 서편에 있으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대항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항동 대항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 무렵에 대항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豐農豊漁)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1600년 무렵 마을이 형성될 때, 고을 할매에게 후사를 부탁한다는 뜻에서 돌무더기 제당을 세웠다가 1920년대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내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덕선리 내덕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 새벽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781번지에 있는 내덕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덕선리 내덕 할매 당산의 제당은 1946년에 건립하였다. 제당의 신격은 최씨 할배, 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선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덕선리 선암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276번지에 있는 선암 당산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덕선리 선암 박수호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덕선리 선암 당산제를...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3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덕천3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8시와 10시를 기하여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3동 청우 파크 아파트 뒤쪽에 있는 남산정 당산에서 1년에 2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덕천3동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옛날 이 마을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상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덕포동 상강선대 당산제는 매년 음력 12월 1일 밤 자정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417-6번지에 있는 상강선대(上降仙臺)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1888년도[무자년]~1894년도[갑오년]의 사상면 덕포리 거주민이 제출한 집단 소장...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5가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광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5가 1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동광동 논치 당산’이라고도 한다. 동광동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동광...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대신1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1동 11번지에 있는 할배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동대신1동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제당은 10...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대신2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2동 87-54번지에 있는 영령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영령 당산’이라고도 한다. 동대신2동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당...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동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백리 동백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23번지에 있는 남씨 할배 당산·김씨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농어물의 풍농풍어(豐農豊漁)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히...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새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백리 새마을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321번지에 있는 새마을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동백리 온정 당산제’라고도 한다. 동백리(冬柏里)는 동백...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부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405번지에 있는 동부리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동부리 당산제의 연원과 관련하여 정확한 연대를 고증하기는 힘들며, 보통 마을이...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삼동 상구룡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 326번지에 있는 상구룡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웃서발 당산제’라고도 한다. 동삼동은 영도의 동쪽에 있는 상리, 중리, 하리 등 3개의 마을을 가리...
-
부산시광역시 영도구 동삼3동 조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삼동 조도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3동 225-19번지에 있는 조도 당산에서 마을의 안과태평과 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조도(朝島)는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1776년]에는 조도(鳥島), 『청구...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삼동 하구룡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2동 790번지에 있는 당산 할배당을 중심으로 한 용왕당, 산신단 등지와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2동 861번지 하리 경로당 근처에 있는 당산 할매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동삼...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조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두구동 조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19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두구동 조리 당산제의 연원은 마을이 형성된 시기와 때를 같이 하지만 정확한 연대를 고증...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1동 사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만덕동 사기 당산제는 매년 음력 3월 삼짇날 정오 무렵에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1동 470-6번지에 있는 만덕 사기 당산에서 마을의 안과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사기 마을은 만덕사의 절터가 있는 곳이다. 만덕사지 당간 지주는 1972년 6월 26일...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 동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당산제의 연원은 흔히 마을이 형성된 시기와 같다고 보고 있으나, 정확한 연대를 알 수는 없다. 현재의 제당은 1973년에 건립되었다. 제당은 대지 20.5㎡에 면적 4.6㎡이며, 동남향을 하고 있다. 기와 맞배지붕에 블록을 쌓아 시멘트로 마감한 구조물이고, 문은 여닫이 두 짝 나무문...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 서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만화리 서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 산71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만화리 서리 마을에서 당산 신을 모시고 제의를 지내온 연원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매학리 상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매학리 상곡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아침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매학리 86번지에 있는 상곡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현재는 정관 신도시 건설로 인하여 지역이 크게 바뀌면서 마을 제사가 중단된 상황이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명례리 대명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례리 대명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과 6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명례리 40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안과태평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대명 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명례리 대명 당산제의 연원을 알 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명례리 신명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례리 신명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명례리 63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명례리 신명 마방지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삼성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래구 명륜 1동의 당산 신을 모신 삼성대 주산당은 1928년 2월 8일에 창건하고 1976년 11월 22일에 개축 준공하였으나, 1997년 3월에 지하철 부설 관계로 인해 지금의 위치[명륜동 이삭 빌라 남쪽의 길모퉁이]로 이전 건립하였다. 삼성대 마을에는 마을 당산 신...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륜동 주산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241번지에 있는 주산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명륜동 주산 당산제를 모신 시기와 당산 신의 내력에 대해서는 관련 문헌은 물론 구전 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장동 옥봉산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틀 자정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산54-5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명장동 옥봉산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이 본격적으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동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동리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3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1201번지에 있는 동리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명지동 동리 당산제의 특이한 점은 제당 안에 나무로 오리 형상을 만든 거릿대를 모시고 있다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사취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사취등 당산제는 매년 음력 12월 1일과 3일 사이와 매월 초순 무렵에 길일을 택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445번지의 청량사 경내에 있는 제당에서 당산 할매와 더불어 당산나무를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시고 동네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상신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상신 당산제는 매년 음력 섣달 그믐날 밤과 8월 14일 낮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2306-2번지에 있는 단물샘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명지동 상신 단물샘 당산’이라고도 한다. 당산 할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영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명지동 영강 당산제는 음력 1월 2일 오전 10시, 음력 4월 8일 정오, 음력 8월 15일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1444번지에 있는 마을 제당에서 1년에 세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구전에 의하면 8·15 해방 이후 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전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전등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저녁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2774-2번지와 명지동 2774-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당산신과 용왕신 등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전등 마을 사람들은 당...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조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조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새벽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112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당산 할배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조동 마을에서는 마을의 수호신으로 ‘별신대장’이라 칭하는 당산 할배를 모시는데, 이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중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중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 오전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1049-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할매신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을 주민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중리 마을에서는 약 25...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진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진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1589-7번지에 있는 할배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특이한 사항은 당산신의 신체가 나무로 만든 오리 형상이라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평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평성 당산제는 점바치[점쟁이]가 잡아준 날 저녁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964-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골대장군’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명지동 평성 마을에서는 당산신으로 골대장군을 모...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하신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사업 번창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하신 당산제는 음력 3월 무당이 정한 날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2018-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 그리고 가정의 안정 및 사업 번창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처녀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해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지동 해척 당산제는 음력 1월 2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960-1번지에 있는 당산 나무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명지동 해척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해척 마을 주민들...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모라동 할배 당산제는 음력 9월 15일 오시[11~13시]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1동 1365-1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모라동의 전설에 따르면, 할배 당산은 1500년 무렵에 세워졌다고 한다. 1600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 모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모전리 모전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 241번지에 있는 할매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모전리 모전 당산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고, 모전 마을이 형성되면서 제의도 시작되었을 것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 문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문동리 문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 251번지에 있는 골매기 한씨 할배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문동리의 당산 할배는 일설에 의하면 이 마을에 제일 먼저 들어와 마을을 일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중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문중리 당산제는 매년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중리 19-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당산 신으로 국씨 당산, 손씨 당산, 산신, 문중고래선생신 등에게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 신을 모시게 된 내력에 대해서는...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문현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에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2동 613-8번지에 있는 동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문현2동에서는 당산 신을 모신 제당을 ‘동제당’이라 칭한다. 구전 자료에 의하면 당산 신을...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4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문헌동 산제당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10시에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4동 1028-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문현4동에서는 마을 수호신인 당산 신으로 ‘당산 할배 나무’, ‘당산 할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와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미음동 와룡 당산제는 2009년까지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852번지에 있는 와룡 당산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미음동 와룡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민락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109번지에 있는 산신 할배당과 음력 10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106번지에 있는 골매기 할매당에서 마을 수호신으로 산신과 당산 할매를 각각 모시고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민락동 보리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산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백산의 산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민락동 백산 당산제’라고도 한다. 보리전은 지금의 수영교 부근을 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고무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룡리 고무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산73번지에 있는 고무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그런데 제당에 당산 신의 신체를 달리 모시고 있지 않아 당산 신의 신격을 정확...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구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룡리 구기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102번지의 할매 당산과 할배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주민들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당산제의 진행 방식은 유교식 제의 방식과 동일하다. 당산제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본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룡리 본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산5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지신(地神)인 당산 할매신을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반룡리 본리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2동 운봉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송2동 운봉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2동 16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반송2동 운봉 골매기 할매집’이라고도 한다. 운봉 마을에서는 제당에 특이하게도 신석...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새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송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5일 오전 4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1동 산16-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반송동 새마을에서 모시는 당산 신의 성격과 연원에 대한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무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여1동 무정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162-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제를 지낼 때 부정 타면 그해 제의를 모신 이가 당산 신의 노여움으로 죽게 된다는 속신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상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여1동 상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낮 12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162-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반여1동 상리 당산제를 모실 때에는 두 명의 제관이 각각 제당과 당산 나무에서 동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중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여1동 중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산11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기촌(起村) 할매, 고당(姑堂) 할매, 주산신령(主山神靈)의 신체인 신석(神石)을 모시고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4동 삼어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여4동 삼어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4동에 있는 중군진산(中軍陣山)의 동쪽 기슭에 있는 삼어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고씨(姑氏) 할매제’라고도 한다. 반여4동 삼어 당산제의 특...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방곡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 13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당산 신의 신격이며 동시에 기촌주인 박씨 할매와 홍씨 할배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방곡리에서 지금의 당산 신을 모시고 당산제...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백길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백길리 당산제는 매해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11시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백길리 16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고당 할매와 당산 할배에게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백길리에서 처녀신인 고당 할매를 모시고 제의를 베...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범일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32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또 당산제 이외에 용왕당에서 음력 매달 초3일에 용왕제를 지내고 있다. 당산제를 모시게 된 연유와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병산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산7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 나무는 신성한 나무로 함부로 손을 댈 수 없다 하여 절대 훼손하지 못하도록 하는 금기가 전하고...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보수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5일 오후 2시에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 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산신을 당산신으로 모시게 된 연유와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구전에 의하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3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부암3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3동 539-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어기모 부인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부암3동 어기모 부인 제사’라고도 한다. 마을 제당에서 모시는 마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부전1동 당산제는 음력 12월 납일(臘日)[납향날] 오전 11시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1동 403-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을 모시고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제가 시작된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전해지지 않고 있다. 당산제에서 모시는...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북산리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3~5일에서 택일한 날 오후 10시~11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2동 2번지에 있는 북산리 당산에서 할배신을 모시고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동대신2동 할배 당산제’라고도 한다. 현재 당산제가 약화되면서...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1동 석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사직동 석사 주산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 자정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1동 74-35번지에 있는 석사(石社) 주산당(主山堂)에서 마을 수호신을 모시고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석사 마을은 사직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이다. 사직동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여고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사직동 여고 주산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350-3번지에 있는 여고(余古) 주산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할배신[남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1740년(영조 16)의 『동래부지(東萊府誌...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삼락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0일 오시(午時)[11시~13시]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396-10번지에 있는 송령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삼락동 송령당 당산제’라고도 한다. 1992년 7월 15일에 건립...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삼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삼성리 삼성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산24-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삼성리 마을 제당은 할배 제당, 할매 제당, 장승 제당[거릿...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후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삼성리 후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산3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삼성리 후동 당산제가 언제부터 행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후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마음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생곡동 마음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869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음(馬音)은 ‘천마(天馬)의 울음소리’라는 뜻을 지닌 지명이다. 이곳에는 하늘 말이 울부짖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장락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생곡동 장락 당산제는 음력 1월 5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산6-63번지에 있는 당산 나무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강(安康)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생곡동의 동쪽에 있는 장락 마을은 서낙동강과 바로 접해 있다. 이곳은 조만강과...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4동 구덕령 꽃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서대신동 구덕령 꽃마을 당산제는 음력 1월 15일 새벽 4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4동 산60번지에 있는 꽃마을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은 꽃마을의 아래쪽인 산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서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서부리 할매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124번지에 있는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은 1949년 4월 16일에 지어졌는데, 제당에서는 당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상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대동 상리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136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상리 마을은 석대동의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인데, 이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하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대동 하리 당산제는 매년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468-1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하리 마을에는 오래된 나무들이 당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석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산리 당산제는 정월 대보름을 맞이하여 음력 1월 14일 자정에, 유둣날을 맞이하여 음력 6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석산리 산1-18번지에 있는 최장군 할배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석산리 최장군...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상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선동 상현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428번지에 있는 당산 할배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선동 상현 당산제를 베푸는 장소는 2곳으로, 당산 할배 제당 터는 개인...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하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선동 하정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산128번지에 있는 하정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하정 마을의 제당은 1975년에 세워졌다. 하정 마을은 조선 시대에 소산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구덕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송정동 구덕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산78번지에 있는 구덕포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소원 성취,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구덕포 마을이 형성된 것은 약 300년 가까이 된다. 처음 함안...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송정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산53-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산신인 골매기 할배와 지신인 골매기 할매를 당산 신으로 모시고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송정동 망제(望祭) 당산’이...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방근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송정동 방근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29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기는 국수산신, 국내당신(局內堂神), 당산 나무, 골대장군 등에게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그런데, 당산제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송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송정동 송정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111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당산 할배, 당산 할매, 벅수 등의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특이한 점은 다양하게 나타나는 당산 신 신...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수영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새벽 5시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507-9번지에 있는 무민사(武愍祠)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수영동 무민사’라고도 한다. 최영(崔瑩)[1316~1388]...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수영동 송씨 할매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수영 고당’, ‘산정머리 할매당’ 등이라고도 한다. 특이한 점은 송씨 할매와 더불어 둑신[纛...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공수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시랑리 공수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과 6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655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이를 ‘시랑리 공수 할배 당산, 할매 당산’...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동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시랑리 동암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산30-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시랑리 동안 골매기 당산제’라고도 한다. 동암 마을에서는 골매기 할매...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선동 아씨당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과 9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산3-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안과태평과 소원 성취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신선동 산제당 아씨할매제’라고도 한다. 아씨당(阿氏堂)은 본래 하씨 신당(河氏神堂...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신천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천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 밤 10~12시 사이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158-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매와 산신, 용왕신, 거릿대신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당산 할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신평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평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신평리 4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을 개척한 개척조 남씨 할배를 당산 신으로 모시고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신평리 남씨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당산 신...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호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198번지에 있는 당산 나무 앞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수호 장군제’라고도 한다. 신호동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마을 주...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2동 까치골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아미동 까치골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 26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 옆에는 무속인의 굿당이 있다. 아미2동 까치골에서 당산 신...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아미동 당산제는 매해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 19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매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아미동 산신당’이라고도 한다. 아미동 당산제는 아미동 감천 고개 정상 부근...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아미동 대두산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 23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 당산 할매, 서낭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 신의 신격과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아미골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아미동 아미골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인시(寅時)[오전 3~5시]에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 244-3번지에 있는 제당과 당산 나무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아미동 아미골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안평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산8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령과 박씨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안평리에서는 여당산과 남당산을 모시고 있는데, 남당산신은 산신령이고 여당...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암남동 당산제는 음력 4월과 10월에 길일을 택하여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81-2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 큰할매, 작은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암남동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엄궁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2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산5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 용왕신, 당산 신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엄궁동 엄호당’이라고도 한다. 당산제의 연원에 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연구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388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연구리 당산제의 연원은 알 수가 없다. 과거에 마을 주민들이 주관하여 제의를 지내다가, 이후 인...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마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연구리 마지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305-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연구리 마지 당산제의 연원은 자세히 알 수가 없다. 제당은 1974년에 건립하였으며, 제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4동 곡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산동 곡리 당산제는 음력 3월 중에 택일하여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4동 677-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2, 3년마다 한 번 마을의 안과태평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산동은 배산성지(盃山城址)나 연산동 고분군(蓮山洞古墳群)의 유적을 통해 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대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산동 대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11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대리 마을의 제당 주위에는 큰 바위와 기암(奇巖)들이 많이 있다. 특히 기암들은 개인의 소원 성취...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서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화리 서암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산4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서암 고사당’이라고도 한다. 서암 마을에서는 원래 당산제를 음력 1월 14일, 6월 30일...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신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화리 신암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6월 1일, 10월 1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119번지에 있는 고사당과 연화리 산1-1번지에 있는 죽도 제당에서 1년에 세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신암 마을에서는 제당이...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예림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 57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안과태평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예림리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전설]에 따르면, 옛날 이씨라는 아주 힘이 세고 건장한 장수가 박씨...
-
부산광역시 기장군 예림리 서편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예림리 서편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 83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은 약 30여 년 전에 세워졌다. 서편 마을은 예림리의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오륜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 31-4번지에 있는 관음사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오륜동 당산제의 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며, 현재의 제당은 1950년에 건립한 것이다. 1960년 이전에는 매년마다 유...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 개천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오리 개천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 965번지에 있는 골매기 할매 당산과 산신 제단에서 마을의 안과태평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오리 개천 당산제의 정확한 연원을 고증하는 것은 힘들다. 현존하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 신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오리 신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 산2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오리 신리 골매기 할매당’이라고도 한다. 당산제의 연원은 정확히 알 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온천동 산저 당산제는 음력 10월 초순 중에서 택일한 길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724번지에 있는 산령당(山靈堂)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온천동 산저 산령당’이라고도 한다. 온천동 산저 당산제...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온천동 산지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3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온천동 산지당’, ‘금정산 주산(主山) 신령각(神靈閣)’ 등이라고도 한다. 온천동 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동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와여리 동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404-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와여리 동리 할배 당산과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와여리 동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서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와여리 서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초저녁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275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와여리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와여리 서리 당산제의 시작 연도는...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당동 당산제는 음력 9월 9일[중양절] 오전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산12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당산 할매당’이라고도 한다. 용당동 당산제의 시작 연도는 알 수 없고, 제당의 건립...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용소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소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용소리 40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갓집 할매에게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용소리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가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수리 가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415번지에 있는 가동 할배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용수리 가동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용수리 가동 당산제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덕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수리 덕전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76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성황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덕전 당산에 있는 제당은 1994년에 건립하였다. 제당은 대지 면적...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평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수리 평전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 4시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634-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평전 당산에 있는 제당은 1975년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대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천리 대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361-1번지의 당산 안과 당산 앞의 빈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과태평과 풍농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송씨할매골목님네 당산제’라고도 한다. 대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산수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천리 산수곡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산18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산수곡 할배 당산은 1956년[단기 4289]에 세워졌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회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천리 회룡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용천리 산225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용천리 회룡 할매당산’이라고도 한다. 용천리 회룡 당산...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용호동 당산제는 음력 9월 9일[중양절] 오전 10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1동 396-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용호동 당산 신앙의 특이한 점은 당산 신의 신체로 한지로 만든 고깔을 얹은 세 개의 신석(神石)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운촌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우1동 운촌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과 10월 6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산126-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운촌 마을에서는 ‘당산 신’을 달리 ‘골매기 할매’라 칭한다. 전하는 바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장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우1동 장지 당산제는 음력 3월 2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84-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우1동 장지 주산당’이라고도 한다. 장지 마을에는 선돌제를 지내게 된 설화가 전해 내려오...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우암1동 당산제는 매년 1월 3일 밤에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1동 130-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우암1동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그 연원은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의 제당은 1983년에 건립하였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 중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웅천리 중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 4시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 423번지에 있는 중리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중리 당산 할매제’라고도 한다. 옛날 중리 마을에는 할매 제당이 있었고...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 상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원리 상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에 상리 마을 회관 옆에 있는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원리 상리 당산제의 시작 연대는 상세히 알 수 없다. 상리 마을에서 동북쪽으로 약 50m 지점의 마을 입...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 하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원리 하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 20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당집]은 1966년에 건립한 것이다. 제당의 건물 면적은 5.6㎡[1.7평, 앞면 225㎝...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월내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 15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에게 동네의 발전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월내리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월내리 당산제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월평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203번지에 있는 윗당산과 아랫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당산 할매와 당산 할배 등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월평리 할배 제당과 할매 제당’이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이곡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이곡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이곡리 51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이곡리 우씨 당산’이라고도 한다. 이곡리 당산제의 시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제당은 1943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이천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404번지에 있는 상당[골매기 할배당]과 부인당[골매기 할매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천리 당산제의 시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상...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이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이천리 이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이동 273-1번지에 있는 당산과 세석 제단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천리 이동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연대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임곡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임곡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보름 낮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임곡리 217-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임곡리 당산 할배집’이라고도 한다. 임곡리 당산제의 시작 연대는 정확히...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임기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 산18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할배 당산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임기리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임기리 당산제를 베풀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임랑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44-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박씨 할배와 류씨 할매 등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임랑리 박씨·류씨 당산’이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림 본동 당산제는 음력 11월 17일 10~11시 사이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1동 산167-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무사태평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채씨 할매제’, ‘골미 당산제’ 등이라고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옛날에 정3품...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림2동 당산제는 음력 12월 7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2동 6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장림2동 천지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장림2동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등의 6개 마을에서 전염병 예방 및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산 상산마고당 당산제는 해운대[좌동·중동·우동]의 운촌 마을, 중동 마을, 미포 마을, 장지 마을, 오산 마을, 좌동 마을 등 6개 마을이 돌아가며 매년 1월 3일과 6월 3일의 자정에 해운대구 우동 산148-1번지에 있는 상산마고당(上山麻姑堂)에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산신당 당산제는 음력 1월 3일 자정과 6월 3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산148-1번지에 있는 천제단(天祭檀)과 장산 마고당(萇山麻姑堂)에서 8개 마을[좌동, 대천, 오산, 미포, 온천, 장지, 운촌, 청사포 등] 주민들이 1년에 두 번 동네의 안녕과 평화 및 풍요를 기원하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상장안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안리 상장안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45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 할배신을 모시고 제의를 베풀게 된 연유와 시기에 대해...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하장안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안리 하장안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과 6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29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매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 할매신을 모시고 제의를...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전1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1동 산12-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장전1동 주산당’이라고도 한다. 산신을 당산신으로 모시게 된 연유과 장전1동 당산제...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전2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음력 3월 15일 오전 11시, 양력 10월 3일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2동 562-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세 번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과 당산 할매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장전2동 소정...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전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 산180-5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거릿대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한편 장전리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1동 새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재송1동 새마을 당산제는 음력 9월 9일[중양절]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1동 74-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재송1동 새마을 당산제를 베풀게 된 연유와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재송2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후 5시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2동 51-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산신, 본산 부처님, 고당, 거릿대장군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재송2동에는 마을 수호신 중에서 고당 신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1동에서 산불 예방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전포1동 당산제는 음력 9월 9일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1동 29번지에 있는 전라 선생(全羅先生) 묘에서 산불 예방과 마을 주민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전포1동 전라 선생제’라고도 한다. 전포1동 당산제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당...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좌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삼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산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장산 산신령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좌동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좌동 주민들은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덕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좌동리 덕산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산43번지에 있는 할매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좌동리 덕산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주민들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좌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좌동리 좌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43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최씨 할매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최씨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좌동리 좌동...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좌천1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1동 79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이를 ‘좌천1동 산령당과 고당’이라고도 한다. 좌천1동 당산제는 산령당[산신 제당]과 고당[...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4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좌천4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5일 오후 9시와 8월 15일 오후 9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4동 940-8번지에 있는 제단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1년에 두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좌천4동 당산제의 시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4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좌천4동 산령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10시 30분과 추석날 10시 30분 무렵에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4동 741-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좌천4동 산령신비(山靈神碑)’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좌천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7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좌천리 골매기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지신(地神) 계열에 속하는 좌천리 당산제의...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2동 냉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주례2동 냉정 당산제는 음력 4월 7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2동 166-2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주례2동 냉정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가 없으나, 냉정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죽림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5일 아침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103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죽림동 땅집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1700년대 무렵 마을에 전염병이 창궐하자 전염병을 퇴...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두호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죽성리 두호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정오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129번지에 있는 당산 할배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두호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두호 마을에는 당산 할배 제당...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원죽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죽성리 원죽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5~6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74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죽성리 원죽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죽성리 원죽 당산제...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월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죽성리 월전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379-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이를 ‘월전 골매기 당산’이라고도 한다. 죽성리 월전 당산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1동 미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중1동 미포 당산제는 음력 10월 보름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1동 산42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3년마다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중1동 미포 당산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미포 마을에서 동쪽으로 약 400m...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2동 새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중2동 새터 당산제는 음력 1월 3일과 6월 3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2동 산1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1년에 두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중2동 새터 할매집’, ‘임씨 골매기 할매집’ 등이라고도 한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2동 청사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중2동 청사포 당산제는 음력 1월 3일 9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2동 594-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김씨 할머니의 정절을 기리고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골매기 할매 당산제’라고도 한다. 청사포 당...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1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중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1동 1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중동 당산제의 연원은 알 수가 없다. 현존하는 제당은 1984년 10월 26일에 상량한 것이...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너더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지사동 너더리 당산제는 모내기 전과 추수 후, 그믐께부터 다음 달 초승까지의 사이에 택일한 날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1052번지에 있는 너더리 당산 나무 아래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이를 ‘할매 당산 나무제’, ‘너...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명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지사동 명동 당산제는 부정기적으로 마을에 행사가 있을 때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97-1번지에 있는 당산 나무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당산 할매 나무제’라고도 한다. 지사동 명동 당산제는 명동 마을의 형성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천성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천성동 천성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정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산11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천성동 천성 당산제의 연원은 알 수가 없다. 제당의 건립 연도도 정확히 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덕발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강리 덕발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54-7번지와 청강리 65-3번지에 있는 할배 당산과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마을 수호신제’, ‘할배제’,...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무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강리 무곡 당산제는 음력 정월 14일 오후 4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51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청강리 무곡 당산제의 연원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청광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광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청광리 13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청광리 허씨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당산 할매는 허...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룡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369번지에 있는 본동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산신과 고당 할미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산신과 고당 할미를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제의를 베풀게 된 연유와 시...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상마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룡동 상마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48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 수호신인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 할배와 당산 할매를 모시고 제의를 베풀게 된 연유...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 조내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학동 조내기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과 6월 23일 아침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1동 30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조내기 마을에서는 다른 마을과 달리 6월 23일에 한 번 더 청학동 조내기 당산제를...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학동 할배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과 4월 13일 아침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1동 40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다른 마을과 달리 4월 13일에 청학동 할배 당산제를 베풀고 있...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초량2동 주산 당산제는 음력 3월 16일 오전 7시와 음력 9월 16일 오전 7시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산67-15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처음 제당을 건립한 연대는 미상이나, 현재의 제당은 1993년 4월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6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초량6동 당산제는 음력 3월 16일 오전 11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산10-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배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초량6동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초...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초읍동 당산제는 음력 1월 16일 오전 7시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395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무사·평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당은 초읍동 창신 그린힐 북서쪽 주택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당의 옛 건물은 1954년에 지어진 것으로...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 칠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칠암리 칠암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과 10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 48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두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최초로 제당을 건립한 연대는 알 수 없다. 현재의 제당은 1965년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하단동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2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1동 610-23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제당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거릿대는 옛날에는 당산 나무 옆에 오리 모양을 한 길대장군[거릿대장군]을 세웠...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학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학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학리 309-1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마을의 유래로 보아 학리 당산제를 지내는 할매·할배 제당은 약 500년 전에 당집이 모셔진 것으로 추정된다...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천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명동 대천리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1569번지에 있는 대천리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화명동 대천리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연대를 알 수는 없다. 제당은 1970년대에...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수정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명동 수정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산82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금정산 산신과 고당 할미를 당산 신으로 모시고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수정 고당제’라고도 한다. 또한 금정산 산신을 모신...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용당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명동 용당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207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화명동 용당 고당’이라고도 한다. 화명동 용당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연...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화잠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명동 화잠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3114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화명동 화잠 고당’이라고도 한다. 화명동 화잠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연대는...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사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전동 사암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151-1번지에 있는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화전동 사암 당산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제당은 1996년 2월 13일에 현재의 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전리 당곡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오전 10~11시 사이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53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화전리 당곡 할배 당산’이라고도 한다. 현재의 제당은 1947년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화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전리 화전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오후 3시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322-2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화전리 화전 당산제를 언제 시작하였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가 없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동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회동동 동대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127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회동동 동대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현존하는 제당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횡계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횡계리 횡계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산 35-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골매기 할매 당산’이라고도 한다. 횡계리 횡계 당산...
-
부산 지역에서 당산제 때에 거릿대[솟대의 일종]를 세우고 마을을 침범하는 잡귀 잡신을 물리쳐 달라고 지내는 마을 제사. 거릿대장군제는 부산 지역의 주민들이 마을에 긴 막대 위에 오리 형상의 조형물을 얹은 거릿대를 세우고 이를 모시며 당산제를 지낸 후에 이어서 동네의 무사를 비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거릿대장군은 마을에 침범하는 잡귀 잡신을 방어하는 하위 신...
-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서 용왕에게 벽사초복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눌차동 용왕제는 보살과 강신무 등의 주도 하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의 정거 마을 앞에서 용왕에게 행복, 장수, 다남(多男), 무병(無病), 풍작, 풍어 등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민속 의례이다. 이를 ‘눌차도 용왕제’라고도 한다. 눌차동 용왕제는 불교 의식과 무속 의식이...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3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시약산 산제당제는 음력 10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3동 683번지에 있는 산제당에서 국태민안과 마을의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1860년에 건립된 산제당(山祭堂)은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1824~1864]의 여동생이 세웠다고 전한다. 산...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아미동 산제당제는 음력 1월 14일 11시 무렵에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 23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 할배와 산신 할매 등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이 마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9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산동 산제당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자시에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9동 산63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연산9동 배산 산령각’이라고도 한다. 1975년 조사 당시 제당에는 ‘주산제당(主山祭堂)’이라 쓴 현판이 있...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산불을 예방하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전포동 산신제는 청명 한식일[전포2동]과 음력 1월 15일[전포3동]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316-316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황령산의 산불 예방과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전포2동에서는 2000년부터 매해 청명 한식일[양력 4월...
-
부산광역시 서구 초장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초장동 천마산 산제당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서구 초장동 180-40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주민 화합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2005년 조사 당시에도 제당은 철거되었으며, 제단만 마련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