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산 지역의 역사. 부산은 부산부(釜山府)로 해방을 맞이하였다. 1949년 8월 부제(府制)가 시제(市制)로 변경되면서 부산시로 개칭되었다. 부산은 6·25 전쟁 발발 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임시 수도로서 대한민국 정치·경제·행정의 중추 역할을 하였다. 전쟁 전 47만 여 명이었던 인구는 1951년에 84만 여 명으...
해방과 미군정기
-
1945년 8월 15일부터 부산을 비롯한 조선이 일제 식민 통치로부터 벗어나 독립 국가 건설을 위해 노력하였던 시기. 일제 강점기 말 부산에 주둔하고 있던 아까즈키 부대는 연합군에 대비하여 영도, 하단, 적기[현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를 잇는 해안선 일대에 강력한 방어진을 구축하고 최후의 일전을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일본은 본토의 원자 폭탄 투하로 무조건 항복하면서 패전국이...
-
일제 강점기에 이주 혹은 강제 동원으로 일본 혹은 해외에 거류하다가 일본의 패전 이후 귀환한 동포. 일본에 거류하는 수많은 동포들이 조국 해방을 계기로 시모노세키[下關], 센자키[仙崎], 하카타[博多], 사세보[佐世保], 마이즈루[舞鶴] 등의 항구로 쇄도하여 귀환을 서둘렀다. 이들은 모든 가능한 방법을 이용하여 귀환을 감행하였다. 그 와중에 어뢰나 해적, 풍랑에 의한 피...
-
1945~1961년 일본의 패전에 따라 한반도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일본 본토로 귀환한 일. 일본 후생노동성의 자료에 따르면 1945년 8월 15일 일본 패전을 계기로 당시에 해외에 거류 혹은 주둔하고 있던 일본인과 일본군이 일본으로의 귀환을 시작하여 귀환 활동이 거의 끝나는 시점인 1961년까지 총 628만 8,665명이 귀환했다고 되어 있다. 이 가운데에는...
-
일본 패전 직후 설립된, 부산에 거류하던 일본인의 권익과 귀환 원호를 위한 단체. 부산일본인세화회는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거류하는 일본인의 상호 연락과 협조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해방 직후 조선총독부의 권유로 서울에서 일본인 유지들에 의해 세화회가 설립되었다. 이윽고 일본인 민간단체 설립 움직임이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부산에서도 1...
-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서 일본 침략자들과 결탁하여 그들의 침략 정책을 지지·옹호하여 추종한 무리. 친일파는 조선 내외에서 일제와 야합하여 조국을 식민지화하는 데 기여하고 민족 해방 운동을 압살하는 데 적극 참가한 ‘반민족 행위자’나 ‘민족 반역자’ 등을 일컫는다. 시기별로 1920년대 민족 개조론이 풍미하던 단계에는 주로 매국이나 조선 합병이나 상층 기득권 유지에 매진했으며, 1...
-
해방 직후 결성된 부산·경상남도 지역의 치안 유지 단체. 부산치안사령부 발족의 기반이 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본부 연합치안대 결성 당시 채택한 ‘강령’과 ‘선언’에서는 부산을 비롯한 경상남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며 기타 치안 유지에 협력하여 건국 준비에 공헌’할 것을 그 목적으로 명시하였다. 따라서 부산치안사령부 역시 같은 설립 목적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
1948년 부산 등 전국에 설치된 친일파 조사 기구.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 반민족 행위자에 대해 조사하여 처벌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48년 9월 29일 「반민족 행위 처벌법」[약칭 반민법]에 의거하여 제헌 의회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가 설치되었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는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부터 기소...
-
해방 이후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밀무역의 흐름. 밀수란 것은 사회가 불안하고 경제가 어려울 때, 그 혼란한 틈을 타서 성행을 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해방과 암울한 6·25 전쟁 중에 밀수품으로 치장한 가장 사치스러운 ‘마카오 신사’가 부산의 남포동과 광복동을 활보했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를 거쳐 정부가 수립되면서 관 주도(官主導)의 통제 무역...
-
정식 절차를 밟지 않거나 운임을 내지 않고 부산에서 일본으로 몰래 도항하는 일. 밀항이란 어떤 종류의 장해나 제한에 의해 이동을 방해받고 있는 자가 통상적인 수단 이외의 방법으로 이것을 실현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1960~1970년대까지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밀항하였는데,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까웠던 부산과 제주도, 거제도 등은 일본으로 밀항하는 주요 통로...
-
1945년 9월 16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부산을 포함한 남한에서의 미군에 의한 군사 통치기. 1945년 9월 2일 일본의 항복 후 미소 간의 한반도 분할 점령이 결정됨에 따라 삼팔선[한반도 북위 38°선] 이남 지역에서는 1948년 8월 15일 남한 단독 정부가 수립되기까지 3년 동안 미군에 의한 군사 통치가 실시되었다. 중장 존 하지(John Reed Hodge)[1...
-
미군정기와 6·25 전쟁 발발 후 부산을 비롯한 대한민국에 주둔한 미국 군인. 미군이 한국에 처음 진주한 것은 1945년 9월 8일이었다. 하지(John Reed Hodge) 중장이 이끄는 제24군단 소속 미군 제7사단이 1진으로 인천에 상륙하였다. 부산에는 9월 16일 미군 ‘선견대’의 진주를 시작으로 9월 25일에 미군 제40사단 주력 부대가 도착하였다. 부산에 진주한 미군은...
-
부산 지역 내 일본인 소유 재산 가운데 8·15 이후 미군정에 귀속된 일체의 적산(敵産). 첫 개항장인 부산에는 일찍부터 일본인의 진출이 활발했고, 그 결과 일본인의 기업과 부동산 그리고 동산(動産)이 곳곳에 산재하였다. 이는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하면서 적산으로 남겨지게 되었다. 적산은 전후 배상 처리의 원칙에 따라 미군정에 귀속되었는데, 이 때문에 귀속 재산 또...
-
미군정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의 적산을 관리하였던 기관. 미군정은 1945년 11월 12일 일제 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소유하였던 재산을 인수하고 그것을 관리할 기구로 동양척식주식회사 조직을 개편하여 ‘신조선회사’로 개명하였다. 수탈과 착취의 대명사였던 동양척식주식회사 지점이 부산에 설립된 것은 1921년 11월이었다. 해방이 되고 1945년 9월 7일 동척관리위원회 부산지부...
-
1947년 부산 지역에 결성된 민주독립당의 경상남도 지부. 「민주독립당 경상남도지부 발기 취지서」에 따르면, 안으로 미국·소련 양 강대국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과 좌우의 대립 투쟁을 청산하여 자주적 민족 통일을 이룩하고, 밖으로 세계 각국과 친선하여 국제 평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6년 8월 한글문화보급회 부산지부가 중심이 되어 이극로 등이 건민회...
-
1945년 9월 부산에서 조직된 좌익 성향의 정당. 조선공산당의 지역 조직으로, 박헌영(朴憲永)이 ‘8월 테제’에서 제시한 조선공산당의 재건 목표에 맞게 ‘진보적 민주주의’, 즉,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실현할 ‘혁명적 민주주의 인민 정부’를 건설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다. 1945년 9월 11일 조선공산당이 서울에서 재건되면서, 같은 달 조선공산당 부산시당이 조직되었으며...
-
1946년 8월 부산 지역에 결성한 조선민족혁명당의 지부. 새로운 국가 건설과 각 정당의 통일 전선 운동을 주도하려는 목적으로 부산에서 조선민족혁명당 부산지부를 결성하였다. 조선민족혁명당은 ‘한국민족혁명당’이라고도 하며, 1935년 7월 중국 난징[南京]에서 한국독립당·조선의열단·미주대한독립당·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 등 5개 단체가 통합하여 결성된 통일전선적 성격의 정당이...
-
1945년 12월 부산 지역에서 창당된 조선인민당 지부. 조선인민당 강령에 의하면, 그 설립 목적은 “조선 민족의 총역량을 집결하여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의 건설”을 기하고, “계획 경제 제도를 확립하여 전 민족의 완전 해방”을 기하며, “진보적 민족 문화를 건설하여 전 인류 문화 향상에 공헌”하는 것이다. 조선인민당 부산지부는 1945년 9월 결성된 건국동맹...
-
1945년 12월부터 부산에서 전개된 신탁 통치에 대한 반대 운동. 1945년 12월 27일 개최된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한국에 대한 신탁 통치 안이 논의되었다. 그 결과 미소공동위원회를 구성해 신탁 통치를 한다는 결론이 내려지자, 한국에서는 대대적인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박헌영을 비롯한 좌익 진영은 처음에는 신탁 통치에 대한 반대[반탁] 입장을 표명하였으나, 3상...
-
1947년 부산에서 개최된 3·1절 기념집회에서 경찰이 총을 발포한 사건. 1947년 3·1절 기념행사는 좌우익이 각각 준비하여 개최하였는데, 행사 후 전국 각지에서 크고 작은 충돌이 발생하였으며, 경찰은 발포까지하면서 진압에 나섰기 때문에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러한 좌우익의 충돌은 부산, 제주도, 정읍, 순천 등지에서 특히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부산에서는 해방 후 각...
-
1946년 7월 부산에서 식량 부족 사태로 벌어진 시민들의 생존권 투쟁. 해방 직후 미군정의 식량 정책은 매점 상인의 엄벌, 미곡 소매 최고 가격 실시, 미곡 수집령, 타 지역으로의 미곡 반출 금지, 식량 배급제 실시, 식량 사찰 본부 설치, 미국을 통한 식량 도입 등에 중점을 두었으며, ‘미곡수집촉성선전부’를 결성하여 미곡의 수집을 독려하고 미곡 수출을 처벌하는 등의 정책을 실시...
사회단체
-
해방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의 해소로 부산 지역에 설치된 민간 행정 기구. 1945년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의 선포 이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이하 건준] 각 지역 지부 등 자치 조직의 인민위원회로의 전환이 광범하게 진행되었는데, 경상남도에서도 10월 5일 그 결성 대회가 부산에서 개최되어 경상남도 인민위원회가 탄생하였다. 경상남도 인민위원회는 조선인민공화국의 정...
-
1949년 11월 설립된 국민보도연맹 중앙본부의 부산·경상남도 지역 하부 조직. 대한민국 정부는 남한 내 좌익 세력을 척결하기 위해 포섭 공작을 전개했는데 그 중심 기관이 국민보도연맹이었다. 국민보도연맹 서울중앙본부의 하부 조직인 국민보도연맹 경상남도연맹은 소작 쟁의 등 농민 운동이 활발했던 경상남도 지역에서 좌익 세력을 색출하는 역할을 맡았다. 1949년 11월 20일...
-
해방 후 부산 지역으로 밀어닥친 귀환 동포의 귀환과 구호를 위해 만들어진 민간단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해외에 거주하던 한국인은 수백 만 명에 이르렀다. 해방이 되자 약 200만 명이 넘는 동포가 귀환하였다.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부산을 통해 입국하였다. 귀환 동포들은 수송선을 타기 위해 입고 있던 옷가지와 가재도구를 내다 팔아 경비를 마련해야 했으므로 귀국해서도 식...
-
1949년 우익 청년 단체의 통합체로 결성된 대한청년단의 부산 지역 단부. 이승만(李承晩) 정부는 여순 사건을 겪은 후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사회와 군대 내부의 좌익 숙정 작업에 들어가는 등 반공 체제를 강화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여러 반공 청년 단체들을 통합 조직하여 1948년 12월 19일 대한청년단을 설립하였다. 대한청년단은 군과...
-
1946년 부산 지역에 결성된 우익 연합 정치 단체. 1946년 초 신탁 통치 논쟁을 거치면서 우익 세력은 ‘반탁=민족’이라는 명분을 획득하였다. 우익 세력은 ‘찬탁=반민족’ 임을 내세워 좌익 세력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1946년 3월까지도 좌익 세력은 정치 사회 운동에서 우세를 점하고 있었다. 본격적인 우익의 조직화는 독립촉성국민회를 통해서 가능하였다. 독립촉성국민회의 조직과 운...
-
1946년 부산 지역에서 결성된 좌익 성향 정치·사회단체 연합 조직.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의 강령에 의하면, 민주주의적 요소를 총집결하여 민주주의적 자주 독립 국가를 수립하고, 일제의 잔재 세력과 파쇼·음모 세력들을 배제하며, 경제 부흥과 민족 문화의 재건을 위해 투쟁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6년 1월 31일 부산 지역의 정당·사회단체 34개 단체 대표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 내에 있는 교육시설.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1957년 당시 약 358,801,310환의 공사비로 그 해 9월 착공하여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1959년 10월 준공하였다. 이 건물은 프랑스 건축가 르 꼬르뷔제 사무실에서 수학한 건축가 김중업(金重業)의 작품이다. 설계자인 김중업은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중반에 걸쳐 부산대학교 구 본...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에 있는 구 정문인 아치형의 조형물과 구 수위실 건물.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1957년 부산대학교 개교 10주년을 맞이하여 4월 20일 무지개문(虹門, 부산대학교 구 정문)을 준공하였다.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중반에 걸쳐 부산대학교 구 본관을 비롯한 많은 대학교 건물을 설계한 한국의 대표적인 건축가 김중업(金重業)의 작품이다...
-
해방 직후 조직된 부산 지역 여성들의 정치적·경제적 해방 운동 단체. 부산부녀동맹은 해방 직후 부산의 여성들이 일치단결하여 조선의 완전 독립에 노력하고, 부인의 자유를 획득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5년 10월 15일 건국부녀경남동맹 제1차 준비 위원회가 건국동맹 건물 2층에서 개최되어 ‘남녀평등권 수립을 실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조직을 준비하기로 하였다. 10월 하순...
-
1945년 11월 부산 지역에서 자주 독립을 쟁취하고자 설립된 단체. 부산청년단체대표자회의는 해방 후 부산 지역에서 청년 단체들이 우후죽순처럼 건설되자, 이들의 연대와 제휴를 통해 자주 독립이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립하였다. 1945년 11월 13일 오전 11시 부산 대청정(大廳町) 일본기독교회에서 부산청년동맹과 부산청년동맹의 8개 지부, 그리고 기타 10개 청년...
-
일제 강점기 조선인 남성과 결혼한 일본인 부인들 중 부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 해방 전 한국인과 결혼해 국내에 머문 일본인 여성을 ‘재한 일본인 처’라고 하는데, ‘부용회 부산본부’는 바로 이들의 부산 지역 조직이다. 1942년 일본 외무성 조사에 따르면 조선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으로 구성된 부부가 일본에 1,284쌍, 조선에 106쌍이 각각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지...
-
해방 직후 부산에서 일본에 유학했던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청년 단체. 유학생동지회는 과거 일본 등지로 유학한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단체로, 조국의 해방을 맞아 민중 계몽과 부산 지역 내의 치안 유지를 위해 1945년 8월 18일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 유학생동지회는 주로 국어 교육, 영어 강습 등 문화 계몽과 치안 유지에 전력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에서 9월 1...
-
1945년 부산에서 결성된 경상남도 인민위원회 산하 부산 지부. 인민위원회 부산지부는 조선인민공화국의 정강과 시정 방침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이다. 1945년 10월 7일 오전 강대홍(姜大洪), 김칠성(金七星) 외 70여 명이 부산시 인민위원회를 조직하기 위하여 준비 대회를 경상남도 인민위원회 회관에서 개최하였다....
-
해방 직후 부산에서 조직된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경상남도 지역 지부 조직.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는 여운형(呂運亨)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된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경상남도 지역 지부 조직이다. 결성 당시 채택한 ‘강령’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완전한 독립 국가의 수립’, ‘민주주의 원칙 준수’, ‘치안과 질서 유지’ 등이 그 설립 목적이었다. 조선건국준비위원...
-
해방 직후 부산에서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자치적 치안 단체. 조선학도대 경남본부는 조국 광복을 맞아 부산 지역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립되었다. 1945년 9월 초 과거 일본 각 지역 대학의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으며, 9월 29일 한차례 조직 개편을 겪었다. 조직 개편 후 조선학도대 경남본부의 부서와 간부를 살펴보면, 대장 김정곤(金延坤)[큐슈대],...
-
해방 직후 부산에서 과거 학병 출신자들이 조직한 자치적 치안 단체. 조선학병동맹 부산지부는 조국의 광복을 맞아 부산 지역의 치안 유지를 위해 조직되었다. 1945년 9월 1일 서울에서 조선학병동맹이 결성되면서 각 지역의 조직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부산에서는 9월 21일 조선학병동맹 부산지부가 결성되었다. 조직 결성 후, 1945년 10월 21일 오전 9시 부산진역...
대한민국 수립과 6·25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부산 지역의 정치·행정이 변동된 일.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단독 선거로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다. 제헌 국회는 7월 17일 헌법 제정을 선포하였으며, 이승만(李承晩)과 이시영(李始榮)은 7월 20일 새 헌법에 따라 초대 대통령과 부통령으로 각각 선출되었다. 해방 3주년 기념일인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정식으...
-
1948년 5월 10일 부산에서 선거를 통해 구성된 최초의 국회.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을 제정하고, 국민을 대표하여 정부 운영 및 국민의 요구와 권리를 표현하는 제반 법률의 입법을 위하여 제헌의회가 구성되었다. 제헌의회는 1948년 5월 10일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국회 의원 198명으로 구성되었다. 제헌 국회 의원 선거로 당선된 국회 의원은 총 198명이었다. 부...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휴전 성립까지 부산을 비롯한 한반도 전역에서 지속된 남한과 북한의 전쟁. 1947년 냉전이 시작된 이래 1948년 남북한에는 체제를 달리하는 두개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중국은 1949년에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하였고, 미국은 일본의 재건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지역 통합 전략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미·소 간의 정치적·군사...
-
6·25 전쟁 기간 동안 전쟁을 피하기 위해 강제적, 혹은 자발적으로 부산으로 이동한 사람들. 6·25 전쟁 기간 남북한 주민들은 크게 2차례의 피난을 경험 하였다. 우선 전쟁이 발발하면서 인민군이 남쪽으로 진격함에 따라 38선 인근 주민과 서울·경기 지역의 민간인들이 대규모로 대구, 부산 등을 향해 이동하였다. 이후 1950년 10월 25일 중공군의 참전으로 UN 연합군이 수세에...
-
1950년 6·25 전쟁 기간 동안 대한민국 정부가 부산 지역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 사건. 1948년 10월 여순 사건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정부는 남한 내 좌익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색출에 나섰다. 이를 위해 그해 12월 1일 「국가 보안법」을 제정·공포하였고, 이듬해 6월 21일 좌익 세력을 대상으로 한 전향 단체인 국민보도연맹을 창설하였다. 「국가 보안법」이 강력한 제재 수단...
-
6·25 전쟁 초기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일원에서 벌어진 국민보도연맹원 학살 사건. 6·25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보도연맹원을 잡아들여 살해하기 시작했다. 북한 인민군에 동조해 적대 행위를 할지 모른다는 가능성이 이유였다. 전쟁 당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이었던 구포동에서도 1950년 9월경 보도연맹원들이 예비 검속되어 살해되었다. 구포읍에는 국민보도연맹...
-
대한민국 정부가 1950년 6·25 전쟁 초기 좌익 전향 단체인 국민보도연맹 가입자들을 체포해 집단 학살한 사건. 1948년 10월 19일 전라남도에서 14연대 군인 반란 사건[여순 사건]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정부는 남한 내 좌익 세력에 대한 색출에 나섰다. 이를 위해 1948년 12월 1일 「국가보안법」을 제정했고 이듬해 4월 20일 국민보도연맹[보도연맹]을 결성하였다...
-
1950년 7~8월 동래 지역의 국민보도연맹 회원들이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동래 베네스트 골프 클럽 인근에서 집단 살해된 사건. 국민보도연맹은 과거 좌익 경력자들의 교화와 관리를 위해 1949년 국가에서 주도하여 결성된 단체이다. 6·25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정부가 남한 내 좌익 세력이 인민군에 협조할 것을 우려하여 좌익과 상관없는 사람들까지 포함된 국민보도연맹...
-
1950년 6·25 전쟁 초기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민간인 시신 수백 구가 암매장된 사건. 6·25 전쟁 초기 부산형무소에는 남로당 활동 등을 하다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좌익 수감자와 국민보도연맹 회원, 제주 4·3 사건으로 형을 선고받은 수감자 등이 한꺼번에 수감되어 있었다. 형무소 내에서 처형이 이뤄지기도 하였지만, 수감자 중 일부는 병에 걸리거나 열악한 환경...
-
1950년 6·25 전쟁 초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운봉 마을에서 벌어진 국민보도연맹 회원 학살 사건. 6·25 전쟁 초기 대한민국 정부는 인민군을 도와 후방에서 이적 행위를 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국민보도연맹 회원들을 체포하여 집단 살해하였다. 해운대구 반송동 운봉 마을도 살해와 암매장된 장소들 중 하나다. 부산광역시 동래구[당시 경상남도 동래군] 지역 국민보도연맹...
-
1950년 6·25 전쟁 발발 직후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부산 터널 위 야산에 부산형무소 재소자 시신 수백 구를 매장한 사건. 6·25 전쟁이 일어나고 전선이 급속히 남하하면서 부산형무소는 일반 범죄자 외에 사상범과 국민보도연맹 회원들로 넘쳐났다. 1950년 7~8월 군과 경찰은 좌익 세력이 인민군에 동조하여 후방에서 봉기할지 모른다는 우려로 부산형무소 재소자와 국민보도연...
-
1950년 7월부터 9월 사이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재소자들이 집단 학살된 사건.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이 일어난 뒤 전선이 낙동강까지 급속히 밀리면서 전국에서 피란민이 부산으로 몰려들었다. 부산형무소도 대구형무소, 마산형무소, 진주형무소 등 다른 형무소에 수감됐던 재소자들이 대거 옮겨 오면서 평소 2,000명 수준이던 재소자 수가 9월 5,900명까지 늘어났다...
-
6·25 전쟁 초기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동매산에서 민간인 160여 명이 집단 학살된 사건. 6·25 전쟁 발발 직후 수세에 몰린 대한민국 정부가 남한 내 좌익 세력이 인민군에 협조할 것을 우려하여 부산형무소 재소자와 국민보도연맹의 회원을 살해하였다. 피해자 중에는 6·25 전쟁 전에 남로당 활동 등을 이유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은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는 적법한 절차 없이 불법...
-
6·25 전쟁 초 부산에서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살해된 민간인 시신들이 일본 쓰시마 해역까지 떠내려간 사건. 6·25 전쟁 기간 동안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민간인 학살이 수없이 저질러졌는데, 인민군 미점령 지역이던 부산에서는 전쟁 초기 예비 검속된 국민보도연맹원과 부산 형무소 재소자들이 집단 학살로 목숨을 잃었다. 특히 부산과 같이 바다를 접한 지역에서는 시신이 바다에 버려지는 경...
-
6·25 전쟁 초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혈청소 앞 해상에서 국민보도연맹원 등이 집단 살해된 사건. 6·25 전쟁 초 대한민국 정부는 남한 내 좌익 세력이 인민군에 동조할지 모른다는 이유로 국민보도연맹원과 형무소 재소자들을 살해하기 시작하였다. 암남동 혈청소 앞 해상에서도 민간인 상당수가 총살 또는 수장된 것으로 전해진다. 혈청소는 일제 강점기 일본인이 광견병이나 천연두 등의 백신...
-
6·25 전쟁 초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오륙도 인근 해상에서 국민보도연맹원 등이 집단 살해된 사건. 1950년 7~8월 전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보도연맹원과 형무소 재소자를 집단 살해하기 시작하였다. 학살은 주로 총살과 수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내륙의 야산 등지에서 사살할 경우 눈에 띄기 쉽고 매장도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부산이나 경상...
-
6·25 전쟁 초 부산 청사포에서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출신 부산 지역 국민보도연맹원들이 살해된 사건. 해방 직후인 1945년 11월 5일 노동 운동 단체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가 결성되었다. 이 조직은 이승만(李承晩) 정권에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고, 1949년 좌익 전향 단체인 국민보도연맹이 창설되면서 최우선 가입 대상으로 지목되었다. 부산에...
-
1950년 7~8월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 회동 수원지 입구에서 국민보도연맹원이 학살된 사건. 1949년 결성된 국민보도연맹은 국가 주도로 과거 좌익 경력자들의 교화와 관리를 담당한 단체이다. 그러나 6·25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을 예비 검속하여 집단 학살하였고, 이때 동래 지역에서도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였다. 부산광역시 동래구[당시 경상남도 동래군]...
-
6·25 전쟁 당시 부산 지역에 전쟁 포로를 수용하기 위해 건설한 시설. 1950년 6·25 전쟁이 반발한 이후 가장 먼저 만들어진 포로 수용소는 7월 8일 대전형무소 내에 설치된 ‘대전 포로 수용소’이다. 그 후 전세가 국군에 불리해지고 전선이 밀리게 되자 대전 포로 수용소는 7월 14일 대구로 이동하여 효성국민학교[현 효성초등학교]에 ‘제100 포로 수용소’라는 이름으로 설치되...
-
6·25 전쟁 당시 「국민방위군 설치법」에 따라 소집되어 부산과 경상남도·경상북도로 이동하던 장정 5만여 명이 사망하고 관련자 5명이 처형된 사건. 1950년 11월 중국군의 개입으로 6·25 전쟁의 전세가 악화되었다. 이에 정부는 1950년 12월 21일 법률 제172호로 「국민방위군 설치법」을 제정하여 군인과 경찰, 학생을 제외한 만 17세 이상 40세 이하의 남자를 제2 국민...
-
1951년 1월 4일 중국 인민 지원군의 총공세로 유엔군이 대규모로 퇴각하고, 수도를 다시 부산으로 옮긴 사건. 1950년 9월 28일 유엔군은 서울을 탈환하였다. 유엔군이 삼십팔도선 이북으로 진격하면 참전할 것이라는 중국 측의 경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엔군은 북진하였다. 중국 인민 지원군은 유엔군과 국군이 압록강변까지 이르자 10월 2일 참전을 결정하고, 10월 19일 전쟁...
임시 수도 시절의 부산
-
1950년 8월 18일부터 1953년 8월 15일까지 임시 수도로서의 부산. 임시 수도는 본래의 수도가 전쟁 등에 의하여 점령되거나 위험에 처했을 때, 정부에 의해 임시로 수도의 기능을 하는 도시이다. 부산은 6·25 전쟁이 발발한 1950년 8월 18일~10월 27일, 그리고 1·4 후퇴로 1951년 1월 4일~1953년 7월 27일까지 대한민국 정부의 임시 수도였다. 6·25...
-
1952년 임시 수도 부산에서 일어난 정치 파동. 1950년 5월 30일의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의원들이 대거 당선되었다. 이로 인해 이승만(李承晩)은 국회 내에서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고, 재선 가능성이 희박하였다. 더구나 이승만 정부는 전쟁 중 여러 실책을 저질렀다. 그것은 전쟁 발발 3일 만에 수도 서울을 빼앗기고 한강 철교를 폭파해 많은 국민을 사상케 한 일, 수...
-
임시 수도 부산의 제2대 국회에 제안되어 공포된 첫 개정 헌법안. 1950년 5월 30일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의원이 60% 이상 당선되었다. 이러한 국회 상황에서 이승만(李承晩)은 재집권하기가 어렵다고 보고 일련의 정치 공세를 강화하였다. 이승만은 1951년 11월 30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제출하였다. 그러나 이 개헌안은 1952년 1월 18일 국회에서 찬성 1...
-
부산의 국제구락부에서 개최되던 반독재 호헌 구국 선언 대회가 괴한들의 습격을 받아 중단되고 다수의 인사들이 연행된 사건. 1950년 5·30 선거에서 야당이 압승함으로써 국회의 간접 선거에 의한 이승만(李承晩)의 재선은 어려워졌다. 이에 정부는 1951년 11월 30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개헌안은 국회에서 1952년 1월 18일에 부결되었다. 정부...
-
부산 지역이 임시 수도였던 1952년 6월 정부가 중석(重石)[텅스텐]을 수출해 벌어들인 달러로 부당 이익을 챙긴 사건. 대통령 직선제를 놓고 국회와 대립하고 있던 이승만 정권이 국회가 주장하는 내각 책임제를 저지하고 직선제를 관철시키기 위해 중석불(重石弗)[중석을 수출해 획득한 달러] 불하를 통해 100억 원의 정치 자금을 마련하였다. 중석불은 기계류나 선박 등 산업...
행정의 변천
-
1949년 8월 15일 부산이 부에서 시로 바뀐 일. 1949년 7월 4일 「지방 자치법」이 제정 공포됨에 따라 부산의 행정 기구는 새로운 직제와 규정을 마련하여 개편되었다. 이로써 1949년 8월 15일 부산부제(釜山府制)가 폐지되고 부산시제(釜山市制)가 시행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만 1년 후인 1949년 8월 15일부로 부산부(釜山府)는 부산시...
-
1955년 부산 지역의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한 일. 해방 이후 일본 등지에서 돌아온 귀환 동포, 6·25 전쟁으로 인한 피난민 등으로 인해 부산의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였다. 부산 인구 변화의 큰 추이를 보면 1945년 8·15 당시에는 28만 1160명이었는데, 1949년 말 47만 750명으로 크게 증대하였다. 또한 6·25 전쟁으로 피난민들이 부산으로 밀려들면서...
-
1957년부터 부산시에서 시행한 구제(區制). 1914년 행정 구역 재편으로 부산부(釜山府)에는 지금의 중구, 동구, 영도구, 서구의 일부가 속하게 되었다. 그 후 부산부는 1936년 동래군의 서면과 사하면 암남리를 편입하고, 여기에 부산진출장소를 두었다. 1942년에는 동래군의 동래읍, 사하면, 남면, 북면의 금곡리와 장전리를 편입하고, 동래출장소, 사하출장소, 수영출장소를 신설...
-
1963년 1월 1일 부산이 시에서 직할시로 승격한 일. 대도시인 부산시에 인구 4만~5만 명 규모 중소 도시와 동일한 제도가 시행되는 데 대한 행정상의 모순과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직할시 승격을 추진하였다. 부산시의 특별 시제에 관한 법률안은 여러 차례 걸쳐 제출되었지만, 도·시세의 약화를 우려하는 경상남도와 서울시 등의 반대로 부결되었다. 5·16 군사 정변 이후...
-
1979년 10월 1일 부산 지역의 인구가 300만 명을 돌파한 일. 1960~70년대의 산업화 과정에서 일자리, 교육, 소득 증대 등을 이유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농이 광범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동남권의 산업 중심지였던 부산에 인구가 집중함으로써 부산의 인구가 1979년 300만 명을 돌파하였다. 1963년 136만 명이던 부산의 인구는 1972년에 200만 명을 넘어섰다. 이후...
-
1995년 부산이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개편한 일. 부산은 1995년 1월 1일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개편되었다. 이 같은 변화는 지방자치제의 본격적인 시행에 따른 「지방 자치법」의 개정으로 지방 자치 단체의 계층 구조와 행정 구역 조정의 필요성에 따라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 행정 수요에 따른 구역 조정, 광역 행정 수요의 확대, 지방 재정력의 지역 간 격차 해소,...
-
1998년 부산광역시 청사를 중구 중앙동에서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한 일. 전통적으로 부산의 중심지였던 동래 지역으로 부산광역시청을 이전해야 한다는 지역 내 요구는 8·15 광복 직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식민지 잔재를 청산한다는 해묵은 지역 내 숙원을 해결하고, 한편으로 부산 지역의 인구 증가와 도시의 팽창 등으로 인한 행정 수요의 증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청을...
민주화 운동
-
부산 지역에서 전개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저항적 사회 운동. 8·15 이후 한국 사회는 분단과 단독 정부의 수립 이후 이승만(李承晩), 박정희(朴正熙), 전두환(全斗煥), 노태우(盧泰愚) 등 권위주의 정부 아래서 민주적 절차와 이념이 유린되어 왔다. 이 때문에 현대사를 통 털어 권위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민주화 운동이 줄기차게 전개되었다. 부산에서는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
-
1960년 3월부터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전까지 부산을 비롯한 전국에서 전개된 민주화 운동. 1960년 3월 15일 제4대 대통령 선거를 전후하여 이승만(李承晩) 정권에 대한 반대 투쟁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그것은 2월 28일 대구의 학생 시위로 시작하여, 3월 15일 마산 시위를 거치면서 전국적인 민중 항쟁으로 확대되었고, 4월 19일 서울에서 정점에 이르렀다. 이...
-
1960년 4·19 혁명의 과정에서 부산 지역 대학 교수단이 전개한 가두시위. 1960년 3월 15일 총선거를 전후한 시기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된 학생들의 시위는 4월 19일을 전후하여 정점에 이르렀다. 학생 데모에 대한 전 국민적 지지와 참여가 뚜렷해지면서 이제 시위는 이승만(李承晩) 정권에 대한 국민적 저항의 양상을 띠어갔다. 이 과정에서 경찰의 발포로 인한 학생과 시민의 희생이...
-
4·19 혁명 당시 부산을 비롯하여 전국에서 전개된 교육 개혁 운동. 4·19 혁명 이후 교육계에서는 비자주적이고 반민주적인 교육 현실에 대한 의분이 터져 나왔다. 이는 친일 교육자가 청산되지 않고 부정과 비리가 만연하는 등 이승만 정권 시기 교육계의 현실에 대한 일선 교사들의 비판과 자성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승만의 퇴진 이후 학생들의 어용 교사 축출 요구와도 맥락을 같이...
-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이후 설치된 군사 법정에서 민주민족청년동맹 부산맹부의 통일 운동을 특수 범죄로 처벌한 사건. 1960년 6월 12일 부산에서는 부산대학교 교수 이종률(李種律)의 지도 아래, 자주적이고 통일 지향적인 청년 운동을 내걸고 민주민족청년동맹[약칭 민민청]이 결성되었다. 이후 민주민족청년동맹은 진보적 청년층을 조직화하여 통일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중앙 맹부...
-
1961년 부산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에서 전개된 악법 반대 투쟁. 1961년 3월 초 장면(張勉) 정권이 집회시위규제법[통칭 「데모규제법」]과 「반공임시특례법」을 제정하려 한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이를 민주화 운동을 정치적으로 탄압하기 위한 것이라고 여긴 민주 세력은 전국적인 반대 운동을 격렬하게 전개하였다. 1961년 3월 13일 부산 지역의 혁신 정계와 진보적 청년계...
-
1961년 부산 지역에서 결성된 2대 악법 반대 학생 운동 사건. 1961년 3월 초 장면(張勉) 정권이 「집회시위규제법」[일명 「데모규제법」]과 「반공임시특례법」을 제정하려 한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이를 민주화 운동을 정치적으로 탄압하기 위한 것이라고 여긴 민주 세력은 전국적인 반대 운동을 격렬하게 전개하였다. 1961년 3월 15일 부산시 중구 용두산 공원에서 부산 시...
-
1967년 부산 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전개한 부정 선거 규탄 투쟁.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朴正熙) 군부는 경제 개발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굴욕적인 한일 회담을 추진하였다. 이에 야당과 학생, 시민의 한일 회담 반대 투쟁이 전국적으로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나아가 한일 회담 반대 투쟁은 정권에 대한 부정과 저항으로 이어져, 박정희 정권은...
-
1969년 박정희(朴正熙)의 3선 개헌을 반대하는 부산 지역 학생 시민의 투쟁.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부에게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와 제7대 국회 의원 선거는 공화당 집권 4년에 대한 평가의 의미를 띠고 있었다. 1967년 5월 11일에 치러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는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에 공화당은 6월 8일에 실시된 제7대 국회...
-
1971년 부산 등지에서 전개된 교련 교육의 강화에 대한 학생들의 저항. 1971년 1월 박정희(朴正熙) 정부는 대학 교련 시간을 연장하고 교관을 현역 장교로 대체하는 등을 골자로 교련 교육 강화 방안을 확정하였다. 이에 3월 9일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의 ‘교련 철폐 투쟁 선언’을 시작으로, 교련 수강 신청 거부와 더불어 ‘교련 강화 반대’, ‘학원의 병영화 반대’, ‘학원 자유 수...
-
1973~1974년 부산 지역 대학생들이 전개한 유신 반대 시위. 1970년대 초 학생 운동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은 유신 체제 하의 억압 속에서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긴급 조치로 상징되는 극도의 억압 통제로 박정희 정권에 대한 국제적 비난이 고조되었고, 특히 1973년 김대중 사건과 1974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약칭 민청학련] 사건으로 한국 정부는 국제적 고립을 자초하였...
-
1976년 부산 중부교회의 청년부 회지를 「긴급 조치 제9호」 위반으로 기소한 사건.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의 작은 교회인 중부교회는 1976년 1월 최성묵이 중부교회 전도사로, 1977년 4월에는 담임 목사로 취임하면서 부산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최성묵과 김형기가 지도하는 중부교회 청년부는 부산의 민주화 운동에 인력을 공급하는 원천 가운데 하나였다. 1976...
-
1975년 발동한 긴급 조치 제9호에 대한 부산 지역의 저항. 1972년 10월 17일 공포된 유신 헌법에서 가장 강력한 조치는 긴급 조치였다. 긴급 조치란 ‘국가의 안전 보장이나 공공의 안녕 질서가 중대한 위협을 받거나 또는 재정·경제상의 위기에 처했을 때 대통령이 국정 전반에 걸쳐서 내리는 특별한 조치’로서, 역대 헌법 가운데 대통령에게 가장 강력한 권한을 부여했던 긴급권이다....
-
1978년 4월 19일 부산대학교 교내에 살포한 유신 반대 유인물. 유신 말기인 1978년 봄, 더 이상 유신 체제를 묵과하는 것은 지성인의 양심에 위배되는 일이라 여긴 중부교회 청년부 소속 학생 청년 4명은 4·19 혁명일인 4월 19일 부산대학교 학생들에게 유신 반대 궐기를 촉구하겠다는 결의로 선언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선언문의 초안은 전중근이 작성하고, 4월 15일 부산광역시...
-
1978년 부산에서 동일방직 해고 노동자들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사건. 1972년 인천에 있는 전국섬유노조 산하 동일방직지부에서 주길자를 지부장으로 하는 민주적인 노동조합이 탄생하였다. 이후 동일방직에서는 노동조합의 집행부와 열성 조합원들에 대한 협박과 폭행, 부서 이동과 사표 강요 등 갖은 수단을 동원하여 민주 노조를 파괴하려는 관리자들에 맞서 민주 노조를 사수하려는 노동...
-
1978년 부산대학교에서 발생한 반(反)유신 구호 페인팅 사건. 대통령 선출을 위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와 국회 의원 선거 등 선거의 해인 1978년에 접어들자 각계의 민주화 운동은 본격적으로 고양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가운데 4월 19일 부산대학교에서는 유신 체제를 타도하고 민중 생존권과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부산대학교 자율화 민주 투쟁 선언서」가 배포되었다. 5월과 6월...
-
1979년 8월 YH무역 노동자의 생존권 투쟁과 부산 지역 민주 세력의 지원. YH무역은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에 있던 가발 제조업체이다. 1966년 자본금 100만 원, 종업원 10명으로 설립한 작은 회사였으나 가발 경기의 호황과 정부의 수출 지원책에 힘입어 1970년대 초 종업원이 최대 4,000여 명에 이르는 대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창립자인 장용호는 미국에서 백...
-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전개된 시민과 학생들의 유신 반대 투쟁. 1970년대 후반 유신 체제는 억압의 강도를 더해가고 경제적 위기와 불평등은 심화되었으며 지배층의 부정부패는 극에 달하였다. 특히 부산과 마산에서는 지역 경제의 침체로 지역민의 생활이 위기로 치닫는 한편 민주화 운동의 발전으로 지역 내 민주 세력의 성장과 결속이 강화되고 있었다. 부마 항쟁은 1979년...
-
1979년 부산지구 계엄사령부에 설치된 합동 수사단. 부산지구 계엄합동수사단은 「계엄법」 제16조에 규정된 죄 및 포고령 위반 사건 등 중요한 사건을 수사 처리하기 위하여 계엄 사령부에 합동 수사단을 편성, 운영하였다. 1979년 10월 18일 자정을 기해 부마 항쟁을 진압하기 위해 선포된 비상계엄은 김재규(金載圭)에 의해 박정희(朴正熙)가 살해되는 10·26 정변이 발...
-
1979년 10월 15일 부산대학교 교내에 배포된 유신 정권 퇴진을 주장하는 유인물. 「민주 선언문」[1979년 부산대학교]은 박정희(朴正熙)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을 참석시킬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1979년 8월경부터 이진걸[부산대학교 기계설계과 3학년], 황선용[서면서림 점원], 남성철[노동자] 세 사람은 자주 만남을 갖고 10월 15일 시위를 일으...
-
1979년 10월 15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시위를 위해 배포된 유인물. 「민주 투쟁 선언문」은 박정희(朴正熙) 정권에 반대하는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시위를 선전·선동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1979년 9월부터 신재식[부산대학교 법정대학 사회복지학과 2학년] 등 부산대학교 법정대학 학생들이 반유신 시위를 논의한 결과 10월 15일로 시위 날짜를 결정하였다. 10월 14일 신...
-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시위를 위해 배포된 유인물. 1979년 10월 15일 부산대학교 시위가 미수로 끝난 뒤 정광민[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2학년]은 다음 날 시위를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 전도걸과 같이 10월 15일 밤부터 16일 새벽까지 「선언문」을 등사 인쇄하고, 정광민·박준석·엄태언·이성식 등이 16일 부산대학교 인문사회관[현 제1사범관] 강의실...
-
1980년 5월 9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시국 공개 토론회장에서 배포된 궐기문. 1980년 5월 8일 부산대학교에서는 단과 대학 학생회장단의 시국 공개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토론회에서는 정부와 사회 및 학원에 보내는 10개 항의 요구를 담은 구국 선언문이 채택되었다. 「궐기문」[1980년, 부산대학교]은 이 선언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제목은 ‘유신 잔당의 마지막 숨통을 끊기에...
-
1980년 부산에서 5·18 민주화 운동 관련 유인물 제작으로 기소된 사건.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사망 이후 전두환과 노태우 등 신군부는 12·12 군사 쿠데타, 합동수사본부, 국군기무사령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였다. 이후 5월 17일 전국에 계엄령과 예비 검속을 발동하여 민주 세력의 저항을 사전에 차단하고, 5·18 민주화 운동을 희생양으로 삼아 제5 공화국을 출범시켰...
-
1980년 부산에서 계엄 철폐를 요구하는 유인물이 배포된 사건. 1980년 5월 17일 24시를 기해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신군부’ 세력이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으로 계엄을 확대 실시함으로써 국가 권력을 장악하려는 의도를 노골화하였다. 이에 전국의 각 대학에는 휴교령이 내려져 학생들의 교내 출입이 차단되고, 대학가는 물론 시내 중심가에도 총을 든 계엄군과 사복형사들이 삼엄한...
-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의 진상을 알리기 위한 부산 지역 민주 세력의 활동. 1979년 10·26 정변으로 유신 체제가 붕괴된 후 조성된 권력의 공백을 틈타 전두환(全斗煥)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은 12월 12일 군사 반란을 일으켜 쿠데타를 시작하였다. 이에 저항하는 학생 시민 10만여 명이 1980년 5월 15일 서울에서 가두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신군부는 5월 1...
-
1981년 부산대학교 학생들에 의해 벌어진 민주 선언문 배포 사건. 1981년 봄 개학과 함께 전국민주학생연맹[약칭 ‘전민학련’]은 몇몇 선도적인 대학을 거점으로 조직적으로 시위를 전개함으로써, 반정부 시위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려 계획하였다. 이는 5·18 민중 항쟁 이후 군사 독재 정권에 대한 대중들의 저항 요구를 대중 투쟁으로 조직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부산대학교에서도 학...
-
1982년 5·18 민주화 운동의 유혈 진압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물어 부산 미국문화원에 방화한 사건. 부산 미국문화원 사건의 배경은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군부의 유혈 진압과 그것을 묵인, 방조한 미국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와 배신감이었다.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에서 현장을 보고 계엄군의 만행을 유인물을 통해 알리기 위해 투쟁해 온 김현장(金鉉奬)이 198...
-
1986년, 1987년 부산 지역 대학 교수들이 발표한 시국 선언. 1986년 들어 전두환(全斗煥) 정권의 폭력 통치를 비판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각계각층의 움직임이 가시화되었다. 이 가운데 1986년 3월 28일 고려대학교 교수 28명이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을 발표한 이후 교수들의 시국 선언은 전국의 대학으로 확산되었다. 부산 지역 대학 교수들의 시국 선언...
-
1987년 부산에서 실시된 박종철의 추도 대회. 1987년 1월 14일 박종철이 치안본부에서 고문으로 사망하면서 부산 시민들은 큰 충격과 분노에 휩싸였다. 16일에 부산민주시민협의회[부민협] 사무실과 부산대학교 총학생회 사무실에 분향소가 차려졌고 조문 행렬이 줄을 이었다. 부산대학교에서는 조문 직후 300명 가량의 학생들이 교내에서 고문 살인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1...
-
1987년 3월 3일 박종철(朴鐘哲)의 49재일에 개최된 평화 대행진. 전두환(全斗煥) 정권의 철권통치와 온갖 비리에 신물이 나 있던 국민들에게 부천서 성고문 사건, 김근태(金槿泰) 고문 사건 등의 공권력에 의한 비인도적 폭력 사건들은 큰 충격을 주었고, 급기야 1987년 벽두에 터진 박종철 군 고문 살인 사건에 이르러 그 분노와 충격이 2월 7일의 전국적인 대규모 시위...
-
1987년 부산대학교 학내 민주화를 위해 전개된 일련의 투쟁.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전 국민의 분노를 낳았고, 학원에서도 추모 집회 등을 통해 민주화 운동의 열기가 높아졌다. 이 무렵 부산대학교에서는 1987년 2월 방학 기간 중 『부대신문』의 편집권을 대학원생에 넘겨 학내 언론을 통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2·2 학보사 기자 총사퇴 사건이 벌어졌으며, 개...
-
1987년 부산 지역에서 전개된 6월 민주 항쟁의 시발점이 된 집회. 1987년 4월 13일 대통령 전두환(全斗煥)의 대통령 간선제 헌법 고수 발표에 이어, 박종철(朴鐘哲) 사건의 진상이 은폐 축소되었다는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발표에 국민들은 분노하였다. 이 분노는 독재 정권을 타도하지 않고는 민주화를 이룰 수 없다는 폭넓은 공감대로 이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학내 민주화 투쟁을...
-
1987년 6월 민주 정부 수립을 위해 부산 지역을 비롯한 전국에서 전개된 범국민적 항쟁. 박정희(朴正熙) 유신 정권이 1979년의 부마 항쟁과 10·26 사건으로 막을 내린 후 대다수 국민들은 민주화를 간절히 갈망했지만, 전두환(全斗煥)을 위시한 신군부 세력에 의한 12·12 쿠데타와 5·17 쿠데타, 그리고 1980년 5·18 항쟁의 유혈 진압으로 물거품이 되고 말았...
-
1987년 6월 민주 항쟁 중 6월 16일부터 22일까지 부산 가톨릭 센터에서 민주개혁을 요구하며 시민·학생 350여 명이 벌인 농성. 1987년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의 주도로 열린 ‘6·10 박종철 군 고문 살인 은폐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 대회’[약칭 6·10 국민 대회] 이후 부산과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에서 연일 가두시위를 중심으로 하는 민주 항쟁이...
-
1987년 6월 민주 항쟁에서 경찰이 쏜 최루탄으로 발생한 부상자의 신고 문건. 1987년 6월 민주 항쟁 기간에 경찰은 시민을 향해 막대한 양의 최루탄을 무차별적으로 난사하였다. 무자비한 곤봉 세례와 함께 최루탄은 6월 민주 항쟁에 나선 시민들을 괴롭힌 또 다른 폭력 도구였던 것이다. 그 결과 서울에서 이한열이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것을 비롯하여, 부산에서도 이태춘이 최루탄을 맞...
-
1989년 5월 3일 동의대학교에서 시위 진압 도중 진압 경관 7명이 사망한 사건. 1989년 5월 1일 권위주의적 노태우(盧泰愚) 정권에 항의하며 동의대학교 학생들이 시위하던 도중 가야3파출소장이 시위대를 향해 총기를 난사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5월 2일 학생들은 총기 난사 규탄 시위 도중에 시위대 속에서 정보 수집 중이던 전투 경찰 5명을 붙잡아 중앙 도서관에 감금시켜 놓고...
-
1991년 노태우(盧泰愚) 정권의 비리와 공안 통치의 규탄 과정에서 발생한 강경대(姜慶大), 박창수(朴昌洙) 사망 사건에 대한 범국민적인 저항. 1991년 초 ‘수서 택지 특혜 분양 사건’을 포함한 권력형 비리, 두산전자가 낙동강에 페놀을 방류한 사건 등이 터지면서 노태우 정권의 공안 통치와 민생 파탄에 대한 분노가 뒤섞여 전국적으로 반정부 시위가 전개되었다. 이런 가운데 4월 2...
노동 운동
-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일어난 노동 운동. 부산 지역의 노동 운동은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개항기부터 일본과의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부산 지역의 노동 운동은 항일 투쟁과 연계되어 다른 지역과 달리 급진적 성향을 보였다. 대표적인 예로는 사실상 최초의 대규모 파업으로서 약 5,000여 명의 노동자들이 15일간 파업한 사건인 1921년의 부산 항만 노동자들의...
-
1987년 부산 지역에서 일어난 노동자들의 대중 투쟁. 1970년대의 중화학 공업 전개와 1980년대 초의 3저 호황에 힘입어 1985~1986년에는 경제 호황이 전개되었다. 이에 생산량은 엄청나게 늘어났고 성과 분배에 대한 노동자의 요구와 기대는 높아졌다. 하지만 장시간 저임금 노동에 의한 초과 착취를 이윤의 원천으로 삼는 기업주의 태도는 여전하였다. 따라서 경제 호황에도 불구하...
-
1987년 부산직할시 사상구 괘법동의 국제상사에서 일어난 노동자 투쟁. 국제상사는 부산직할시 사상구 괘법동[현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던 프로스펙스 신발을 제조하는 화학 업종의 회사였다. 많을 때는 노동자 수가 2만 5000여 명에 이를 정도의 세계 최대의 신발 수출 업체였지만 노동 조건은 매우 열악하였다. 생리 휴가와 연월차 휴가가 없을 뿐더러, 30분 이상 강...
-
1980년 부산직할시 남구 용호동의 동국제강에서 일어난 노동자 투쟁. 동국제강은 부산직할시 남구 용호동[현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노동자 수 2,800여 명의 철강 제조업체이다. 1980년 당시 동국제강 노동자들은 8시간 3교대제와 12시간 2교대제로 일하면서, 1년 중 구정과 추석을 제외하고는 공휴일도 없이 근무해야 했다. 그러면서도 2년 근속자의 월급이 8만...
-
1980년 부산직할시 남구의 동명목재에서 전개된 노동자 투쟁. 동명목재는 부산직할시 남구 용당동[현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노동자 수 3,000여 명의 목재 가공업체이다. 1979년부터 원목의 수입 가격이 오르면서 목재 가공업의 채산성이 악화되었다. 더욱이 1980년부터 매월 6억 원에 달하는 적자가 발생하면서 동명목재는 전면 휴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동명목재의...
-
1987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의 동양고무에서 전개된 노동자 투쟁. 동양고무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부암동[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신발 수출업체로서 노동자 수 8,000여 명에 달하는 화승그룹의 계열 회사였다. 1987년 당시 동양고무의 임금과 근로 조건은 화승그룹 내에서도 가장 열악한 편이었으며, 생산직과 사무직의 차이도 극심하였다. 관리직의 연간 보너스가...
-
1987년 부산광역시 북구 삼락동에 있는 세신정밀에서 전개된 노동자 투쟁. 세신정밀은 노동자 수 600여 명의 스테인리스 식기 제조 업체이다. 세신정밀의 공장은 부산과 양산, 창원 등 3군데에 있었는데, 이 가운데 부산 공장의 노동 조건이 가장 열악하였다. 1985년 세신정밀에서는 학력을 낮추어 취업한 위장 취업자의 해고 문제로 반대 투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
1946년 9월 부산 지역의 노동자들이 노동 환경 개선과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벌인 총파업. 1946년 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후 미군정은 우익 세력을 내세워 좌익 세력들을 탄압하는 등 정치적 불안이 고조되었다. 또한 일제 때도 없었던 하곡 공출 제도를 실시하여 가난에 찌든 농민들이 ‘보릿고개’를 넘기는 유일한 수단인 보리마저 거두어갔다. 이에 쌀을 확보하기 위한 대...
-
1951년~1952년 부산의 조선방직 노동자들이 사장 강일매(姜一邁)의 퇴진을 요구하며 일으킨 파업. 조선방직노동조합은 노사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1951년 3월 귀속 기업체 불하 공매를 통해 경영진과 공동으로 조선방직을 불하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1951년 4월 조방 사건으로 기존 경영진이 구속되면서 퇴진하고, 불하가 취소되어 국영 기업화되는 한편, 1951년 9...
-
해방 후 부산의 노동자들이 귀속 사업체에 ‘관리 위원회’를 조직하여 전개한 자주적 공장 관리 운동. 해방이 되자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일제가 남긴 유산을 마땅히 조선 사람이 접수하고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일본인이 남긴 재산은 그들이 조선 사람들을 착취하여 형성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일본인 자본가들은 축적해 놓은 자금을 빼내는 것은 물론이고, 멋대로 공장 시설과 재고를 매각 처...
-
1980년대 말 부산 지역에서 전개된 도서원을 매개로 한 문화 운동. 도서원 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부산양서판매이용협동조합을 꼽을 수 있다. 1978년 4월 5일에 부산 YMCA 강당에서 창립된 부산양서판매이용협동조합은 양서를 조직적으로 보급하기 위한 최초의 모임이다. 협동조합의 방식을 도입한 보기 드문 조직 형태인 부산양서판매이용협동조합은 조합 정신의 채택과 회원제 운...
-
1980년대 후반 부산 지역의 대규모 사업장에서 회사 측이 만든 노동 운동 파괴 조직. 구사대(求社隊)가 사회적 문제로 급격하게 등장하게 된 것은,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노동자들이 노동조합 건설이나 어용 노조 민주화 투쟁 등 자주적인 조직 활동을 하면서부터였다. 이때 회사 측은 회사의 인사 노무 담당 부서의 중간 관리자들을 구사대로 조직하였다. 인원이 부족할 경우에는 외부...
사회 운동
-
1972년부터 부산 지역의 각급 학교, 직장, 마을에서 실시된 새마을 교육. 1970년 11월 새마을 운동이 시작된 이래, 1972년 3월 17일에는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의 특별 유시로 새마을 교육의 과제가 제시 되었다. 새마을 교육의 목표는 국민 교육 헌장의 이념 하에 학교 교육을 통하여 학생과 향토인에게 자조·자립·협동의 새마을 정신을 함양시킴으로써 향토 개발과 국가 발전에...
-
해방 후 부산 지역에서 학교와 사회 교육 기관이 참여하여 실시한 문맹 퇴치 운동. 해방 직전인 1944년 5월 현재 남한의 문맹자 수는 1980만 1902명으로 인구의 77%에 해당하였고, 해방 직후 부산을 포함한 경상남도의 경우 115만 8112명으로 78.9%[13세 이상 인구 대비]에 달하였다. 국민의 지지와 자발적 참여로 운영되는 근대 국가의 특성상 국민에 대한 훈육이 필수...
-
1984년 부산 해운대에서 벌어진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반(反)외세 시위. 전두환 정권은 출범 이후 계속하여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힘을 쏟았다. 1983년 나카소네 샤스히로[中曽根康弘] 일본 총리가 청와대를 방문하여 8·15 해방 이후 처음으로 양국 간의 공식적인 정상 회담을 가졌으며, 그 답방으로 1984년 9월 6일 한국의 국가 원수로는 최초로 전두환 대통령이 일본을...
통일 운동
-
4·19 혁명 시기 부산 지역에서 민주민족청년동맹과 사회당이 주장한 통일 방안. 6·25 전쟁 이후 1950년대를 통하여 이승만 정권은 통일 논의를 독점하고 북진 통일론 이외의 통일론을 일절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통일 운동은 사실상 관제 단체가 주도하는 관제 통일 운동만이 존재했다. 4·19 혁명으로 인한 이승만 정권의 몰락은 이러한 정치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몰고 왔다. 북진...
학생 운동
-
1986년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부산 미국문화원 점거를 시도한 사건.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이 유혈 진압된 이후 한국 군대의 군사 작전권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에 민간인 학살의 책임을 묻기 위한 정치적 행동이 이어졌다.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을 시작으로, 서울과 광주, 대구 등지로 확산된 미국의 시설물에 대한 점거 시도가 그것이다. 한편으로 이는 학생 운동에 ‘...
-
1964년 굴욕적인 한일 협정을 반대하며, 부산 지역에서 전개된 학생 운동. 1964년 봄 박정희 군사 정권이 한일 협정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국민적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이는 식민 통치에 대한 일본의 책임 있는 사과와 배상을 바라는 대다수 국민 여론과 달리, 경제적인 지원에 초점을 둔 굴욕적인 대일 외교의 결과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여론을 바탕으로 1964년 3월 6일...
공안 사건
-
4·19 혁명 시기 부산 지역의 진보적 언론 활동에 대한 군사 법정의 재판. 4·19 혁명은 억압적인 정치 환경에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하여 진보적 언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부산을 대표하는 야당지인 『국제 신보』의 주필 이병주(李炳注)와 변노섭(卞魯燮)은 진보적 논조의 언론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4·19 혁명 시기 최대의 관심사였던 통일 문제에서 이들은 부산 지역의 진보적...
-
1961년 부산 지역 통일 운동 단체에 대한 군사 법정의 재판. 4·19 혁명으로 인한 이승만(李承晩) 정권의 몰락은 언론과 사상의 자유를 확대하여 통일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공간을 열었다. 1960년 후반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통일 운동 단체를 결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1961년 2월 25일 서울에서 민간단체로서는 역대 최대 규모의 통일 운동 단체인 민족...
-
1960년 부산에서 결성된 민주민족청년동맹 경남맹부에 대해 군사 법정 재판이 일어난 사건. 1960년 4·19 혁명 직후인 6월 12일 부산에서는 부산대학교 교수 이종률의 지도 아래, 자주적이고 통일 지향적인 청년 운동을 내걸고 민주민족청년동맹[약칭 민민청]이 결성되었다. 이후 민민청은 진보적 청년층을 조직화하여 자주적 통일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중앙 맹부를 서울로 옮기고 대구 등...
-
1960년 부산 지역에서 결성된 사회당 경남도당에 대한 군사 법정의 재판. 4·19 혁명으로 정치 지형이 변화되자 이승만(李承晩) 정권의 탄압으로 정치적 연금 상태에 있던 혁신 정치인이 현실 정치 무대에 등장하였다. 이들은 단독 정부 수립은 분단국가를 초래할 것이라며 1948년 5·10 단독 선거에 불참했던 정치 세력에 뿌리를 두고 있다. 혁신 세력은 이승만 정부와 장면(張勉) 정...
-
1960년 부산 지역에서 결성된 사회대중당 경남도당에 대한 군사 법정의 재판. 4·19 혁명으로 이승만(李承晩) 정권이 붕괴하자,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하여 1948년 5·10 단독 선거에 불참했던 정치 집단에 뿌리를 둔 혁신 정치인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이들은 이승만 정부와 장면(張勉) 정권의 극단적 반공 이념과 달리, 남북의 실체를 인정한 위에서 교류와 협상을 통한 통일을 주장...
-
1960년 부산 지역에서 결성된 통일사회당 경남도당에 대한 군사 법정의 재판. 4·19 혁명으로 이승만(李承晩) 정권이 붕괴하자,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하여 1948년 5·10 단독 선거에 불참했던 정치 집단에 뿌리를 둔 혁신 정치인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이들은 이승만 정부와 장면(張勉) 정권의 극단적 반공 이념과 달리, 교류와 협상을 통한 통일론을 내세우고 1960년 7·29 총...
-
1981년 전두환(全斗煥) 정권의 통치 기반 확보를 위해 부산 지역의 민주 세력을 반국가 단체[부림] 구성원으로 조작한 사건. 전두환 정권은 집권을 위해 유혈을 불사했고 집권 후에는 정권의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용공 사건을 조작하였다. 서울의 ‘학림’과 ‘무림’, 부산의 ‘부림’, 광주의 ‘횃불회’, 대전의 ‘한울회’, 군산의 ‘오송회’, 공주의 ‘금강회’...
-
1975년 부산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재일 교포 관련 간첩단 조작 사건. 1970년대 중반 박정희(朴正熙) 정권은 재일 교포 사회에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의 세력이 확산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 다수의 재일 교포 대학생을 한국으로 불러들여 유학을 시키며 체제 우위를 선전하려 시도하였다. 1975년 부산대학교 법정대학의 데모를 주도한 정치외교학과 노승일은 시위 과정에서 재일 교포...
-
1991년 부산에서 일어난 용공 조작 사건. 1990년 10월 국군기무사는 윤석양 이병에 의한 보안사 민간인 사찰이 폭로된 이후 악화된 여론으로 인해 그 역할과 위상이 약화되었다. 그리하여 대외적으로는 군 기관에 의한 민간인 사찰이 다시는 없을 것이라는 약속과 ‘보안사’에서 ‘기무사’로 이름을 바꾸는 등의 조치를 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전국적으로 용공 사건을 조작하여 국면을 전환하고...
-
1964년 부산 등지 인사들이 연루된 좌익 조작 사건. 1964년 8월 14일 중앙정보부는 북한에서 남파된 간첩과 혁신계 인사들이 국가 변란을 기도하고, 이를 위해 한일 회담 반대 투쟁을 대대적으로 일으키고 학생 지도부와 언론계 인사를 포섭하려 한 인민혁명당을 적발했다고 발표하였다. 흔히 1차 인혁당 사건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에 대해 1965년 1월 1심 재판부는 단 2명에게만 반...
-
1974년 부산 등지 인사들이 연루된 좌익 조작 사건. 1974년 4월 25일 중앙정보부는 유신 반대 투쟁을 벌여온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약칭 민청학련]을 조사하던 중 그 배후에서 학생 시위와 민중 폭동을 조종하던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약칭 인혁당 재건위]를 적발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인혁당 재건위는 북한의 지령을 받아 정부를 전복하고 노동자, 농민에 의한 공산 정부 수립을 기...
사건 사고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갈치재[蘆峴재]에서 발생한 대화재. 승객 정진필[27, 울주군 농촌지도소 근무]이 연휴를 맞아 모처럼 고향인 철마면 구칠리로 돌아오면서 동력 분무기에 사용하기 위해 출발지인 부산에서 10ℓ의 휘발유를 담아 버스 뒷좌석 밑에 넣어 두었다. 그런데 버스가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달려오는 동안 통이 넘어져 휘발유가 바닥에 새어 나오는...
-
1984년 1월 14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의 대아 호텔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대아 호텔 화재는 1984년 1월 14일 대아 호텔의 헬스클럽 종업원이 4층 클럽의 석유난로에 기름을 넣다가 쏟은 것이 발단이 되었다. 마침 석유난로에 불이 붙은 상태였던지라 불길이 크게 번지기 시작했다. 오전 7시 50분께 발생한 화재는 연기와 함께 4층 전체에 번지기 시작했으며 8시...
-
1968년 12월 22일 부산 지역의 대표적 재래시장인 동래 시장에 일어난 대형 화재 사고. 1968년 12월 22일 세밑을 앞둔 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안동 소재 동래 공설 시장에 큰불이 일어났다. 이날 불은 시장 상인인 김영선의 떡 가게에서 가게 주인의 딸이 온돌 위에 2푼짜리 베니어판을 얹어둔 채 집으로 돌아간 뒤 연탄불이 과열되면서 베니어판으로 옮겨 붙으면서 시작되었다. 떡 가...
-
1953년 1월 30일 부산 지역 최대 시장인 국제 시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사고. 1953년 1월 30일 구정을 앞둔 임시 수도 부산의 경제 중심지인 국제 시장에 불이 났다. 이날 불은 저녁 7시 30분께 국제 시장 춘향원 식당에서 처음 발화되었다. 화장품 상인 세 명이 식당 2층에서 음주 중 술에 취해 벽에 걸렸던 석유 등불을 쳐 깨뜨리면서 벽지로 불이 옮겨 붙은 것이다. 국...
-
1960년 3월 2일 부산 지역의 대표적 기업인 국제화학공업사 제2 공장에서 일어난 화재 사고. 1960년 3월 2일 대표적 신발 생산 업체인 부산시 동구 범일동 소재 국제화학공업사 제2공장에서 실화(失火)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날 화재는 국제고무 공장에 새로 입사한 여직원 이필선[당시 26세]이 작업대 위에 있던 미국제 황화인 성냥[마찰면 없이 발화되는 성냥]을 장난삼아 켜는...
-
1978년 11월 27일 부산 자유 시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1978년 11월 27일 밤 8시 47분 폭풍주의보가 발효 중인 부산직할시 동구 범2동에 자리한 자유 시장에서 불이 났다. 이날 불은 북쪽 2층 126호 천광상회에서 개업을 앞두고 철제 셔터를 전기 용접 하던 중 불티가 통로 맞은편 은주이불상회에 쌓아둔 캐시미론 이불에 옮겨 붙으면서 일어났다. 초속 12m의 강풍을 타...
-
1953년 11월 27일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서 발생하여, 부산역과 부산우체국 주변으로 확대된 대형 화재 사고. 부산의 도시 기반 시설은 일제 강점기 30만 명의 인구가 생활할 수 있게 준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6·25 전쟁 중 피난으로 인해 약 100만 명의 인구가 부산에 집중되면서 주거지를 비롯한 기반 시설의 극심한 부족을 겪게 되었다. 특히 주거지 부족으로 부산...
-
1954년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일대에 일어난 대형 화재 사고. 1954년 4월 3일 당시 부산진 좌천동 일대에서 미군 소방관의 입회 아래 10여 명이 송유관을 수리하던 중 파열된 송유관에서 휘발유가 흘러나와 주변 개천으로 유출되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이 휘발유인지 확인하기 위해 개천에 성냥불을 붙이다 발화하였다. 이때 개천의 기름더미에 불이 붙자 놀란 주민들이 휘발유를 끌어 담...
-
2010년 10월 1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우신골드스위트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2010년 10월 1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마린시티 안에 있는 우신골든스위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날 불은 오전 11시 45분께 4층에 있는 미화원 작업실에서 전기 콘센트 내부에서 일어난 전기 스파크로 시작되었다. ‘펑’하는 소리와 함께 발화된 불길이 건물 외벽을 타고 위로 확산되었는데,...
-
1954년 12월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 주변의 판잣집을 전부 태운 두 건의 화재 사고. 6·25 전쟁 당시 부산으로 유입된 피난민은 약 100만 명 정도였다. 일제 강점기 조성된 부산의 도시 기반 시설은 30만 명 거주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졌으므로, 피난민 증가에 따른 주택, 상수도, 전기 등의 부족이 극심하였다. 특히 주거 공간 부족은 피난민들로 하여금 부산 시내의 공지에 판잣집...
-
1965년 2월 15일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의 아파트에서 일어난 화재 사고. 1965년 2월 15일 낮 12시 23분께 당시 부산직할시 서구 충무동 2가 114번지 우육상 골목의 목조 아파트 2층에 있는 가정집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불이 아파트 전체로 옮겨 붙으면서 1시간 15분 동안 타올랐다. 충무동 대화재로 아파트 2개 동 30세대 중 24세대가 불탔으며, 2층...
-
1993년 3월 28일 부산의 구포역 인근에서 일어난 열차 탈선 전복 사고. 1993년 3월 28일 부산 구포역 인근 철로 아래서 삼성종합건설은 철도청과 사전에 아무런 협의도 없이 케이블 매설을 위한 발파 작업을 실시하였다. 사고현장은 한국 전력이 고압 전력 케이블[지중선]의 매설을 위해 열차 운행 선로의 노반 밑을 관통하는 지하 전력구 공사를 하던 곳으로 공사는 삼성종합건설이 맡...
-
2010년 2월 성폭력 전과자 김길태가 여중생을 납치해 성폭행하고 살해·유기한 사건. 2010년 2월 24일 중학교 입학을 앞둔 A양의 실종 신고가 경찰에 접수되었다. 경찰은 수사에 진전이 없자 27일부터 공개수사를 시작했고, 3월 2일 용의자인 김길태에 대해 공개 수배령을 내리고 본격적인 검거에 나섰다. 실종되었던 A양은 3월 7일 집 부근에 있는 폐가의 물탱크 안에서 나체로 숨...
-
1964년~1973년 부산항 부두를 통해 한국군을 베트남으로 파병하고 철수한 일. 1960년대 초 박정희(朴正熙) 정권은 미국 정부와 협의하여, 전쟁 중인 베트남에 한국군을 파견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에 1964년 9월 11일 부산항에서 1차 베트남 파병이 이루어졌다. 1차 파병 부대는 의무 장교와 위생병, 간호 장교 등 130명으로 구성된 제1이동외과병원과 태권도 교관 10명 등...
-
1987년 부산 지역의 부랑아 수용 시설인 형제복지원에서 일어난 인권 유린 사건. 1987년 3월 22일 형제복지원의 원생 한 명이 구타로 숨지고 35명이 탈출하여 사설 복지원의 인권 유린 실태를 폭로하였다. 경찰의 조사 결과 형제복지원은 부랑인의 선도 보호라는 설치 목적과 달리 주민 등록증이 없는 사람들을 끌고 가서 불법으로 감금하고, 강제 노역에 동원하여 노동력을 착취하며, 저...
-
2001년 부산대학교 웹진 『월장』의 기사로 발생한 사이버 테러를 둘러싸고 촉발된 논쟁. 부산대학교에서도 1989년 처음 여성학 수업이 개설되고 2000년대에 들어서 여성학 교육을 받은 젊은 여성들이 ‘영 페미니스트(young feminist)’ 집단을 형성하면서 생활 속의 성차별이나 남성 중심 문화에 대한 비판의식이 심화되었다. 2000년 11월 부산대학교 정문 앞에서...
-
1959년 사라호 태풍으로 『국제 신보』 신문 용지 보관 창고가 침수된 사건. 1959년 9월 17일 추석 명절에 한반도 남부에 밀어닥친 태풍 사라호로 부산에서만 사망 25명, 실종 3명 등 인명 피해가 나고, 10만 10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가옥 1,389채가 유실되고, 3,404채가 전파(全波)되는 피해가 났다. 이때 태풍으로 일어난 해일이 부산시 서구 남부민동에...
-
1959년 부산 구덕 운동장에서 열린 ‘시민 위안의 밤’ 행사 중 일어난 압사 사고. 1959년 7월 17일 오후 5시 부산 구덕 운동장에서는 『국제 신보』가 개최한 제2회 시민 위안의 밤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날 출연한 연예인은 사회자 후라이 보이 곽규석(郭圭錫), 영화배우 복혜숙(卜惠淑)·최은희(崔銀姬), 가수 김정구(金貞九)·현인(玄仁)·황금심(黃琴心)·나애심(羅愛心)·백설희...
-
1989년 부산교육대학교에 난입한 백골단의 학생 폭행 사건. 1989년은 문익환 목사의 방북 이후 공안 탄압이 극심해 지던 시기로, 학내외의 시위를 진압하는 경찰의 폭력성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 가운데 선두에서 폭력 진압을 주도하던 경찰 특공대는 흰 헬멧을 쓴 탓에 ‘백골단’이라 불리었는데, 이들은 시위대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맹렬하게 폭력을 행사하였다. 이 무렵 교육 현장에서도 민...
-
1951년 부산의 조선방직 경영진이 대거 구속된 사건. 조방 사건은 1951년 4월 8일 당시 귀속 기업체 조선방직의 관리인이었던 정호종(鄭浩宗)과 경영에 참여하고 있던 조선견직(朝鮮絹織) 사장이자 국회 의원 김지태(金智泰), 노조 위원장 장재봉(張在鳳) 등 경영진을 비롯한 20여 명을 갑자기 구속한 사건이다. 구속 사유는 방적 과정에서 고의로 불량 낙면(落綿)[솜을 틀...
-
1962년 박정희(朴正熙) 군부 세력이 부산의 기업인 김지태(金智泰) 소유의 부일장학회를 강제로 헌납하게 한 사건. 1962년 3월 27일 중앙정보부 부산지부는 부산일보 임직원 10명을 「외환 관리법」 위반 혐의로 구속한 데 이어, 4월 초에는 김지태의 부인 송혜영을 밀수 혐의로 구속했는데, 이는 일본에 체류 중이던 김지태의 귀국을 종용하기 위해서였다. 4월 20일께 귀국한 김지태...
-
1980년대 이후 부산 지역 노동 현장에서 자행된 불법적인 노동 인권 탄압 사건. 노동계 블랙리스트는 1970년대 민주 노조 운동이 활성화되면서 이를 탄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 그 발단은 1978년 동일방직 사건 당시 작성되어 각 사업장에 배포된 블랙리스트로 인해 1983년 동일방직 해고 노동자들이 태평특수섬유에서 해고된 사건 이래,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까지 민...
-
1985년 부산 지역 대기업인 국제그룹이 신군부에 의해 해체된 사건. 1984년 12월 27일 국제그룹의 어음 거래 계좌 개설 은행인 제일은행은 교환 회부되어 온 국제상사 발행 어음을 부도 처리 사전 협의제 운용 지침 등의 관행을 외면하고 일방적으로 처리해 국제그룹의 부도를 유발하였다. 이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全斗煥)이 국제그룹의 자금 조달 계획에 차질을 주기 위해 재무부...
-
1980년 부산의 동명목재가 전두환(全斗煥) 신군부의 강압에 의해 재산을 강제 헌납한 사건. 부산직할시 남구 용당동의 동명목재는 1960~70년대 한국의 대표적 수출 기업이자, 세계 최대의 합판 공장이었다. 1980년 6월께 전두환 신군부의 핵심 기관인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약칭 국보위]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약칭 합수부]는 강석진(姜錫鎭)을 비롯한 동명목재 사주들을...
-
1983년 말부터 1984년까지 전개된 낙동강 하구 주민들의 생존권 투쟁이자, 환경 문제에 대한 민중 저항. 부산직할시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를 가로지르는 낙동강에 거대한 하구둑[하구언]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생계 터전을 잃게 된 을숙도 및 일웅도, 시온섬 등 주민 800여 명은 강제 이주에 따른 생계 대책을 요구하며 강하게 저항하였다. 그러나 당국은 하천 부지,...
-
부산문화방송에서 3·15 마산 의거 현장을 보도한 사건. 부산문화방송은 1960년 3월 15일 선거일을 맞아 주요 개표소에 중계 요원을 파견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개표 방송을 위해 자매 회사인 부산일보에도 중계 시설을 설치하여 일종의 다원 방송을 시도하였다. 이승만 대통령과 자유당은 선거 결과를 조작하는 대규모 부정행위를 저질렀고, 선거 당일 저녁 마산...
-
1960년 4·19 혁명 직후 동래 지역 국민보도연맹 학살 사건 피해자 유족들이 유족회를 결성하여 활동하다가 5·16 쿠데타 세력에 의해 좌절된 사건.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이승만(李承晩) 정권이 4·19 혁명으로 붕괴되자 전국 각지에서 유족들이 들고 일어났다. 6·25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이승만 정권이 이어지면서 10년 가까이 가족의 유골조차 수습하지 못하다가, 민주화 열기에 힘...
-
1961년 5·16 직후 쿠데타 세력이 부산·경상남도·경상북도 지역의 6·25 전쟁 피학살자 유족회를 탄압한 사건.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李承晩) 정권이 붕괴되자,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살해된 국민보도연맹원 유족들이 전국적으로 조직을 결성해 진상 규명 운동에 돌입하였다. 국회도 진상조사특별위원회를 만들어 피해 상황을 조사한 뒤 정부에 배상과 책임자...
-
1987년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해안에 좌초된 영국 화물선을 인양한 사건. 1986년 8월 초순 한반도를 강타한 제13호 태풍 베라의 영향으로 부산항에 정박 중이던 영국 화물선 홍콩 컨테이너호[3만 6000톤]가 당시 부산직할시 영도구 동삼동 해안의 바위 위에 좌초하였다. 홍콩 컨테이너호의 인양을 맡은 현대산업개발은 좌초된 영국 화물선을 인양하기 위해 교량 공사 시 물막이 제방...
-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朴正熙)가 단행한 10월 유신에 대한 부산 지역 민주 세력의 저항. 1961년 5·16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는 전역과 개헌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집권을 연장하다가, 1972년 드디어 영구 집권을 위한 작전을 감행하였는데 이것이 10월 유신이다. 이를 위해 박정희는 한국적 민주주의 곧 유신 체제의 정당성을 강변하며 여론을 조성하는 한편 1972년 1...
-
1988년 18대 국회의 제5공화국 비리 청문회에 대한 부산 지역의 활동. 1988년 13대 국회에서 여소야대[여당보다 야당의 의석수가 많은 상황]의 국면이 형성되자 다수를 차지한 야당은 10월 국회의 국정 감사권을 부활시키고, 11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청문회를 개최하였다. 이때 제5공화국의 권력형 비리를 조사하기 위해 5공 비리 청문회가 열리게 되었다. 청문회가 열리는...
문화 교류
-
부산광역시가 시민의 문화 교류나 친선 등을 목적으로 협정을 맺은 도시. 자매 도시 협정 체결의 목적은 인적·물적 교류를 활성화 하고 우호를 촉진하는데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외국 도시와의 자매 도시 결성을 장려했다. 한국도 이에 영향을 받아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결연을 맺게 되었으나 정부 수립 이후 국력이 미약했던 까닭에 국제 교류...
-
1966년 부산직할시와 중화민국 가오슝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가오슝[高雄] 시는 중화민국 최대의 항구 도시로 수출입 화물의 3분의 2가 가오슝 항구를 통과한다. 타이완 섬을 중심 영토로 하는 중화민국에서 가오슝은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주로 철강·조선업·석유 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1979년 7월 가오슝 시는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2010년 12월에는 주변의 가오슝...
-
2006년 부산광역시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두바이 시는 부산광역시와 자매결연한 중동 지역 첫 번째 도시이다. 아라비아 반도 페르시아 만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UAE, 아랍수장국연맹]를 구성하는 7개 수장국 가운데 하나인 두바이 수장국 수도로서 중동 지역 굴지의 금융 센터 지역이다. 2011년 현재 인구는 226만 2000명 정도이...
-
1967년 부산직할시와 미국 로스앤젤레스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미국에서 한국 교포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로스앤젤레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소속된 도시로 미국 전역에서 뉴욕에 이어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 서부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도시 가운데 하나이다. 1900년에는 10만 명에 불과하던 인구가 1960년에는 248만 명으로 급증하였다. 1957년 대지진 발...
-
1985년 부산직할시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약칭 리우(Rio)라고 불리는 리우데자네이루는 브라질에서 상파울로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로 1763~1960년까지 브라질의 수도였으며 현재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항구로서 세계 3대 미항(美港)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중남미 굴지의 무역항으로서 브라질의 경제적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근래에...
-
2000년 부산광역시와 캐나다 몬트리올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몬트리올(Montreal)은 캐나다에서 토론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몬트리올은 영어 발음이며 프랑스어로는 몽레알(Montréal)로 발음한다. 2011년 현재 인구는 190만 명 정도이며, 주변 도시권 유동 인구까지 포함하면 400만 명 정도에 이른다. 몬트리올 시의 총 면적은 363㎢에 달한다...
-
2009년 부산광역시와 인도 뭄바이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부산광역시는 2009년 11월 19일 인도 최대의 상업 금융 도시 뭄바이 시와 자매도시 협정을 체결하였다. 숩하 라울(Shubha Raul) 뭄바이 시장이 부산을 방문하여 허남식(許南植) 부산광역시장과 협정 체결식을 가졌다. 이때 양 시장은 협정 체결을 통해 경제와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상호 협력과 우호를...
-
1983년 부산직할시와 스페인 바르셀로나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바르셀로나는 지중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스페인에서 수도 마드리드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지만 항만 규모나 상공업 활동에 있어서는 최대의 도시이다. 바르셀로나는 비옥한 해안 평야에 펼쳐져 있으며 천연의 항구와 더불어 스페인 최대의 물류와 산업 도시를 이루고 있다.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고...
-
1999년 부산광역시와 칠레 발파라이소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발파라이소는 ‘천국의 계곡’이라는 뜻으로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북서쪽으로 약 190㎞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태평양을 끼고 있는 남미 최대의 무역항이다. 칠레 국회가 이곳에 자리를 잡고 있어 입법 수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미로처럼 얽힌 아름다운 해안 거리가 조성되어 있어 2003년에 유네스코에...
-
1992년 부산직할시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는 ‘동방을 지배하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연해주(沿海州) 지방에 있는 항만 도시로 동해 연안의 최대 항구 도시이자 군항이다. 소련 극동 함대의 근거지였고 북극해와 태평양을 잇는 북빙양 항로의 종점이며 시베리아 철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2012년 3월 현재 총 면적...
-
1994년 부산직할시와 호주 빅토리아 주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빅토리아 주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남동단 해안 지역에 위치한 지역으로 이 나라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곳이며 금융업·제조업·에너지 관련 산업 시설을 가지고 있다. 2011년 현재 빅토리아 주의 총 면적은 22만 7600㎢이며 수도는 멜버른이다. 인구는 약 520만 명이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뉴사우스웨일스 주...
-
2008년 부산광역시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부산광역시는 2008년 6월 11일 러시아 제2의 도시이며 러시아 최대의 항만 도시인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하였다. 허남식(許南植) 시장이 러시아를 방문하여 협정서에 서명하였다. 2008년 10월에는 제7회 러시아 청소년 격투기 대회에 부산 태권도 선수 9명을 참가시켰다. 외국...
-
1993년 부산직할시와 중국 상하이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상하이 시는 세계 유수의 항구 도시로 양자강 동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 대륙과 세계를 연결하는 교통 물류의 중심지이다. 항공 산업 등 하이테크 산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중국 제1의 국제 무역 창구로 육상, 해상, 항공 운송의 환태평양 주요거점 도시이다. 1990년대 중국 최대의 푸동(浦東) 지구 개발로 국제...
-
2007년 부산광역시와 중국 선전(深圳) 시가 맺은 우호 협력 도시 결연 협정. 선전 시는 홍콩에 인접한 곳으로 중국에서 가장 먼저 경제 특구로 지정된 도시이며 경제 특구로 지정되기 이전에는 조그만 국경 도시로 중국 출입의 관문에 불과하였다. 1979년에 선전 시로 승격되고 1980년에 경제 특구로 지정되면서부터 화교 자본과 외국과의 합작 기업이 대거 진출했고 이에 따라...
-
1994년 부산직할시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수라바야 시는 인도네시아 제2의 도시로 동자바 주의 수도이다.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스카르노의 고향이기도 하다. 인도네시아의 가장 중요한 항구 가운데 하나이며 자바 북동 해안의 산업 중심 도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천혜의 항구를 가지고 있고 네덜란드 식민지 시기부터 무역 중심지로서 발달한 상업 도...
-
1976년 부산직할시와 일본 시모노세키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일제 강점기에 한반도와 일본 열도를 잇는 정기 항로가 개설되는 등 양 도시는 한일 양국의 관문과 같은 역할을 담당해 온 역사적 경위가 있다. 지리적으로 근접한 이유 때문에 과거로부터 양 도시 사이에는 정기 연락선이 연결되어 왔고 따라서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하였다. 시모노세키 전역에 한국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특히 시...
-
2007년 부산광역시와 미국 시카고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시카고 시는 미국 일리노이 주 북동부에 있는 미국 제2의 대도시로 미국 중서부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오대호 중의 하나인 미시간 호의 남안에 임하고 있다. 미국 동부와 서부, 남부를 잇는 중부 지역 최대 물류 거점 도시이자 금융 선물 거래, 컨벤션, 자동차 산업 중심지이다. 2011년 현재 도시 인구는 약 29...
-
부산광역시와 일본 오사카 시 사이에 우호 협력의 증진을 위해 체결된 협정. 부산광역시는 2008년 5월 21일 부산광역시청 국제회의실에서 우호 협력 도시 협정 체결식을 가졌다. 이때 허남식(許南植) 부산광역시장과 히라마쓰 구니오[平松邦夫] 오사카 시장이 협정서에 서명하였다. 한국과 일본 양국의 항만 도시를 대표하는 양 도시는 전후 항공기와 여객선으로 연결되어...
-
1996년 부산광역시와 뉴질랜드 오클랜드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오클랜드는 뉴질랜드 제1의 항만 도시로 뉴질랜드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폴리네시아 지역 최대의 도시이기도 하다. 세계적인 관광 도시이며 교통 물류의 중심 도시로서 뉴질랜드 전체 수입의 61%, 수출의 32%가 오클랜드 국제 공항이나 오클랜드 항구를 거쳐 이루어지고 있고 뉴질랜드...
-
2000년 부산광역시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웨스턴케이프 주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웨스턴케이프 주(Western Cape Province)는 아프리카어(Afrikaans)로 ‘Provinsie Wes-Kaap’이라고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9개 주 가운데 최남단에 위치해 있고 이 나라 입법 수도인 케이프타운의 광역 도시권이다. 선박 수리업을 비롯하여 석유 정제, 화학제품과...
-
2002년 부산광역시와 터키 이스탄불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부산광역시와 이스탄불은 2002년 6월 4일에 자매도시 협정을 체결하였다. 그 후 양 도시 간 인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6월에는 부산광역시장을 비롯한 한국 경제인의 이스탄불 방문을 계기로 양 도시 간 교류 증진 협정이 체결되었고 2010년 6월에는 터키의 압둘라 귤(Abdullah...
-
2010년 부산광역시와 중국 충칭 시[重慶市] 사이에 우호 협력의 증진을 위해 체결된 협정. 부산광역시는 2010년 10월 4일 정무 부시장을 충칭 시에 파견하여 부산과 충칭 시 사이의 우호 협력 도시 협정 의향서를 체결하게 하였다. 곧 이어 10월 12일에 양 도시의 시장이 서면으로 우호 협력 도시 협정을 체결하였다. 부산광역시는 1963년 직할시로 승격된...
-
2010년 부산광역시와 그리스 테살로니키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부산광역시는 2010년 3월 8일 시청 청사에서 테살로니키(Thessaloniki) 시와 자매결연 체결식을 가졌다. 허남식(許南植) 시장과 바실리오스 빠빠게오르고뽈루스 시장이 협정서에 서명하였다. 그 후 양 도시는 영화·영상, IT 분야 등 공동 관심사에 대해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테살로니키...
-
2007년 부산광역시와 중국 텐진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텐진 시는 중국의 4개 직할시 가운데 하나로 중국 북방 최대의 상업 무역 중심지이다. 개혁 개방 정책 실시 이후 경제 기술 개발구, 텐진항 보세구, 신기술 산업 단지 등이 조성되었다. 지리적으로 하이허[海河] 수계의 5대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내륙 수운이 발달하였다. 베이징과는...
-
1995년 부산광역시와 멕시코 티후아나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티후아나 시는 멕시코 북서쪽 환태평양에 위치한 라틴 아메리카의 관문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미국과 멕시코 간 최대 국경 접경 지역이기도 하다.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의 중심부에서 자동차로 15분, 로스앤젤레스에서도 3시간 반이면 갈 수 있는 거리이기 때문에 미국에서 당일...
-
2009년 부산광역시와 캄보디아 프놈펜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2009년 6월 11일 허남식(許南植) 부산광역시장이 프놈펜 시를 방문하여 켑 축 테마(KEP Chuk Tema) 시장과 자매결연 협정을 체결하였다. 부산광역시 시장을 단장으로 하여 부산광역시 교육청, 부산상공회의소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이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 시를 방문하여 협정 체결식을 가졌다. 부산광역시는 이를...
-
1995년 부산광역시와 베트남 호치민 시가 맺은 자매결연 협정. 호치민 시는 베트남 통일 이후에 국가 독립의 지도자 이름을 따라 옛 이름 사이공으로부터 변경된 명칭이다. 인구나 경제면에서 베트남 제1의 도시이며 동남아시아에서도 유수의 국제 도시이다. 경제, 문화, 과학, 기술에서 베트남의 중추적인 도시이며 베트남 국내 총생산의 29%, 소비재의 40%, 총수출 물량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