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314 |
---|---|
한자 | 盤如一洞中里堂山祭 |
영어의미역 |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Banyeo1-dong Jungrimaeul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산119 |
집필자 | 황경숙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중리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반여1동 중리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산119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기촌(起村) 할매, 고당(姑堂) 할매, 주산신령(主山神靈)의 신체인 신석(神石)을 모시고 1년에 한 번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기촌 할매, 고당 할매, 주산신령을 제당에 모시고 반여1동 중리 당산제를 베푼 연유와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구전 자료에 의하면 제당에 모신 기촌 할매는 1700년 무렵 이 마을에 살던 남평 문씨 할매가 자손 없이 죽으면서 그 재산을 마을에 기증하고 자기의 제사를 모셔 달라 하여 모시게 되었다 전한다. 이후 1986년에 중리 마을 주민 김갑동이 옛 제당을 보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제당은 마을에서 남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지점의 장산 산기슭에 위치해 있다. 현전하는 제당은 마을이 본격적으로 형성될 무렵에 지어졌다 한다[대들보에 ‘병인삼월초파일 무인오시 수주상량(丙寅三月初八日戊寅午時竪柱上樑), 입주정당황도일(立柱正當黃道日) 상량내조자미성(上樑來照紫微星)이라 쓰여 있음]. 제당의 형태는 기와 맞배지붕에 붉은 벽돌 벽 구조물이다. 제당 안에는 시멘트로 만든 직사각형의 제단이 있다. 제단 위에는 세 개의 돌이 붉은 방석 위 판자에 얹혀 있다. 이 돌들은 각기 왼쪽부터 기촌 할매, 고당 할매, 주산신령의 신체다.
[절차]
반여1동 중리 당산제를 주관할 제주는 제의 4일 전에 1인을 선정하고, 제의 당일에는 향토회원 5~6명이 참석한다. 당산제는 제당에서 당산제를 지낸 후 마을 입구 소나무에서 거릿대제를 지내는 것이 관례였으나, 근자에는 당산제만 지내며 거릿대제는 지내지 않는다.
당산제의 제물은 육류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해물류를 사용하며 제반은 솥 째로 올려 숟가락을 세 개 꽂는다. 그 외 제물의 종류와 진설 방식은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동일하다. 당산제의 제의 절차는 관수세수→ 분향[초헌관]→ 참신례→ 초헌례→ 독축→ 아헌례→ 종헌례→ 축원[소지]→ 음복→ 철상 순이다. 당산제를 마친 뒤에는 제의에 참석한 이들이 음복한다.
[축문]
2009년 반여1동 중리 당산제 축문은 다음과 같다.
“기축년 정월 열나흘 중리 마을 삼신할미께 반여1동 중리 향토회 대표 김봉태가 고합니다./ 세세년년 모셔오는 새해 첫제사를 올해도 받드오니 부디 마을내 거주하는 각성받이 가내와 그 외 타성받이를 망라하여 모두의 가내와 평안과 번성을 그리고 건강을 올 한해도 변함없이 지켜주시길 기원합니다. 이에 맑은 술과 안주로 제사를 받자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시옵소서.”
[현황]
현재 중리 마을에서는 중리 향토회를 중심으로 반여1동 중리 당산제의 전통을 계승해 오고 있는데, 마을 50가구를 10가구씩 나누어 순번을 정하여 당산제를 준비한다. 당산제에 소용되는 경비는 향토회 기금으로 충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