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945 |
---|---|
한자 | 美軍政期 |
영어의미역 |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철규 |
[정의]
1945년 9월 16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부산을 포함한 남한에서의 미군에 의한 군사 통치기.
[해방과 미군정의 실시]
1945년 9월 2일 일본의 항복 후 미소 간의 한반도 분할 점령이 결정됨에 따라 삼팔선[한반도 북위 38°선] 이남 지역에서는 1948년 8월 15일 남한 단독 정부가 수립되기까지 3년 동안 미군에 의한 군사 통치가 실시되었다. 중장 존 하지(John Reed Hodge)[1893년 6월 12일~1963년 11월 12일]의 지휘 하에 미 육군 24군단이 9월 8일 인천에 상륙한 뒤 서울로 들어와 9일 삼팔선 이남 지역에 대한 군정을 포고하였고, 이어서 12일 소장 아널드(A.V. Arnold)가 군정 장관에 취임함으로써 미군정 체제가 수립되었다.
부산에서는 9월 16일 미군 선발대가 진주하여 옛 철도 호텔에 본부를 두고 부산부 청사 등을 접수함으로써 미군정이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초대 부윤(府尹)에는 존 P.H. 케리 소령이 임명되었으며, 경상남도지사에는 하리스 준장이 임명되었다. 1946년 1월 24일 한국인 부윤에 양성봉(梁聖奉)이 임명되었으며 경상남도지사도 김병규(金秉圭)로 교체되었다가, 1947년 2월 2대 지사인 김철수(金喆壽)로 교체되었다.
한편 미군정 실시 이전부터 부산에서는 일본인이 남겨 두고 간 재산과 토지 등의 자주적 관리, 치안 유지와 나아가 자주적 독립 국가의 건설을 위한 움직임이 각계각층에서 활발하였다. 1945년 8월 17일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를 시작으로 치안대, 부산치안사령부, 경상남도 인민위원회 및 인민위원회 부산지부와 같은 대중 조직과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한국민주당, 민족혁명당과 같은 정당,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부산평의회와 같은 노동 단체·사회단체 등이 앞을 다투어 조직되었다. 그러나 이 모든 자발적 조직과 움직임들이 미군정으로부터 모두 거부당하면서 해방의 기쁨도 잠시 뿐, 이어질 비극을 예감케 하였다.
[좌우 대립과 미군정의 종식]
미군정의 고압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계몽 활동 등으로 운동의 방향을 재설정 하는 등 부산 시민들은 이에 대체로 협조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1945년 12월 미소공동위원회를 통한 신탁 통치라는 삼상 회의의 결정 사항이 국내에 전해지자, 좌·우익 단체 모두 이를 강대국에 의한 식민 통치의 연장으로 보고 ‘신탁 통치 절대 배격’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1946년 1월 1일 부산 시민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대회 얼마 후인 1월 9일 좌익 세력은 삼상 결정의 진의가 미소공동위원회의 구성을 통한 임시 정부의 구성과 조속한 조선의 독립에 있다는 것을 알고 ‘삼상 결정 지지’의 입장으로 돌아섰다. 우익 세력은 이를 ‘탁치=매국’의 논리로 공격하면서, 과거의 친일 경력 등으로 인해 좌파에 비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명분을 만회하려 하였다. 특히 미군정이 우익 세력을 지원하면서 부산을 비롯한 남한 내의 좌익 세력은 미군정과의 대결을 피할 수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정치적 난맥상에 이어, 1946년 전반기의 콜레라와 부족한 식량으로 인해 기아에 허덕이던 부산 시민들이 급기야 부산부청으로 몰려가 쌀을 달라는 시위를 전개하기에 이르렀다[일명 쌀 소동]. 이는 ‘9월 총파업’과 ‘10월 인민 항쟁’으로 이어졌으며, 다음해인 1947년 3·1절 기념집회에서의 발포 사건에도 직접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미군정의 점령 정책은 점차 좌·우 세력의 분열을 불러와 결국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었고, 민족주의자들의 최후의 남북통일 노력마저 실패로 끝나자, 남북 각각의 정부 수립으로 이어지고 말았다. 이로써 3년간의 미군정도 종식되었다.