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026 |
---|---|
한자 | 六八不正選擧反對鬪爭 |
영어의미역 | Citizens' Struggle Against the Fraudulent June 8 Electio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차성환 |
[정의]
1967년 부산 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전개한 부정 선거 규탄 투쟁.
[역사적 배경]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朴正熙) 군부는 경제 개발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굴욕적인 한일 회담을 추진하였다. 이에 야당과 학생, 시민의 한일 회담 반대 투쟁이 전국적으로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나아가 한일 회담 반대 투쟁은 정권에 대한 부정과 저항으로 이어져, 박정희 정권은 반대 시위를 진압하는 데 계엄령을 동원해야 할 정도였다.
이런 상황에서 맞닥뜨린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와 제7대 국회 의원 선거는 공화당 집권 4년에 대한 평가의 의미를 띠고 있었다. 1967년 5월 11일에 치러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는 신민당의 윤보선(尹潽善) 후보를 10% 차이로 앞서 당선되었다. 이어 공화당은 6월 8일에 실시된 제7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광범위한 선거 부정을 저질렀다. 이는 개헌선인 3분의 2가 넘는 의석을 확보하여, 대통령의 3선 도전을 금지하는 헌법을 개헌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야당인 신민당은 제7대 총선을 ‘관권 개입, 대리 공개 투표에 의한 계획적 전면 부정 선거’로 선언하고, 6·8 선거 직후부터 6개월간 선거 무효화 투쟁을 벌였다. 신민당은 6월 14일 6·8 선거 무효화 및 즉시 재선거 실시, 부정 선거의 최고 책임자인 김종필(金鍾泌) 공화당 의장과 정일권(丁一權) 국무총리 및 김형욱(金炯旭) 중앙정보부장과 엄민영(嚴敏永) 내무부 장관의 인책을 요구하며, 이 요구가 실현되지 않으면 의원 등록을 거부할 것을 선언하였다.
또한 6월 18일 ‘6·8 부정 선거 규탄 국민 궐기 대회’를 열어 대통령의 사과와 재선거를 주장하였다. 공화당은 정국을 수습하기 위해 6개 선거구의 당선자를 제명하지 않으면 안될 만큼 부정은 심각한 것이었다. 야당의 선거 무효화 투쟁과 함께 시민, 학생들의 규탄 투쟁이 일어났는데 6월 12일 대구·광주·보성·서천·영천 등에서 야당 당원과 시민들의 시위가 있었고 13일에는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 등 11개 대학이, 14일에는 동국대학교 등 10여 개의 대학과 4개의 고등학교에서 시위가 발생하였다.
[경과]
부산에서도 6월 14일 부산대학교 학생 1,000여 명이 교내에서 성토대회를 열고 “부정 선거 다시 하라”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교문을 나서서 시위를 벌였다. 부산대학교 측은 이날부터 휴교에 들어갔다. 부산대학교 학생들은 7월 5일에도 2,000여 명이 성토대회를 열었다. 6월 15일에는 동아대학교 학생 2,000여 명이 교내에서 부정 선거 규탄 성토대회를 가졌다. ]
6월 16일에는 동아대학교와 동래고등학교, 원예고등학교, 브니엘실업고등학교[현 브니엘고등학교], 경남상업고등학교[현 부경고등학교] 학생들이 거리로 나와 규탄 시위를 벌였고, 동원된 1,000여 명의 기동 경찰대와 충돌하였다. 투석과 곤봉, 최루탄 발사로, 수십 명의 학생과 경찰이 부상을 입었다.
가장 규모가 컸던 동래고등학교 시위는 학생들이 양정의 정묘사[화지사] 인근까지 경찰의 저지선을 뚫고 가두시위를 벌이다가, 교장과 교사들의 설득으로 일단 귀교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이 시위로 동래고등학교의 학생회 간부들은 검거되었고, 교장은 해임되었다. 이에 동래고등학교 학생들이 항의하자, 교육 당국은 6월 21일부터 동래고등학교를 무기 휴학으로 조처하였다.
22일에는 학산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시위를 하려 했으나 교육위원회의 직원과 경찰이 동원되어 뜻을 이루지 못했고, 동아대학교 학생 100여 명이 부산시 서구 부민동에 집결하여 부산시 중구 광복동으로 진출하였으나 경찰의 저지선에 걸려 해산되었다. 이날 경남상업고등학교 학생 200여 명도 동아대학교 학생과 합류하기 위해 부산여자고등학교 앞에 집결하여 시위를 벌었고, 원예고등학교 학생 250여 명과 브니엘실업고등학교 학생 350여 명 및 해동고등학교 학생 50여 명도 시위를 벌였다.
6월 17일에는 경남고등학교 학생 800여 명이 가두로 나와 그 중 200여 명이 시청 앞에서 연좌시위를 하였다. 이날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 학생 500여 명은 부산진역까지 진출하여 시위를 벌였고, 항도고등학교 학생 300여 명은 서면 태화 극장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외에 경남공업고등학교 학생 200여 명, 부산고등학교 학생 1,400명, 배정고등학교 학생 1,200명도 교내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렇게 시위가 확산되자 정부는 6월 17일 시내 13개 고등학교를 가정 실습 등의 명목으로 휴교시켰다. 한편 부산에서는 부정 선거를 입증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부산시 동래구 5개 동에 보관돼 있던 선거 관계 서류를 관련 공무원이 부정 소각한 사실이 검찰에 의해 밝혀졌던 것이다. 이로써 선거 부정에 대한 의혹은 더욱 깊어졌다.
[결과]
중앙정보부는 부정 선거 규탄 시위가 한창이던 7월 8일부터 18일까지 무려 일곱 차례에 걸쳐 ‘동백림 거점 간첩단 사건’을 발표하여 언론과 국민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리고 7월 16일 ‘신민당 6·8총선 무효화 투쟁위 집행위원회’의 장준하(張俊河)와 부완혁(夫琓爀)을 이 사건과 관련하여 연행하였다.
결국 6·8 부정 선거 반대 투쟁은 여름 방학이 끝나고 2학기에 들어서도 계속되었으나 대중적 투쟁은 더 전개되지 못하였다. 6·8 부정 선거의 후유증으로 경색된 정국을 타개하고 국회를 정상화하기 위한 여야의 협상을 통해 11월 29일 신민당이 국회에 등원함으로써 6·8 부정 선거 반대 투쟁은 종결되었다.
[의의와 평가]
6·8 부정 선거는 박정희의 장기 집권을 위한 포석으로 실시된 것으로, 이는 결국 3 선 개헌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6·8 부정 선거 반대 투쟁은 6·8 선거의 무효화와 재선거라는 목표를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박정희 정권의 반(反)민주적 본질을 알리고 대중적 분노를 확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